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411364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Medical and Legal Consideration on Artificial Reproductive Technology using Doners

                                 

  • 저자명

    김향미(Hyang-Mi Kim)                                              

  • 학술지명

    생명윤리                           

  • 권호사항

    Vol.8 No.1 [2007]                                                            

  • 발행처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7-39(1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7년

초록 (Abstract)

  • 불임치료의 한 방법인 인공수태술(artificial reproductive technology, ART)은 현재 빠르고 큰 발전을 해 왔으며, 인공수태술 시술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배아를 이용하여 난치병을 근원적으로 치료할...
  • 불임치료의 한 방법인 인공수태술(artificial reproductive technology, ART)은 현재 빠르고 큰 발전을 해 왔으며, 인공수태술 시술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배아를 이용하여 난치병을 근원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짐에 따라 잔여배아의 처리, 체세포 복제배아의 생성, 줄기세포치료 등에서 발생하는 의학적, 법적, 및 윤리적 문제점에 대해서도 사회적인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많은 담론과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부부간에 시행하는 인공수태술의 방법으로는 임신과 출산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생식세포(정자, 난자)의 공여, 잔여배아의 공여 혹은 대리수태의 방법 등을 이용한 임신과 출산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이러한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관련되는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 즉, 생식세포와 배아의 공여자(doner)와 수용자(recipient), 자궁을 빌려 주는 대리임신모 및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을 통해 태어난 출생자 등에 대한 법률적인 보호의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일차적으로 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측면을 간략히 살펴 보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시술자 및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법 · 윤리적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배우자간인공수태술과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은 의학적으로는 거의 동일한 시술과정을 거치지만, 법률적인 측면에서는 그 내용이나 문제가 되는 핵심사안이 전혀 다르다. 또한 사회적으로도, 배우자간의 임신 목적이외의 범주에 속하는 난자, 정자, 배아에 관한 관리와 법적 보호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시점에서 본 고찰을 통해 관련 법률의 제정에 의한 실제적 보호를 구체적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즉 인간의 생명과 삶에 직접적인 위협을 줄 수 있는 행위, 인간의 존엄에 위태로움을 줄 수 있는 행위에 대해서는 전문가 집단 내부의 자율적인 윤리강령이나 지침만으로 보호를 담보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법률적인 규율이 보충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요컨대, 비배우자간인공수태시술과 비배우자간에 제공될 수 있는 생식세포에 대해서 특별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되는 법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고, 또한 그 안에 특별한 관리기구를 두어 이와 관련되는 업무를 지도 · 감독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관련되는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에 대하여 적절한 법률적인 보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우리사회의 생명윤리의 확립에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용어의 정립
    • Ⅲ. 인공수태술의 의학적 측면
    • Ⅳ.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의 윤리적 · 법적 문제
    • Ⅴ. 윤리지침의 제시
    • Ⅵ.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과 관련된 법적 대안
    • Ⅶ. 결론
    • 〈참고 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6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에 대한 페미니즘 담론 연구/최영주 2008  252
    85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법안의 검토와 문제점 / 송영민 2008  68
    84 14 재생산 기술 한국 불임 여성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과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임상 결과와의 관련성 / 문미혜 외 2008  220
    83 14 재생산 기술 대리임신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백승흠 2007  807
    82 14 재생산 기술 체세포복제배아 줄기세포의 최근 연구 동향과 관련 윤리지침 / 권복규, 안경진 2007  478
    81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성찰 :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법적 규제를 중심으로 / 구홍일 2007  930
    80 14 재생산 기술 난자매매에 대한 형사제재의 정당성과 한계/황만성 2007  161
    79 14 재생산 기술 한스 요나스의 인간복제 비판 연구 / 유석만 2007  759
    »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2007  355
    77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2007  96
    76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을 통한 대리모 출산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준철 2007  467
    75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이식에 관한 법률상의 문제점 / 송영민 2007  68
    74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후 출산한 쌍태아의 임상적 고잘 / 한명석 외 2007  69
    73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2006  441
    72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
    71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헌법적 평가 / 권순현 2006  229
    70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2006  349
    69 14 재생산 기술 고등학생의 생명 복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조사 / 유숙희 2006  235
    68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 / 홍자영 2006  813
    6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출산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김희수 2006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