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論叢(Soong Sil Law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35491426 
대리모계약규정을 위한 법률안의 제안
= A Propose of Legislative Bill on Surrogate Mother Agreements Acts

                                

  • 저자명

    윤혜란                                                             

  • 학술지명

    法學論叢(Soong Sil Law Review)                           

  • 권호사항

    Vol.16 No.- [2006]                                                          

  • 발행처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Soong Sil Universi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25-366(4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6년

초록 (Abstract)

  • 현대사회는 생명공학의 발달로 인공수정에 의하여 선천적 이유에서나, 후천적인 이유에 의하여 부부의 일방 또는 쌍방에 불임의 원인이 있으면 불가능 하였던 임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 현대사회는 생명공학의 발달로 인공수정에 의하여 선천적 이유에서나, 후천적인 이유에 의하여 부부의 일방 또는 쌍방에 불임의 원인이 있으면 불가능 하였던 임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능력 있는 미혼의 여성이나, 남편을 잃은 미망인 등 일반적으로 임신 할 수 없는 사람들도 아이를 원한다면 임신이 가능하여 출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인공수정의 방법 중 대리모에 의한 경우 각 나라들은 인간의 존엄과 사회질서를 파괴시킬 수 있다고 하여 불법으로 간주하고 엄격히 금해 왔지만, 불임 부부 등의 증가와 변화하는 가족관계 등의 영향으로 각 나라들은 사회적·윤리적·종교적 실정을 고려하여 법률로 규정 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 대리모에 관하여 명문의 규정도 없으며 민법 제103조의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위반함을 이유로 대리모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대리모 문제는 가족의 형태가 점차 혈연주의를 탈피하고 새로운 가족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혈연주의를 유지시키기 위한 시대에 역행하는 문제라는 비판이 될 수 있겠다. 하지만, 대리모를 부정한다는 것은 혈연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자녀를 얻기 위한 종족보존의 욕망을 지나치게 제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불법행위를 조장하게 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문화적으로 많은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현실에서 국가가 불임부부들에게 대리모를 찾는 것을 민법 제103조 등에 의하여 무효로 보아 금지할 것이 아니라 대리모와 의뢰부부, 이미 출생한 자, 현재도 출생하고 있는 자, 출생을 앞둔 자들의 법률적 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서론
    • Ⅱ. 대리모계약의 개념
    • Ⅲ. 각국의 대리모 계약의 입법례
    • Ⅳ. 한국의 대리모계약의 효력
    • Ⅴ. 대리모계약에서 발생하는 법률문제
    • Ⅵ. 결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 재생산 기술 난포의 크기와 난황의 첨가가 초자화동결소 미성숙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연승은

    발행년 2001 

    • 조회 수 366

    14 재생산 기술 동물 권리론으로 본 동물 복제 / 김성한

    발행년 2014 

    • 조회 수 36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발행년 2008 

    • 조회 수 360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발행년 2007 

    • 조회 수 355

    14 재생산 기술 체외 수정 시술을 시행하는 여성에서 항인지질 항체가 체외 수정 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발행년 2001 

    • 조회 수 353

    14 재생산 기술 포유동물 초기배아의 체외성숙과 체외발달 및 이종간의 체외수정에 대한 연구 / 김영훈

    발행년 2010 

    • 조회 수 350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발행년 2006 

    • 조회 수 34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서은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345

    14 재생산 기술 푸코로 읽는 영화 〈네버 렛 미 고〉의 휴머니즘/ 최영미, 조이운

    발행년 2018 

    • 조회 수 34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규제 및 지원·감독 체계에 관한 연구 / 김은애

    발행년 2014 

    • 조회 수 334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발행년 2010 

    • 조회 수 333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사회에서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연구 / 윤계형

    발행년 2009 

    • 조회 수 324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324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발행년 2013 

    • 조회 수 322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발행년 2017 

    • 조회 수 320

    14 재생산 기술 불임여성의 몸을 통해 본 재생산 기술의 정치학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박용운

    발행년 2002 

    • 조회 수 318

    14 재생산 기술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5

    14 재생산 기술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본한국의 불법생식세포 매매 실태 및 개선방안/문한나, 박소연, 김명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의 법적 문제점과 입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나은지

    발행년 2015 

    • 조회 수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