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59099 

출산장려 정책의 정책논리 타당성 평가

= A feasibility assessment of policy logic of maternity incentive policy

                                           

  • 저자

    이순희                                       

  • 형태사항

    xiv, 179 p. : 삽도, 표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 이대희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광운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2016. 2

  • DDC

    350 2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이 논문은 출산장려 정책의 정책 논리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출산장려 정책들과 출산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하였고,...
  • 이 논문은 출산장려 정책의 정책 논리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출산장려 정책들과 출산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하였고, 정부의 출산장려 정책들이 논리적으로 타당한지를 연구하였다. 먼저 출산장려 정책을 추진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산아 제한 정책에서 출산장려 정책으로 변하게 된 원인은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출산율이 낮아지고 초 저 출산율로 말미암아 국가 경쟁력이 약화되는 우려 때문이다. 출산율이 낮아지게 된 원인은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가족관, 결혼관, 자녀관과 같은 가치관의 변화와 경제 환경의 변화를 생각해 볼 수 있지만, 그 무엇보다도 정부에서 추진한 산아제한 정책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경제 발전을 위해서 가족계획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홍보하였다. 산아 제한 정책을 추진하던 정부는 갑자기 출산장려 정책으로 정책 방향을 완전히 바꾸었다. 갑작스러운 이러한 정책기조의 변화에 국민들의 정서는 쉽게 동의할 수 없었고, 정책을 추진하는 정부의 정책논리 역시 타당성을 인정받기 쉽지 않았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연구는 OECD 주요 국가의 출산장려 정책을 보육서비스, 출산 육아 휴직제도, 수당제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목적 1
  • 제 2 절 연구 대상과 범위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7
  • 제 1 절 이론적 배경 7
  • 1. 출산과 출산율, 저 출산과 출산장려 정책의 개념 7
  • 2. 출산장려 정책의 효과 11
  • 3. 저 출산 요인에 관한 이론적 접근 13
  • 제 2 절 저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
  • 1. 사회문화적 요인 16
  • 2. 경제적 요인 23
  • 3. 정책적 요인 26
  • 제 3 절 출산장려 정책의 평가 30
  • 1. 정책 평가의 의미 31
  • 2. 정책 평가의 기준 33
  • 3. 정책 평가의 타당성 36
  • 제 4 절 출산장려 정책에 대한 선행 연구 38
  • 1. 사회문화적 측면 연구 38
  • 2. 경제적 측면 연구 40
  • 제 5 절 OECD 주요 국가의 출산장려 정책 43
  • 1. 프랑스 46
  • 2. 스웨덴 50
  • 3. 일본 55
  • 4. 한국 59
  • 5. OECD 주요국가의 출산장려 정책 비교 71
  • 6. OECD 주요국가 출산장려 정책의 시사점 75
  • 제 3 장 연구 설계 77
  • 제 1 절 연구 모형 77
  • 제 2 절 연구 방법 79
  • 1. 추론 과정에 대한 이론지도 작성 79
  • 2. 설문 조사 91
  • 3. 변수의 구성 및 조작적 정의 97
  • 제 4 장 출산장려 정책의 정책논리 타당성 평가 분석 104
  • 제 1 절 일과 가정에 유리한 환경조성 논리 평가 104
  • 1. 산전·후 휴가급여 등 지원 확대 105
  • 2. 육아 휴직제도 활성화 110
  • 3. 출산·육아 휴가 후 노동시장 복귀 지원 113
  • 4. 배우자 출산 휴가 유급화 114
  • 5. 유연 근무 촉진을 위한 제도적·정책적 기반 강화 116
  • 6. 직장 보육시설 설치 및 운영지원 확대 1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6 14 재생산 기술 HIV 감염인에 있어서의 보조생식술 / 김희선 2009  102
265 14 재생산 기술 첨단의료보조생식에서의 법적 문제 / 송석현 2018  102
26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09
263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 하정옥 2014  110
262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0
261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2018  110
260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 이식관리의 현황과 법적 문제 2003  112
259 14 재생산 기술 대리출산 자녀의 모자관계 결정기준 / 권재문 2010  113
258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술에서 배양조건 개선을 위한 마우스모델 실험 / 유창석 2015  114
257 14 재생산 기술 초급속 동결보존한 체외수정란 유래의 형질전환 마우스 생산효율성 검토 / 김현, 최창용, 성환후 2015  116
256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 등 첨단의료기술에 근거한 체외배아의 법적지위 고찰/유지홍 2016  118
255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체외수정 및 대리출산 법제 개관 / 이재열 2017  120
254 14 재생산 기술 법적 부모 규정방식 변화의 필요성: 보조생식술에 따른 모성ㆍ부성 개념 변화와 관련하여 / 김은애 2009  121
253 14 재생산 기술 연속합성배양액들의 개발과 시험관아기프로그램에서 그들의 임상적용에 관한 연구 / 윤산현 2005  121
252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생명윤리학적 연구 / 이선희 2001  122
251 14 재생산 기술 임상연구 :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 / 전균호 외 2009  122
250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 보관 및 수증 체계 관련 국민 인식 조사 / 강성민 2017  123
249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정인경 2015  126
248 14 재생산 기술 IVF로 세쌍둥이를 임신한 여성의 임신오조 치험1례 / 김정아 외 2015  130
247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법상 대리모계약으로 출생한 자의 부모결정기준과 자녀의 복리 / 서종희 2017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