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59099 

출산장려 정책의 정책논리 타당성 평가

= A feasibility assessment of policy logic of maternity incentive policy

                                           

  • 저자

    이순희                                       

  • 형태사항

    xiv, 179 p. : 삽도, 표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 이대희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광운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2016. 2

  • DDC

    350 2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이 논문은 출산장려 정책의 정책 논리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출산장려 정책들과 출산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하였고,...
  • 이 논문은 출산장려 정책의 정책 논리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출산장려 정책들과 출산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하였고, 정부의 출산장려 정책들이 논리적으로 타당한지를 연구하였다. 먼저 출산장려 정책을 추진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산아 제한 정책에서 출산장려 정책으로 변하게 된 원인은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출산율이 낮아지고 초 저 출산율로 말미암아 국가 경쟁력이 약화되는 우려 때문이다. 출산율이 낮아지게 된 원인은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가족관, 결혼관, 자녀관과 같은 가치관의 변화와 경제 환경의 변화를 생각해 볼 수 있지만, 그 무엇보다도 정부에서 추진한 산아제한 정책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경제 발전을 위해서 가족계획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홍보하였다. 산아 제한 정책을 추진하던 정부는 갑자기 출산장려 정책으로 정책 방향을 완전히 바꾸었다. 갑작스러운 이러한 정책기조의 변화에 국민들의 정서는 쉽게 동의할 수 없었고, 정책을 추진하는 정부의 정책논리 역시 타당성을 인정받기 쉽지 않았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연구는 OECD 주요 국가의 출산장려 정책을 보육서비스, 출산 육아 휴직제도, 수당제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목적 1
  • 제 2 절 연구 대상과 범위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7
  • 제 1 절 이론적 배경 7
  • 1. 출산과 출산율, 저 출산과 출산장려 정책의 개념 7
  • 2. 출산장려 정책의 효과 11
  • 3. 저 출산 요인에 관한 이론적 접근 13
  • 제 2 절 저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
  • 1. 사회문화적 요인 16
  • 2. 경제적 요인 23
  • 3. 정책적 요인 26
  • 제 3 절 출산장려 정책의 평가 30
  • 1. 정책 평가의 의미 31
  • 2. 정책 평가의 기준 33
  • 3. 정책 평가의 타당성 36
  • 제 4 절 출산장려 정책에 대한 선행 연구 38
  • 1. 사회문화적 측면 연구 38
  • 2. 경제적 측면 연구 40
  • 제 5 절 OECD 주요 국가의 출산장려 정책 43
  • 1. 프랑스 46
  • 2. 스웨덴 50
  • 3. 일본 55
  • 4. 한국 59
  • 5. OECD 주요국가의 출산장려 정책 비교 71
  • 6. OECD 주요국가 출산장려 정책의 시사점 75
  • 제 3 장 연구 설계 77
  • 제 1 절 연구 모형 77
  • 제 2 절 연구 방법 79
  • 1. 추론 과정에 대한 이론지도 작성 79
  • 2. 설문 조사 91
  • 3. 변수의 구성 및 조작적 정의 97
  • 제 4 장 출산장려 정책의 정책논리 타당성 평가 분석 104
  • 제 1 절 일과 가정에 유리한 환경조성 논리 평가 104
  • 1. 산전·후 휴가급여 등 지원 확대 105
  • 2. 육아 휴직제도 활성화 110
  • 3. 출산·육아 휴가 후 노동시장 복귀 지원 113
  • 4. 배우자 출산 휴가 유급화 114
  • 5. 유연 근무 촉진을 위한 제도적·정책적 기반 강화 116
  • 6. 직장 보육시설 설치 및 운영지원 확대 1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의 법적 문제점과 입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나은지

발행년 2015 

  • 조회 수 310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 잉여 냉동배아를 이용하는 데는 윤리적인 문제가 따르지 않는가 / 임종식

발행년 2001 

  • 조회 수 309

14 재생산 기술 신선 비공여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후 자궁외임신의 발생과 연관된 위험요소에 관한 연구 / 유상우

발행년 2008 

  • 조회 수 301

14 재생산 기술 형법상 낙태와 모자보건법상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의료법리학적 이해/손영수

발행년 2010 

  • 조회 수 29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발행년 2013 

  • 조회 수 294

14 재생산 기술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최진일

발행년 2017 

  • 조회 수 283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지원 보건의료정책의 현황과 추진 방향 / 이소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28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를 둘러싼 쟁점과 해결방안 - 입법론을 중심으로 - / 현소혜

발행년 2018 

  • 조회 수 280

14 재생산 기술 완만동결된 배아와 유리화 동결된 배아를 이식했을 때의 임신 예후의 비교 /곽은희

발행년 2014 

  • 조회 수 278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277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배아에 대한 쟁점사항 및 입법논의 / 이인영

발행년 2009 

  • 조회 수 273

14 재생산 기술 배아,태아,유아에 대한 불법행위와 위자료청구권 / 최장섭

발행년 2013 

  • 조회 수 273

14 재생산 기술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 『네버 렛 미 고』 연구 / 손영도

발행년 2017 

  • 조회 수 271

14 재생산 기술 인공생식의 민법상 쟁점에 관한 법리 연구 / 김상헌

발행년 2015 

  • 조회 수 270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 논쟁 / 문성학 외

발행년 2010 

  • 조회 수 269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에 발생한 Candida glabrata 감염으로 인한 패혈 유산 1예 / 이서현

발행년 2013 

  • 조회 수 269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발행년 2005 

  • 조회 수 267

14 재생산 기술 조혈모세포 기증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박충민, 안소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267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시대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양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 변미희

발행년 2011 

  • 조회 수 266

14 재생산 기술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 진도왕

발행년 2018 

  • 조회 수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