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467020 

대리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저자

    한민정                                       

  • 형태사항

    ii, 48 p. ; 26 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2008.8

  • KDC

    197 4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8

초록 (Abstract)

  • 생명과학은 다른 신기술도 그러하듯이 우리인간에게 새로운 희망과 함께 풀기 어려운 숙제를 동시에 던져 주고 있다. 대리모에 관한 윤리적 고찰은 바로 이러한 숙제, 생명과정에 대한 인간...
  • 생명과학은 다른 신기술도 그러하듯이 우리인간에게 새로운 희망과 함께 풀기 어려운 숙제를 동시에 던져 주고 있다. 대리모에 관한 윤리적 고찰은 바로 이러한 숙제, 생명과정에 대한 인간의 개입에 관한 가치평가 및 그러한 개입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를 고찰 대상으로 하는바, 인간의 정신 및 삶의 질에 대하여 정립 해 보는 것이다.
    불임부부들의 마지막 대안의 하나로 시행되어온 대리모에 의한 임신과 출산은 정자와 난자를 체외 시험관에서 수정시킨 다음 이 수정란을 제 3의 여성의 자궁 내에 착상시켜 임신시키는 방법이다.
    대리모 출산은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킨다. 대리모는 필연적으로 대리모의 법적 지위, 그 계약의 의해 출생한 아이의 복리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방치해 둘 수는 없다. 대리모를 통해 출생하는 새 생명의 인권을 확실하게 존중하고 보호해 주어야 하며 호적의 문제에서 국적의 문제, 기형의 문제, 상속권이나 양육권의 문제, 기타 분쟁 시에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인간은 고귀한 인간존엄의 주체인 만큼 상업적 대상이 되어서는 아니 되며, 사회나 제도 또한 이러한 방향으로 유인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리모 시술의 실태조사가 필요하며, 대리모 문제의 공론화 과정을 통해 규제 범위 및 입법 형식의 검토가 있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대리모의 정의와 시술실태 3
  • 1. 대리모의 정의 3
  • 1) 대리모의 일반적 정의 3
  • 2) 대리모의 법률적 정의 6
  • 2. 대리모의 시술 실태 8
  • Ⅲ. 대리모의 법적 문제점과 각국의 입법례 13
  • 1. 대리모의 법적 문제 13
  • 2. 대리모에 대한 각국의 입법례 18
  • 1) 규제법이 없는 국가 19
  • 2) 대리모 출산을 무효로 보는 입법례 21
  • 3) 일부 유효성을 인정하는 입법례 24
  • Ⅳ. 대리모의 윤리적 문제와 대응방안 31
  • 1. 대리모에 대한 부정적 견해 31
  • 2. 대리모에 대한 찬성 36
  • 3. 대리모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 40
  • Ⅴ. 결론 45
  • 참고문헌 47
  • Abstract 4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0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55
105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 난관과 반대편 간질 부위에 동시에 생긴 복합성 자궁외 임신 1예 / 오예은 2009  251
10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서 침의 중재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Pubmed를 중심으로 / 배경미 2009  199
103 14 재생산 기술 임상연구 :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 / 전균호 외 2009  122
102 14 재생산 기술 고령 불임여성의 체외수정술시 최소자극법의 효용성 / 김소라 외 2009  65
101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 체험 / 이윤정 외 2009  57
100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9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2008  360
98 14 재생산 기술 생명의료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여성의 재생산권리에 관한 연구 : 생식세포 기증 및 보조생식술에 관한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08  531
97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식의료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소극적 정책보조자에서 산업개척자로 / 박종헌 2008  527
96 14 재생산 기술 기술화된 계약 임신 경험을 통해 본 대리모의 행위성 구성에 관한 연구 / 이은주 2008  381
95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2008  892
94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사회윤리적 접근 : 체세포복제배아(SCNT) 정당성 여부에 대한 합의를 중심으로 / 김경순 2008  676
93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고찰과 기독교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순 2008  525
92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김수흥 2008  434
91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고찰 / 도봉희 2008  1425
90 14 재생산 기술 신선 비공여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후 자궁외임신의 발생과 연관된 위험요소에 관한 연구 / 유상우 2008  301
»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민정 2008  4749
8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에 있어서 계약법리의 적용 / 최행식 2008  46
8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