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생명과 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317346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 Ethics of Embryo: Debate between Person and Life in the embryonic Problems

                                   

  • 저자명

    이을상(Lee Eul Sang)                                               

  • 학술지명

    의생명과 법               

  • 권호사항

    Vol.9 No.- [2013]                                            

  • 발행처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1-119(29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3년                                                                                                                            

  • 초록 (Abstract)
    • This thesis is a study on an embryo has the condition of being human or not. Someone has to be regarded as human being, he/she has a right of living, which is derived from the being a person in the moral sense. We have naturally thought an embryo is h...
  • This thesis is a study on an embryo has the condition of being human or not. Someone has to be regarded as human being, he/she has a right of living, which is derived from the being a person in the moral sense. We have naturally thought an embryo is human, but today it becomes problematic whether an embryo is a human being or not. This argument has been raised by a rapid developing of biotechnology such as prenatal genetic screening, embryonic reproduction etc. In the biotechnology an embryo is surely not regarded as a human being, but only a living material. It can cause a deep moral injure to think an embryo is not a human being. For human being is a person in the moral sense, and a person has been only thought that can make us live freely. At last we have human dignity, when we live as a person. But the thought that an embryo is not a human being has brought about the possibility of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which is conceived by P. Singer in his Practical Ethics(1991). Further more Singer criticizes a Kant's view of human dignity as a 'speciesm' in the basis of a concept of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a historical origin of Singer's concepts,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firstly and a speciesm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Kant's view of human dignity nextly. I have also examined that Kant's concept of autonomy has to be substituted by 'self-disposability' in Singer's bioethical viewpoint, but Singer's viewpoint is also criticised by Sandel's 'ethics of genetic enhancement' lastly.

  •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머리말

    Ⅱ. '인격 없는 인간'의 출현

    Ⅲ. 인격과 인간존엄의 법식

    Ⅳ. 인간존엄 대 종차별주의

    Ⅴ. 생명의 신성불가침 대 처분 가능성

    Ⅵ. 맺는말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의 문화변동과 국가의 개입 / 하정옥

발행년 2015 

  • 조회 수 311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 잉여 냉동배아를 이용하는 데는 윤리적인 문제가 따르지 않는가 / 임종식

발행년 2001 

  • 조회 수 310

14 재생산 기술 신선 비공여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후 자궁외임신의 발생과 연관된 위험요소에 관한 연구 / 유상우

발행년 2008 

  • 조회 수 301

14 재생산 기술 형법상 낙태와 모자보건법상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의료법리학적 이해/손영수

발행년 2010 

  • 조회 수 29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발행년 2013 

  • 조회 수 294

14 재생산 기술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최진일

발행년 2017 

  • 조회 수 283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지원 보건의료정책의 현황과 추진 방향 / 이소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28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를 둘러싼 쟁점과 해결방안 - 입법론을 중심으로 - / 현소혜

발행년 2018 

  • 조회 수 280

14 재생산 기술 완만동결된 배아와 유리화 동결된 배아를 이식했을 때의 임신 예후의 비교 /곽은희

발행년 2014 

  • 조회 수 278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277

14 재생산 기술 배아,태아,유아에 대한 불법행위와 위자료청구권 / 최장섭

발행년 2013 

  • 조회 수 274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배아에 대한 쟁점사항 및 입법논의 / 이인영

발행년 2009 

  • 조회 수 273

14 재생산 기술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 『네버 렛 미 고』 연구 / 손영도

발행년 2017 

  • 조회 수 271

14 재생산 기술 인공생식의 민법상 쟁점에 관한 법리 연구 / 김상헌

발행년 2015 

  • 조회 수 270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 논쟁 / 문성학 외

발행년 2010 

  • 조회 수 269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에 발생한 Candida glabrata 감염으로 인한 패혈 유산 1예 / 이서현

발행년 2013 

  • 조회 수 269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발행년 2005 

  • 조회 수 267

14 재생산 기술 조혈모세포 기증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박충민, 안소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267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시대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양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 변미희

발행년 2011 

  • 조회 수 266

14 재생산 기술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 진도왕

발행년 2018 

  • 조회 수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