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30078758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배란전후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의 유용성
= The Effect of Periovulatory Progesterone Supplementation in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Program

                                    

  • 저자명

    임소이, 이유진, 이진, 이여일                        

  • 학술지명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 권호사항               

    Vol.46 No.4 [2003]                                                           

  • 발행처

    대한산부인과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sog.org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758-763(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3년                                                                                                                         

  • 초록 (Abstract)
    • 목적 : 본 연구는 체외 수정 시술시 난자 채취 전후에 시행하는 프로게스테론 근주가 자궁의 착상에 대한 수용성을 증진시켜 착상율과 임신율을 향상시키는지의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
  • 목적 : 본 연구는 체외 수정 시술시 난자 채취 전후에 시행하는 프로게스테론 근주가 자궁의 착상에 대한 수용성을 증진시켜 착상율과 임신율을 향상시키는지의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8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체외수정 클리닉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시험관 아기 시술을 받은 환자에게 hCG를 투여한 날로부터 배아이식일까지 4-5일간 매일 100 mg의 고용량 프로게스테론을 근육주사한 환자 57명 (치료군)과 투여받지 않은 환자 60명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양군에서 연령분포, 불임의 원인, 호르몬의 혈중농도, 채취한 난자의 수, 수정된 난자의 수, 난할된 배아의 수, 이식한 배아의 수, 배아의 성숙도, 누적배아지수, 화학적 및 임상적 임신율 등을 비교조사 하였다.
    결과 : 두 군간의 난자 채취 주기는 치료군이 87주기, 대조군이 82주기였다. 치료군과 대조군에서 환자들의 평균 연령과 불임의 원인별 분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군의 채취된 난자의 수, 난할된 배아의 수, 다핵 수정란의 수도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료군에서는 87주기 중 76주기에서, 대조군에서는 82주기 중 64주기에서 배아이식을 시행하였으며 자궁강내로 이식된 배아의 수는 치료군이 평균 2.72±1.64개, 대조군이 2.39±2.03개로 차이가 없었다. 화학적 임신율은 치료군에서 6.9%, 대조군에서 6.25%로 차이가 없었고, 임상적 임신율은 치료군이 12.64%, 대조군은 18.75%로 대조군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그러나 수정된 난자의 수와 누적배아지수는 프로게스테론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체외수정 시술시 배란 전후에 고용량의 프로게스테론을 투여하는 치료군의 임신율이 프로게스테론을 투여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오히려 낮게 나타나서 고용량의 프로게스테론이 자궁 내막의 수용성을 증진시켜 착상율과 임신율을 개선시킨다고 생각할 수 없었다. 그러나, 수정된 난자의 수와 누적배아지수의 증가로 수정율과 배아 발달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체외수정시 배란전후 프로게스테론을 투여하는 방법이나 용량 및 경로 등에 있어서 일치된 효과적인 방법이 아직 확실히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여타의 착상율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의 발달을 둘러싼 현대사회의 법적 과제 -대리모 및 대리출산을 중심으로 / 함철훈

발행년 2003 

  • 조회 수 84

14 재생산 기술 우리는 비배우자 인공수정과 대리모출산에 대해 어떠한 결단을 내리 수 있는가 / 문윤정

발행년 1994 

  • 조회 수 206

14 재생산 기술 代理母 契約에 關한 硏究 / 서나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54

14 재생산 기술 代理母契約을 통한 子의 出産의 法律問題 / 이귀자

발행년 1994 

  • 조회 수 63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 남국현

발행년 2013 

  • 조회 수 203

14 재생산 기술 출산장려 정책의 정책논리 타당성 평가 / 이순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47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민정

발행년 2008 

  • 조회 수 4762

14 재생산 기술 출산테크놀로지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조영미

발행년 1994 

  • 조회 수 229

14 재생산 기술 돼지와 생쥐 난자의 체외성숙과 배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임자력

발행년 2016 

  • 조회 수 164

14 재생산 기술 착상 전 돼지 수정란의 효율적인 초급속 동결 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 정학준

발행년 2016 

  • 조회 수 228

14 재생산 기술 유전자편집 기술의 발전에 대응한 인간배아 유전자치료의 규제방향 / 박대웅, 류화신

발행년 2016 

  • 조회 수 498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배아이식 후 한방치료를 병행한난임환자 61례에 대한 결과 분석 보고 / 배상진

발행년 2015 

  • 조회 수 152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 이을상

발행년 2013 

  • 조회 수 99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에 발생한 Candida glabrata 감염으로 인한 패혈 유산 1예 / 이서현

발행년 2013 

  • 조회 수 269

14 재생산 기술 배아,태아,유아에 대한 불법행위와 위자료청구권 / 최장섭

발행년 2013 

  • 조회 수 274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효율적인 동결방법 연구 동향 / 윤보애, 설혜원, 최영민

발행년 2012 

  • 조회 수 69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배란전후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의 유용성 / 임소이

발행년 2003 

  • 조회 수 519

14 재생산 기술 성경적 관점에서 본 인간배아복제 연구 : 특집논문 ; 시험관 아기 시술과 배아줄기세포연구의 관계 / 박재현

발행년 2005 

  • 조회 수 243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후 쌍태 임신의 결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철홍, 이여길

발행년 2000 

  • 조회 수 387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발행년 2000 

  • 조회 수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