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연구(Studies on Life and Cultu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01459 
인격주의 생명윤리에서 바라본 부모됨의 의미와 보조생식술의 윤리적 의미
= The meaning of parentship and the ethical implication of the artificial reproductive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ist bioethics

                              

  • 저자명

    정재우(Jung Jae Woo)                                              

  • 학술지명

    생명연구(Studies on Life and Culture)               

  • 권호사항

    Vol.31 No.- [2014]                           

  • 발행처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Research Institute for Life and Culture SOGANG UNIVERSI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07-240(34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4년

초록 (Abstract)

  • 윤리적 관점에서 보조생식술을 평가한다는 것은 인간에 대한 분명한 시각을 갖는다는 것을 뜻한다. 왜냐 하면 보조생식술이 인간에 대한 인간의 행위인 관계로, 인간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 윤리적 관점에서 보조생식술을 평가한다는 것은 인간에 대한 분명한 시각을 갖는다는 것을 뜻한다. 왜냐 하면 보조생식술이 인간에 대한 인간의 행위인 관계로, 인간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 보조생식술에 대한 윤리적 평가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이해의 차이는 이원론적-기계론적 관점과 전인적-인격주의적 관점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원론적-기계론적 관점에서 인간 몸의 의미 · 가치는 물질적 · 도구적 수준을 넘지 못하는 관계로, 각 사람이 자유롭게 선택한 바에 따라 얼마든지 자신의 몸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성(性)과 사랑과 혼인과 출산 등이 모두 서로 분리가 가능하고, 따라서 보조생식술은 각자가 행복을 추구하며 자율적인 선택에 의하여 얼마든지 허용되는 행위가 된다. 반면에 전인적-인격주의적 관점에서는 인간의 몸이 인간 전체에서 분리될 수 없고 인간 몸의 가치도 인간의 가치와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인간의 몸은 단순히 물질이나 도구로 취급될 수 없으며 그 몸을 지닌 인간 전체의 가치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대우받아야 한다. 성(性) 역시 그 사람의 가치에 맞게 이해되고 실행되어야 한다면, 성(性)은 사랑과 분리될 수 없고, 이런 사랑 안의 성(性)에서 새 생명이 탄생될 필요가 있다. 즉 성(性)-사랑-혼인-출산 등이 모두 연결되어 있다. 이런 관점에 따라, 전인적-인격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본 보조생식술은 출산과 성(性) · 사랑을 객관적으로 분리시켜 출산의 의미에 부합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자녀는 부모와 다름 없는 인간이자 인격체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자녀를 어떤 도구처럼 취급하는 것은 부당한 일이다. 보조생식술의 과정에서 새 생명을 도구처럼 다루고, 보조생식술의 정당화 근거로 종종 제시되는 출산의 권리나 불임의 고통 등이 자녀를 권리의 대상 혹은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도구처럼 간주한다면 이것 역시 부당한 일이다. 만일 보조생식술이 전인적-인격주의적 관점에서 용인될 수 있으려면 두 가지 조건에 부합해야 한다. 그것은 첫째, 인간 생명을 파괴하지 않는 방법일 것, 둘째, 성(性)과 출산의 인격적 의미를 보존하는 방법일 것이다. 이런 방법일 때 보조생식술은 부부의 사랑의 행위를 출산에서 분리시키지 않고 자녀의 가치를 존중하면서 출산의 과정을 돕는 본래 의미의 의료 행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서론
  • 1. 결정의 차원과 실행의 차원
  • 2. 성과 출산의 인간학과 그 귀결
  • 3. 보조생식술에 대한 전인적-인격주의적 관점의 평가
  • 4. 보조생식술의 두 가지 찬성논거
  •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66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165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 난관과 반대편 간질 부위에 동시에 생긴 복합성 자궁외 임신 1예 / 오예은 2009  251
164 14 재생산 기술 산부인과 전문병원 내원환자의 난임 특성과 보조생식술 유형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 김윤정 2016  251
163 14 재생산 기술 절박유산과 정상임부 및 시험관아기시술 환자에서 초기임신인자의 임상적 유용성 / 이진용 1997  250
162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에 대한 페미니즘 담론 연구/최영주 2008  250
161 14 재생산 기술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와 관련한 민사적 쟁점 -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신의칙에 근거한 알권리의 인정여부를 중심으로 - / 윤석찬 2018  250
160 14 재생산 기술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에 관한 소고/장복희 2015  249
159 14 재생산 기술 인도의 상업적 대리모 연구 / 허라금 2015  246
158 14 재생산 기술 성경적 관점에서 본 인간배아복제 연구 : 특집논문 ; 시험관 아기 시술과 배아줄기세포연구의 관계 / 박재현 2005  243
» 14 재생산 기술 인격주의 생명윤리에서 바라본 부모됨의 의미와 보조생식술의 윤리적 의미 / 정재우 2014  242
156 14 재생산 기술 자궁 근종이 체외수정 시술에 미치는 영향 / 문제원 2010  242
155 14 재생산 기술 고등학생의 생명 복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조사 / 유숙희 2006  234
154 14 재생산 기술 중국에서의 대리모 법적 제문제에 관한 소고 / 이화 2011  230
153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병화 2016  230
152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헌법적 평가 / 권순현 2006  229
151 14 재생산 기술 출산테크놀로지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조영미 1994  229
150 14 재생산 기술 착상 전 돼지 수정란의 효율적인 초급속 동결 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 정학준 2016  227
149 14 재생산 기술 FCST 맞춤형 음양균형장치를 위주로 한 보조생식술 실패 후 난임 치료 후 출산 증례 / 채기헌 2015  222
14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147 14 재생산 기술 한국 불임 여성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과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임상 결과와의 관련성 / 문미혜 외 2008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