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연구(Studies on Life and Cultu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01459 
인격주의 생명윤리에서 바라본 부모됨의 의미와 보조생식술의 윤리적 의미
= The meaning of parentship and the ethical implication of the artificial reproductive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ist bioethics

                              

  • 저자명

    정재우(Jung Jae Woo)                                              

  • 학술지명

    생명연구(Studies on Life and Culture)               

  • 권호사항

    Vol.31 No.- [2014]                           

  • 발행처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Research Institute for Life and Culture SOGANG UNIVERSI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07-240(34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4년

초록 (Abstract)

  • 윤리적 관점에서 보조생식술을 평가한다는 것은 인간에 대한 분명한 시각을 갖는다는 것을 뜻한다. 왜냐 하면 보조생식술이 인간에 대한 인간의 행위인 관계로, 인간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 윤리적 관점에서 보조생식술을 평가한다는 것은 인간에 대한 분명한 시각을 갖는다는 것을 뜻한다. 왜냐 하면 보조생식술이 인간에 대한 인간의 행위인 관계로, 인간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 보조생식술에 대한 윤리적 평가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이해의 차이는 이원론적-기계론적 관점과 전인적-인격주의적 관점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원론적-기계론적 관점에서 인간 몸의 의미 · 가치는 물질적 · 도구적 수준을 넘지 못하는 관계로, 각 사람이 자유롭게 선택한 바에 따라 얼마든지 자신의 몸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성(性)과 사랑과 혼인과 출산 등이 모두 서로 분리가 가능하고, 따라서 보조생식술은 각자가 행복을 추구하며 자율적인 선택에 의하여 얼마든지 허용되는 행위가 된다. 반면에 전인적-인격주의적 관점에서는 인간의 몸이 인간 전체에서 분리될 수 없고 인간 몸의 가치도 인간의 가치와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인간의 몸은 단순히 물질이나 도구로 취급될 수 없으며 그 몸을 지닌 인간 전체의 가치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대우받아야 한다. 성(性) 역시 그 사람의 가치에 맞게 이해되고 실행되어야 한다면, 성(性)은 사랑과 분리될 수 없고, 이런 사랑 안의 성(性)에서 새 생명이 탄생될 필요가 있다. 즉 성(性)-사랑-혼인-출산 등이 모두 연결되어 있다. 이런 관점에 따라, 전인적-인격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본 보조생식술은 출산과 성(性) · 사랑을 객관적으로 분리시켜 출산의 의미에 부합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자녀는 부모와 다름 없는 인간이자 인격체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자녀를 어떤 도구처럼 취급하는 것은 부당한 일이다. 보조생식술의 과정에서 새 생명을 도구처럼 다루고, 보조생식술의 정당화 근거로 종종 제시되는 출산의 권리나 불임의 고통 등이 자녀를 권리의 대상 혹은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도구처럼 간주한다면 이것 역시 부당한 일이다. 만일 보조생식술이 전인적-인격주의적 관점에서 용인될 수 있으려면 두 가지 조건에 부합해야 한다. 그것은 첫째, 인간 생명을 파괴하지 않는 방법일 것, 둘째, 성(性)과 출산의 인격적 의미를 보존하는 방법일 것이다. 이런 방법일 때 보조생식술은 부부의 사랑의 행위를 출산에서 분리시키지 않고 자녀의 가치를 존중하면서 출산의 과정을 돕는 본래 의미의 의료 행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서론
  • 1. 결정의 차원과 실행의 차원
  • 2. 성과 출산의 인간학과 그 귀결
  • 3. 보조생식술에 대한 전인적-인격주의적 관점의 평가
  • 4. 보조생식술의 두 가지 찬성논거
  •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06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2000  180
205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받은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정유정 2017  182
204 14 재생산 기술 냉동 보존 기간에 따른 저장 제대혈의 생존능력 평가 / 이혜련 2013  184
203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존엄 : 생식체계(Reproduction System)에 관한 미국의 입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 박선용 2006  188
202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강은영 2015  190
201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親子法 개관 - 2014년 혼인과 가족법과 2010년 입양법을 중심으로 / 이재열 2016  190
200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가족지지,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조은영 2019  194
199 14 재생산 기술 정자 DNA 분절이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최화영 2017  195
198 14 재생산 기술 착상 전 인간 배아의 유전자 편집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장하람 2019  196
197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의 최근 동향 : 성선자극 호르몬을 이용한 과배란 방법과 생식세포 복강내 이식의 국내 최초 시도에 관한 연구 / 이상훈 1991  198
196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서 침의 중재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Pubmed를 중심으로 / 배경미 2009  199
195 14 재생산 기술 난자 및 배아성숙이 시험관아기시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 / 이여일 1997  199
194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199
193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2010  200
192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 남국현 2013  203
191 14 재생산 기술 우리는 비배우자 인공수정과 대리모출산에 대해 어떠한 결단을 내리 수 있는가 / 문윤정 1994  207
190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체세포 핵이식 유래 돼지 배아줄기세포의 초미세구조 비교 / 유현주 2015  209
189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지원사업 개선연구: 난임여성의 안전 및 삶의 질 보호방안 마련을 중심으로 / 이현아 2016  211
188 14 재생산 기술 줄기세포(stem cell)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태정 2010  214
187 14 재생산 기술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의 시행과 평가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