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364104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의 친자관계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of who was born through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 저자명

    오호철(O Ho-Cheol)                                              

  • 학술지명

    법학연구               

  • 권호사항

    Vol.33 No.- [2009]                                                         

  • 발행처

    한국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1-186(2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9년

초록 (Abstract)

  • 최근 불임부부가 증가하면서 보조생식술을 통해 자를 갖기를 희망하는 부부가 늘어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이를 통해 출생하는 자도 증가하고 있다. 보조생식술은 크게 인공수정과 체외수...
  • 최근 불임부부가 증가하면서 보조생식술을 통해 자를 갖기를 희망하는 부부가 늘어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이를 통해 출생하는 자도 증가하고 있다. 보조생식술은 크게 인공수정과 체외수정이 있으며, 각각 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과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으로 나뉜다. 이외에 대리모를 통해서도 자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보조생식술을 통해 자를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이를 직접적으로 규율하는 법률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현행 민법은 자연생식을 통해 자를 얻는 경우의 친자관계만을 규율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에게 이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다만, 보조생식술 중에서 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의 경우는 자연생식에 의해 태어난 자와 차이가 없기 때문에 현행 민법의 규정을 적용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과 대리모의 경우 어떻게 친자관계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외국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살펴보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민법상 친자관계에 문제가 되는 보조생식술의 유형
  • Ⅲ. 비배우자간 보조생식술의 친자관계
  • Ⅳ. 맺으며
  • 參考文獻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6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 정책 발전의 의의와 향후 과제"에서의 전문용어 사용에 대한 의견 / 손영수 2010  98
145 14 재생산 기술 기술의 문화적 재현과정과 실천 / 김경례 2010  63
14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서 침의 중재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Pubmed를 중심으로 / 배경미 2009  199
143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 난관과 반대편 간질 부위에 동시에 생긴 복합성 자궁외 임신 1예 / 오예은 2009  251
14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55
»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의 친자관계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37
140 14 재생산 기술 HIV 감염인에 있어서의 보조생식술 / 김희선 2009  102
139 14 재생산 기술 인간 착상 과정에 자궁내막과 배아의 역할 / 지병철 2009  431
138 14 재생산 기술 법적 부모 규정방식 변화의 필요성: 보조생식술에 따른 모성ㆍ부성 개념 변화와 관련하여 / 김은애 2009  121
137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시대의 인간복제는 새로운 책임윤리를 요청하는가? - 한스 요나스의 『기술,의료 윤리』를 중심으로 / 양해림 2003  139
136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체세포 핵이식 유래 돼지 배아줄기세포의 초미세구조 비교 / 유현주 2015  209
135 14 재생산 기술 다양한 기원의 돼지 배아유래 만능성 줄기세포의 특성분석 / 김은혜 2015  156
134 14 재생산 기술 체세포 핵이식 기법을 이용한 소 형질전환 복제배아의 생산에 관한 연구 / Bhuiyan, Mohammad Musharraf Uddin 2004  167
133 14 재생산 기술 난포의 크기와 난황의 첨가가 초자화동결소 미성숙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연승은 2001  366
132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에 관한 인간존엄침해여부 논증 : 인간배아복제의 헌법적 허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차수봉 2011  445
131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고찰 / 도봉희 2008  1428
130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윤리성에 관한 연구 / 박인숙 2001  3498
129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의 인간성에 관한 인간학적 고찰 / 한희숙 2009  434
128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 / 홍자영 2006  813
127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 논의에 대한 구조론적 분석 / 안승병 2004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