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595035 
법적 부모 규정방식 변화의 필요성: 보조생식술에 따른 모성ㆍ부성 개념 변화와 관련하여
= A study on the legislation about the legal parenthood: focusing on the changed conception of the parenthood through the assisted reproduction

                                     

  • 저자명

    김은애                                                

  • 학술지명

    한국여성철학

  • 권호사항

    Vol.12 No.- [2009]                                                           

  • 발행처

    한국여성철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7-143(2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9년


초록 (Abstract)

  • 보조생식술의 발전 및 이용에 따라 모성과 부성의 스펙트럼이 매우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보조생식술을 고려하여 마련된 것이 아닌 우리나라 현행 ?민법?상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규정만...
  • 보조생식술의 발전 및 이용에 따라 모성과 부성의 스펙트럼이 매우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보조생식술을 고려하여 마련된 것이 아닌 우리나라 현행 ?민법?상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규정만으로는 비배우자간 인공수태시술을 이용한 경우 등에 있어 부모자녀관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볼 때 우선 태어나는 아이의 복리나 최선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 아이에 대해 권한, 의무, 권리, 책임 등을 갖는 부모를 확실히 정할 필요가 있으며, 뿐만 아니라 부모가 되고자 하여 타인으로부터 생식세포를 제공받아 보조생식술을 이용하여 아이를 임신ㆍ출산한 자들, 그리고 부모가 될 의사 없이 타인의 재생산권리 보장을 위해 자신의 생식세포를 제공한 자들의 입장을 고려할 때에도 각각의 권리 내지 이익 보호를 위해 이들과 아이의 관계가 법적으로 명확히 판단되도록 하는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이에 보조생식술에 따른 법적 부모 규정과 관련하여, 비록 부모자녀 간에 생물학적인 연관성이 존재하지 않을지라도 아이의 임신ㆍ출산을 의도한 부모가 그 결과로 태어나는 아이에 대해 자녀에 대한 부모로서의 법적 책임과 의무를 다하겠다는 적극적인 의사를 명확히 밝힌 경우에 그 부모자녀관계 인정의 법적 타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그 구체적인 법적 근거와 방식이 마련되어야만 한다. 나아가 사후생식 등을 비롯하여 부모자녀관계 내지 모성 및 부성에 대한 다양한 사고를 새로이 요구하는 현실 상황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앞으로 과연 모성 및 부성의 개념은 어떻게 정의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철학적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법적으로는 부모자녀관계를 어떻게 확정해 나가는 것이 적절할 것인지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도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들어가며
  • Ⅱ. 국내ㆍ외 현실 상황에 대한 개관
  • Ⅲ. 보조생식술이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 우리나라의법적 친자관계 결정 방식
  • Ⅳ. 보조생식술이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 영국의법적 친자관계 결정 방식
  • Ⅴ. 논의와 비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66 14 재생산 기술 HIV 감염인에 있어서의 보조생식술 / 김희선 2009  102
265 14 재생산 기술 첨단의료보조생식에서의 법적 문제 / 송석현 2018  102
26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09
263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 하정옥 2014  110
262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2018  110
261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1
260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 이식관리의 현황과 법적 문제 2003  112
259 14 재생산 기술 대리출산 자녀의 모자관계 결정기준 / 권재문 2010  113
258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술에서 배양조건 개선을 위한 마우스모델 실험 / 유창석 2015  114
257 14 재생산 기술 초급속 동결보존한 체외수정란 유래의 형질전환 마우스 생산효율성 검토 / 김현, 최창용, 성환후 2015  116
256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 등 첨단의료기술에 근거한 체외배아의 법적지위 고찰/유지홍 2016  118
255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체외수정 및 대리출산 법제 개관 / 이재열 2017  120
» 14 재생산 기술 법적 부모 규정방식 변화의 필요성: 보조생식술에 따른 모성ㆍ부성 개념 변화와 관련하여 / 김은애 2009  121
253 14 재생산 기술 연속합성배양액들의 개발과 시험관아기프로그램에서 그들의 임상적용에 관한 연구 / 윤산현 2005  121
252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생명윤리학적 연구 / 이선희 2001  122
251 14 재생산 기술 임상연구 :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 / 전균호 외 2009  122
250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 보관 및 수증 체계 관련 국민 인식 조사 / 강성민 2017  123
249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정인경 2015  126
248 14 재생산 기술 IVF로 세쌍둥이를 임신한 여성의 임신오조 치험1례 / 김정아 외 2015  130
247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법상 대리모계약으로 출생한 자의 부모결정기준과 자녀의 복리 / 서종희 2017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