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553095 
인체유래물질에 대한 형법적 고찰 = Issues Pertaining to Human Biological Material in Criminal Law

        

http://www.riss.kr/link?id=T11553095                        

  • 저자

    양윤선                                       

  • 형태사항

    iv, 11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정규원
    국문요지: p. iii-iv.
    Abstract: p. 108-110.
    참고문헌 : p.103-1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법학 2009.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9

초록 (Abstract)

  • 최근 생명과학과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전통적인 법학이론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려운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새로이 대두된 법적 문제들 중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문...
  • 최근 생명과학과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전통적인 법학이론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려운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새로이 대두된 법적 문제들 중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문제가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을 법적으로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가이다. 생명과학연구나 의학연구에 있어서는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인간유전체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방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경우에 일반인과 환자의 유전체를 분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일반인이나 환자로부터 혈액 등 유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생물학적 물질을 획득하여야 한다.
    연구에 사용하기 위하여 획득된 인체로부터 유래한 물질들은 전통적으로는 기증자의 이타적 의사 혹은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에 의하여 연구자에게 제공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 생명과학연구와 의학연구의 결과물이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타주의에 기반을 둔 생물학적 물질의 제공이 법적 고찰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또한 자신이 제공한 생물학적 물질을 연구에 사용하는 것에 동의하였던 기증자가 연구에 사용하는 것에 동의하였던 의사를 철회하고 더 이상 연구에 자신이 제공한 생물학적 물질을 연구에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기증자의 동의가 철회된 것으로 보아 그 생물학적 물질은 더 이상 연구에 사용될 수 없는 결과가 발생한다. 하지만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었고 그 동안 연구에 상당한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 경우에 생물학적 물질을 제공한 기증자의 의사만으로 이와 같은 노력과 비용이 허비된다는 것은 경우에 따라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결론일 수도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논문의 목적과 방법 = 1
  • 제2장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의 법적성격 = 6
  • 제1절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에 의한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체물질의 제공행위 = 10
  • 1. 역사적 배경 = 10
  • (1) 의료행위에서의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 10
  • (2) 의학연구에서의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 13
  • 2. 자기결정권의 실정법적 근거 = 17
  • 3.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의 유형 = 25
  • (1) 배경 = 25
  • (2) 이미 저장되어 있는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을 후속적(이차적)으로 사용하는 연구에 대한 동의 = 26
  • (3) 동의의 방식 = 27
  • (4) 국제적 지침의 동향 = 41
  • 1) 치료를 위하여 생물학적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 = 41
  • 2) 연구를 위하여 생물학적 불질을 이용하는 경우 = 43
  • (5)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의 폐기 = 44
  • 제2절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에 대한 소유권 인정여부에 관한 검토 = 47
  • 제3절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의 법적성격 = 56
  • 1. 살아있는 사람의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 = 57
  • 2. 사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 = 60
  • 제4절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 제공행위의 법적 성격 = 67
  • 제3장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의 형법적 고찰 = 71
  • 제1절 살아있는 사람의 경우 = 72
  • 1. 신체의 일부일 때 = 72
  • 2. 신체에서 분리될 때 = 73
  • 3. 신체에서 분리된 후 = 78
  • 제2절 사체의 경우 = 86
  • 제3절 강요죄의 해당여부 = 90
  • 제4절 비교법적 고찰 = 93
  • 제4장 결론 = 96
  • 참고문헌 = 103
  • ABSTRACT = 10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6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親子法 개관 - 2014년 혼인과 가족법과 2010년 입양법을 중심으로 / 이재열 2016  190
125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존엄 : 생식체계(Reproduction System)에 관한 미국의 입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 박선용 2006  188
124 14 재생산 기술 냉동 보존 기간에 따른 저장 제대혈의 생존능력 평가 / 이혜련 2013  183
12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받은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정유정 2017  182
122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2000  180
121 14 재생산 기술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복제인간과 능동성 연구 / 이진미 2017  179
12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를 둘러싼 프랑스의 법적 동향 / 김현진 2018  178
119 14 재생산 기술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 배지현 외 2018  175
118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된 인간에서 복제된 인간으로 / 천현순 2016  174
117 14 재생산 기술 윤리적ㆍ불교적 입장에서 살펴 본 잉여냉동배아의 이용 / 곽만연 2005  173
11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기해 출생한 자의 친자관계 결정기준 / 윤우일 2012  172
115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 시술시 미세조작에 의한 임신율의 증진에 관한 연구 / 노환철 1993  171
114 14 재생산 기술 체세포 핵이식 기법을 이용한 소 형질전환 복제배아의 생산에 관한 연구 / Bhuiyan, Mohammad Musharraf Uddin 2004  167
113 14 재생산 기술 돼지와 생쥐 난자의 체외성숙과 배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임자력 2016  164
112 14 재생산 기술 난임 경험 속에 나타난 관계 단절에 대한 고찰 / 윤은경 2016  163
111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관련 재료 및 소모품의 국산화 필요성에 대한 고찰/차병헌, 전진현 2011  163
110 14 재생산 기술 착상전유전자선별검사와 배아생성자의 권리 / 배현아 외 2018  162
109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의 미술치료 체험연구 / 이혜연 2019  162
108 14 재생산 기술 난자매매에 대한 형사제재의 정당성과 한계/황만성 2007  161
10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논난과 법적 문제점 / 이창상 2005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