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682616 
인간 복제의 생명윤리학적 고찰 = (A) Life ethical study of a human clone

                    

 http://www.riss.kr/link?id=T8682616           

  • 저자

    신혜정                                       

  • 형태사항

    42p. ; 26cm .

  • 일반주기

    참고문헌: p. 4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윤리교육 전공 2002. 8                                                          

  • 발행국

    경상남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2

초록 (Abstract)

  • 인간배아복제는 세계적인 논쟁거리이다. 윌멋 박사 팀의 복제양 돌리의 생산이후 세계적으로 찬반논리가 양분화되면서 국가별로 기준이 상이하여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
  • 인간배아복제는 세계적인 논쟁거리이다. 윌멋 박사 팀의 복제양 돌리의 생산이후 세계적으로 찬반논리가 양분화되면서 국가별로 기준이 상이하여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복제 시장의 한복판에 놓여 있으며, 찬반논리 또한 뜨거운 현실이다. 본문에서 찬성과 반대의 많은 논리들이 열거되어 있듯이, 복제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선뜻 어느 입장에 서야 할지 모호한 상태이다. 그만큼 복제는 지금까지 치유하지 못했던 불치병들과 또 생태계의 파괴, 장기 이식등 인간에게 수많은 이점들을 가져다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에 따르는 문제점 또한 인간이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유전자가 조작된 동식물도 인간이 섭취하게 되었을 때 수많은 문제점이 일어난다. 하물며 인간을 조작하는 행위가 앞으로 어떤 미래를 가져다 줄 것인지, 우리는 이 시점에서 깊이 생각해 봐야 할 문제이다.
    또한 무분별한 법적 허용은 인간복제에 대한 가능성을 더욱 부채질 하고 있는 형편이며, 지금까지 인간배아연구에 대해서 매우 강경한 입장을 취했던 서방의 여러 나라들도 점점 더 그 규제를 약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는 배아연구를 반대하는 입장이지만, 과학 연구에 대해 근본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배아에 관한 연구는 이미 생명체를 지닌 수정란을 가지고 현미경 위에서 갖은 조작을 한다는 점에서 반대하는 것이다.
    이제는 과학의 진보 위에서 한걸음 물러서서 인간 생명의 존엄을 다시한번 생각해 볼 때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I. 서론 = 1
  • II. 생명복제에 대한 이해 = 3
  • 1. 생명복제의 역사 = 3
  • 2. 생명복제의 과정 = 5
  • 3. 생명복제의 이점 = 9
  • 가. 희귀 동식물의 보전 = 9
  • 나. 장기 이식용 동물들의 생산 = 10
  • 다. 세포유전자 치료 = 10
  • 4. 생명복제의 문제점 = 11
  • III. 인간개체복제에 대한 이해 = 15
  • 1. 인간복제란 무엇인가? = 16
  • 가. 인간개체복제 = 16
  • 나. 인간배아복제 = 17
  • 다. 장기복제 = 19
  • 2. 인간복제에 대한 찬반 논의 = 20
  • 가. 인간복제에 대한 찬성 이유 = 20
  • 나. 인간 복제에 대한 반대 이유 = 22
  • IV. 수정후 14일의 논쟁 = 24
  • 1. 인간의 배아복제에 찬성하는 이유 - 불치병치료의 획기적 방법 = 25
  • 2. 인간의 배아복제에 반대하는 이유 - 수정란도 보호해야 할 생명체 = 27
  • V. 생명복제에 대한 대응 방안 - 법률안과 규제장치의 마련 = 30
  • 1. 세계 각국의 인간복제에 대한 입법례 = 31
  • 가. 독일 = 32
  • 나. 영국 = 34
  • 다. 미국 = 35
  • 2. 국내의 입법 현황 = 36
  • 가. 법제화의 필요성에대한 담론 = 37
  • 나. 기존의 입법논의 = 38
  • 다. 입법제안 = 39
  • VI. 결론 = 40
  • ◆ 참고도서 = 4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발행년 2000 

  • 조회 수 52549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6747

14 재생산 기술 가부장제와 한국의 저출산 문제 / 백수진

발행년 2009 

  • 조회 수 6965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의 생명윤리학적 고찰 / 신혜정

발행년 2002 

  • 조회 수 537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민정

발행년 2008 

  • 조회 수 4749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윤리성에 관한 연구 / 박인숙

발행년 2001 

  • 조회 수 3452

14 재생산 기술 잉여냉동배아의 이용에 대한 윤리적 평가와 불교적 입장 / 곽만연

발행년 2005 

  • 조회 수 2625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시술에 관한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연구 / 신미향

발행년 2013 

  • 조회 수 240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산업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 비상업적 대리모의 법적 보호를 중심으로 / 권은지

발행년 2015 

  • 조회 수 220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출산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김희수

발행년 2006 

  • 조회 수 1979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및 배아 대상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김한나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1526

14 재생산 기술 동성결혼과 입양, 대리모 허용에 관한 헌법적 연구 / 박해영

발행년 2015 

  • 조회 수 1437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고찰 / 도봉희

발행년 2008 

  • 조회 수 1425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를 규제하는 국제규범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모색 / 류병운

발행년 2014 

  • 조회 수 1211

14 재생산 기술 Human cloning laws, human dignity and the poverty of the policy making dialogue / Timothy Caulfield

발행년 2003 

  • 조회 수 120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정신적 고통에 관한 연구 / 박춘선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65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형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2005. 1. 1.)을 중심으로 / 김진희

발행년 2005 

  • 조회 수 1154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조명 / 김평관

발행년 2005 

  • 조회 수 1150

14 재생산 기술 원치 않은 아이에 따른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원치 않은 임신, 원치 않은 출산, 원치 않은 삶 / 이은영

발행년 2009 

  • 조회 수 1142

14 재생산 기술 CRISPR 유전자 가위를 통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손정우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