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860673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The) Moral Theological Consideration on the Human Embryo Cloning and Embryo Stem Cell Research

                    

http://www.riss.kr/link?id=T8860673            

  • 저자

    길성환                                       

  • 형태사항

    iii, 118 p. ; 27 cm .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실천신학전공 2003

  •                                                                                                       
  • 발행국

    광주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3

  • 초록 (Abstract)
    • The centralist point at an issue connected with research of the human embryo cloning and embryo stem cell is a ethical and legal problem that is caused by 'Breakdown of human embryo' that is regarded as a humanized life. Therefore, this treatise is wi...
    • The centralist point at an issue connected with research of the human embryo cloning and embryo stem cell is a ethical and legal problem that is caused by 'Breakdown of human embryo' that is regarded as a humanized life. Therefore, this treatise is wished to refer that such research should be prohibited properbly in the dignity of human life and value dimension, investigating critical consideration in the right of a biologic and philosophical situation and a situation of Catholicism church about if such researches can be justified really. But we unconditionally can not keep away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freedom and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 actuality. Then this treatise present the adult stem cell research by the alternative that ethically and legally do not become an issue because it is recognized rationality.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서론 = 1
    • 1. 문제제기 = 1
    • 2. 연구 범위와 방법 = 3
    • II. 본론 = 5
    • 제1장 생명복제에 대한 일반적 이해 = 5
    • 1.1 생명복제의 개념 = 5
    • 1.2 생명 복제 기술의 역사와 과정 = 6
    • 1.2.1 돌리 이전 = 6
    • 1.2.2 돌리 이후 = 8
    • 1.3 생명 복제 기술의 종류 = 10
    • 1.3.1 비핵이식법 = 10
    • 1.3.2 세포 핵이식법 = 11
    • 1.4 생명복제를 통한 인간복제 = 14
    • 1.4.1 인간복제의 개념 = 14
    • 1.4.2 인간복제의 현실적 가능성 = 15
    • 제2장 인간 배아에 대한 이해 = 17
    • 2.1 인간 배아에 대한 개념과 용어의 범위 = 17
    • 2.2 인간 배아의 도덕적 지위 문제 = 19
    • 2.3 인간 생명의 시작 = 21
    • 2.3.1 철학적 측면 = 22
    • 2.3.2 생물학적 측면 = 25
    • 2.3.3 그리스도교적 측면 = 31
    • 2.4 인간 배아의 연구의 필요성 = 38
    • 제3장 인간 배아복제를 통한 인간 배아 줄기세포의 생산과
    • 활용 = 41
    • 3.1 인간 배아 줄기세포의 개념 = 41
    • 3.2 줄기세포의 분류 = 43
    • 3.2.1 만능성세포(totipotent cell) = 43
    • 3.2.2 전능성세포(pluripotent cell) = 43
    • 3.2.3 다능성세포(multipotent cell) = 43
    • 3.3 인간 배아 줄기세포의 생산과 활용 = 44
    • 3.3.1 인간 배아 줄기세포의 생산 = 44
    • 3.3.2 인간 배아 줄기세포의 활용 = 46
    • 3.4 배아줄기세포의 기초연구 및 임상적 적용 = 49
    • 3.4.1 발생 연구 및 신약 스크리닝(Screening: 의학검사,
    • 검증)의 획기적인 모델(tool)로서의 배아줄기세포 배양 =
    • 49
    • 3.4.2 세포대체요법(cell replacement theraphy)의 완벽
    • 한 세포 공급원으로서의 배아줄기세포 = 50
    • 3.4.3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있어서 해결해야 될 문제점 =
    • 52
    • 3.5 인간 배아연구를 통한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국내외의
    • 최근 동향과 전망 = 54
    • 제4장 성체줄기세포에 대한 이해 = 59
    • 4.1 성체줄기세포의 개념 = 59
    • 4.2 성체줄기세포의 연구 과정 = 60
    • 4.3 성체줄기세포와 배아줄기세포의 유용성 비교 = 60
    • 4.4 성체줄기세포 연구의 한계성 = 63
    • 제5장 인간 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법률적
    • 쟁점들 = 65
    • 5.1 인간 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 쟁점들
    • = 65
    • 5.1.1 배아복제 = 65
    • 5.1.2 배아줄기세포 = 68
    • 5.2 인간 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법률적인 쟁점
    • 들 = 71
    • 5.2.1 인간 배아의 법적 지위의 문제 = 71
    • 5.2.2 인간 배아 연구와 배아줄기세포 = 74
    • 5.3 최근 국내외 공공 정책의 동향과 법 제정의 논쟁 = 81
    • 5.3.1 미국 = 83
    • 5.3.2 독일 = 84
    • 5.3.3 프랑스 = 85
    • 5.3.4 영국 = 85
    • 5.3.5 한국 = 88
    • 5.3.6 인간 배아 연구에 관한 가이드라인 = 90
    • 제6장 인간 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대한 가톨릭
    • 교회의 윤리신학적 입장 = 93
    • 6.1 인간 배아 복제 = 93
    • 6.1.1 인간 배아에 대한 치료적 기술조작 = 94
    • 6.1.2 인간 배아에 대한 연구와 실험 = 95
    • 6.1.3 잉여배아의 사용 및 보관 = 96
    • 6.1.4 인간 배아복제 = 99
    • 6.2 배아줄기세포 = 100
    • 6.3 배아줄기세포의 활용에 대한 교회의 대안 = 103
    • 6.3.1 성체줄기세포의 이용 = 103
    • III. 결론 = 106
    • 참고문헌 = 110
    • = 1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26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김수흥 2008  441
    225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 임학빈 2005  437
    224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의 인간성에 관한 인간학적 고찰 / 한희숙 2009  434
    223 14 재생산 기술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종교적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유경동 2015  433
    222 14 재생산 기술 인간 착상 과정에 자궁내막과 배아의 역할 / 지병철 2009  431
    221 14 재생산 기술 불임지원 활성화를 위한 불임지원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서유미 2009  430
    220 14 재생산 기술 동결 배아 이식에서의 동결 배아 보존 방법에 따른 임상 결과 비교 연구 / 이아름 2016  424
    219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2015  423
    218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10
    217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줄기세포 연구를 중심으로 / 박진성 2010  407
    216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
    215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길성환 2003  401
    213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212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황나미 2013  392
    211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후 쌍태 임신의 결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철홍, 이여길 2000  387
    21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과 부모 결정 : 법적·철학적 함의 / 박준석 2013  384
    209 14 재생산 기술 기술화된 계약 임신 경험을 통해 본 대리모의 행위성 구성에 관한 연구 / 이은주 2008  381
    208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 비밀출산제도(l`accouchement secret)의 현황/이지은 2015  377
    207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난임 부부 인식조사 / 김인화 외 2017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