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364039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 Analysis of Current Concepts and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Cloning

                    

http://www.riss.kr/link?id=T10364039            

  • 저자

    임학빈                                       

  • 형태사항

    iv, 12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상호
    단면인쇄
    부록수록
    참고문헌 : p. 85-8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2005.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5

초록 (Abstract)

  • 초 록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임 학 빈 인간 체세포를 포함한 복제실험의 성공은 생명공학 기술을 폭발적 증가시키나, 일...
  • 초 록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임 학 빈 인간 체세포를 포함한 복제실험의 성공은 생명공학 기술을 폭발적 증가시키나, 일반적인사회 요인들은 이런 기술의 진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상업적 대중매체는 우리에게 생명 공학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에 대하여 정확한 정보를 주기보다는 성과 위주의 일시적인 보도만으로 일관되어 있다. 더욱이, 한국의 최신 생물 교과서는 질적으로 양적인 면에서 관련된 기초 원리와 적용에 대해 충분히 다루고 있지 않다. 현행 교과서에는 도덕적 문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고 혼란을 주고 있다. 의심할 여지없이, 본 연구는 복제에 관한 고교생들의 현재의 개념과 인식에 대한 것이다. 최종 설문은 82개의 질문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역, 성, 종교, 학년, 대학진학예정에 따라 644명의 학생이 설문을 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 고등학생들이 생명 복제에 대해 거의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심지어 왜곡된 정보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학생들 사이에는 생명의 시작과 복제에 관한 내용이 미 확립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Abstract
    • I. 서 론
    • 1. 연구배경
    • 2. 연구의 필요성
    • 3. 연구목적
    • 4. 연구의 제한점
    • Ⅱ. 연구방법 및 분석
    • 1. 생명 복제에 관한 문항 작성
    • 2. 예비 설문 조사
    • 3. 설문 조사 실시
    • 4. 설문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징
    • 5. 통계처리
    • Ⅲ. 연구결과
    • <학생들의 설문에 대한 변수별 응답>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1> 설문지
    • <부록 2> 644명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결과
    • <부록 3> 82개 문항 중 49문항의 선정
    • <부록 4> 분석을 할 7개 영역 35개의 문제
    • <부록 5> 설문 통계 처리 후 변수에 따른 유의성 존재
    • <부록 6> 7차 교육과정 생물Ⅰ, 생물Ⅱ 교과서 분석
    • <부록 7> 월간과학 잡지에 소개된 최근 13년간 복제 관련 자료
    • 초 록
    • 표 목 차
    •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
    • <표 2> 생명복제 정보에 대한 인지정도
    • <표 3> 생명복제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매체
    • <표 4> 복제 양 돌리의 출생국
    • <표 5> 복원하고 싶은 멸종 동물
    • <표 6> 월간 과학 잡지나 과학서적 구독 여부
    • <표 7> 대중매체를 통한 생명공학 내용 중 가장 문제가 되는 점
    • <표 8> 가장 기억에 남는 생명복제 소재 영상
    • <표 9> 생명복제에 대한 수업을 가장 많이 받은 과목
    • <표 10> 생명복제에 대한 수업 내용
    • <표 11> 생명복제 기술을 통한 가장 큰 이점
    • <표 12> 복제 소의 고기 거래 시 구매 의사
    • <표 13> 인간 생명의 시작 시기
    • <표 14> 복제 동물 탄생을 위해 쓰여 진 수정란의 수
    • <표 15> 인간복제에 대한 찬성 의사
    • <표 16> 인간 복제에 대한 논문별 찬성/반대 비율
    • <표 17> 복제인간이 가장 먼저 탄생할 것 같은 국가
    • <표 18> 복제인간이 태어나면 안 되는 이유
    • <표 19> 생명윤리 교육을 받아야 하는 대상
    • <표 20> 인간이 유리한 쪽으로 변형되는 생명에 대한 인식
    • <표 21> 배아를 생명체로 인식하는 종교계 및 시민단체의 입장 지지 여부
    • <표 22> 배아 줄기 세포의 난치병 치료사용에 대한 찬성
    • <표 23> 생명복제에 대해 반대 입장을 가진 종교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126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강은영 2015  190
    125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親子法 개관 - 2014년 혼인과 가족법과 2010년 입양법을 중심으로 / 이재열 2016  190
    124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존엄 : 생식체계(Reproduction System)에 관한 미국의 입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 박선용 2006  188
    123 14 재생산 기술 냉동 보존 기간에 따른 저장 제대혈의 생존능력 평가 / 이혜련 2013  183
    122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받은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정유정 2017  182
    121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2000  180
    120 14 재생산 기술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복제인간과 능동성 연구 / 이진미 2017  179
    11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를 둘러싼 프랑스의 법적 동향 / 김현진 2018  178
    118 14 재생산 기술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 배지현 외 2018  175
    117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된 인간에서 복제된 인간으로 / 천현순 2016  174
    11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기해 출생한 자의 친자관계 결정기준 / 윤우일 2012  172
    115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 시술시 미세조작에 의한 임신율의 증진에 관한 연구 / 노환철 1993  171
    114 14 재생산 기술 체세포 핵이식 기법을 이용한 소 형질전환 복제배아의 생산에 관한 연구 / Bhuiyan, Mohammad Musharraf Uddin 2004  167
    113 14 재생산 기술 돼지와 생쥐 난자의 체외성숙과 배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임자력 2016  164
    112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관련 재료 및 소모품의 국산화 필요성에 대한 고찰/차병헌, 전진현 2011  164
    111 14 재생산 기술 난임 경험 속에 나타난 관계 단절에 대한 고찰 / 윤은경 2016  163
    110 14 재생산 기술 착상전유전자선별검사와 배아생성자의 권리 / 배현아 외 2018  162
    109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의 미술치료 체험연구 / 이혜연 2019  162
    108 14 재생산 기술 난자매매에 대한 형사제재의 정당성과 한계/황만성 2007  161
    10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논난과 법적 문제점 / 이창상 2005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