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장애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90699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A Suggestion of Reproductive Rights from th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101890699
저자명 나영정
학술지명 한국장애학
권호사항 Vol.1 No.1 [2016] 
발행처 한국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disabilitystudies.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5-98(34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KDC 330


초록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재생산권리가 법, 정책, 의료, 문화적 차원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에 관심을 가지면서, 특히 그동안 재생산권리의 주체로 여겨지지 못했던 장애여성의 경험을 통해 재생산권리의 정치적 의미와 사회적 맥락을 보고자 하였다. 한국사회에서는 그동안 국가 주도의 인구정책이 강하게 추진되어오면서 여성의 몸이 도구화되고, 경제성장과 국가발전을 위한 모자보건정책이 시행됨으로써 손상과 장애를 가진 이들의 생명이 국가로부터 경시되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편, 강화되는 의료화와 유전자 기술의 발달 및 상품화는 ‘질 좋은 인구’에 대한 욕망을 개인화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가로부터, 가족으로부터 재생산권리를 부정당하고 장애로 인한 차별을 경험하는 가운데서도 임신과 출산을 고민하고 실행하는 장애여성들의 경험과 관점은 재생산권리를 둘러싼 복잡한 권력과 맥락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페미니즘과 장애 정치의 교차를 통해서 재생산권리에 개입되는 젠더, 섹슈얼리티, 건강, 장애, 정상성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국가의 이해가 아니라 인권으로서 재생산권리를 다시 제기하기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어야 한다.

 


 목차
1. 서론: 한국사회의 재생산권리와 장애여성의 삶
2. 연구 방법 및 선행 연구 검토
2.1 연구 방법과 과정
2.2 선행 연구 검토
3. 국가의 필요에서 여성의 요청으로
4. 취약한 존재이자 위협적인 존재: 장애여성
4.1 생리 안하는 수술을 거부하는 것도 성적 권리
4.2 애기보를 엎어서 와라
4.3 단호하게 제가 키우기로 결심했어요.
4.4 의료기술과 권력: 산전검사를 겪는 장애여성
4.5 소결
5. 결론: 페미니즘과 장애 정치의 결합을 통해서 해나갈 수 있는 것


주제어
재생산권  ,장애여성  ,페미니즘  ,모자보건법  ,인구정책  ,산전검사  ,Reproductive Rights  ,Women with Disabilities  ,Feminism  ,Mother and Child Health Act  ,Popluation Policy  ,Prenatal Screening Tes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8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의 법적 문제점과 입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나은지 2015  310
185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 잉여 냉동배아를 이용하는 데는 윤리적인 문제가 따르지 않는가 / 임종식 2001  309
184 14 재생산 기술 신선 비공여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후 자궁외임신의 발생과 연관된 위험요소에 관한 연구 / 유상우 2008  301
183 14 재생산 기술 형법상 낙태와 모자보건법상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의료법리학적 이해/손영수 2010  295
18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2013  294
181 14 재생산 기술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최진일 2017  283
180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지원 보건의료정책의 현황과 추진 방향 / 이소영 2017  283
17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를 둘러싼 쟁점과 해결방안 - 입법론을 중심으로 - / 현소혜 2018  280
178 14 재생산 기술 완만동결된 배아와 유리화 동결된 배아를 이식했을 때의 임신 예후의 비교 /곽은희 2014  278
»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7
176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배아에 대한 쟁점사항 및 입법논의 / 이인영 2009  273
175 14 재생산 기술 배아,태아,유아에 대한 불법행위와 위자료청구권 / 최장섭 2013  273
174 14 재생산 기술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 『네버 렛 미 고』 연구 / 손영도 2017  271
173 14 재생산 기술 인공생식의 민법상 쟁점에 관한 법리 연구 / 김상헌 2015  270
172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 논쟁 / 문성학 외 2010  269
171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에 발생한 Candida glabrata 감염으로 인한 패혈 유산 1예 / 이서현 2013  269
170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2005  267
169 14 재생산 기술 조혈모세포 기증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박충민, 안소희 2017  267
168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시대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양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 변미희 2011  266
167 14 재생산 기술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 진도왕 2018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