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한의학과 생리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112728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Studies directed at elucidating Sterility in Korean Medicine / 양인석


저자 양인석
형태사항 53 ; 26cm
일반주기 지도교수:김광중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한의학과 생리학 2013. 2
발행국 경상북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3
소장기관 대구한의대학교 학술정보관


초록
한의학적 불임 치료의 연구결과를 고찰하고 이를 표준화 및 객관화하여 근거중심의 한의학적 불임치료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불임에 관한 한의학 연구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실험연구의 연도별 발표현황은 2000년부터 논문편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5년을 제외하고 매년 꾸준한 발표현황을 나타내고 있었다. 기관별 발표현황은 경희대학교에서 가장 많은 11편의 석사학위논문과 13편의 박사학위논문이 발표되었다. 불임유형별 발표현황은 남성불임에 관한 연구가 25편이었고 여성불임에 관한 연구가 8편이었으며, 2003년 이전에는 주로 여성불임에 관한 학위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3년부터는 남성불임에 관한 학위논문이 더욱 활발하게 발표되고 있었다. 투여 약물 및 처방별로 살펴보면, 단일약물을 투여하여 실험한 연구는 25편이었고, 단일처방을 투여하여 실험한 연구는 8편이었다. 단일약물을 투여하여 실험한 연구 중 남성불임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는 人蔘을 투여한 논문이 4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여성불임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는 鹿茸, 小茴香, 吳茱萸, 紫河車를 투여한 연구가 각각 1편이었다. 그리고 처방을 투여하여 실험한 논문 중, 남성불임을 주제로 한 논문의 경우 右歸飮과 八味地黃丸을 투여한 논문이 각각 1편이었으며, 여성불임을 주제로 한 논문의 경우 溫土毓麟湯을 투여한 논문이 2편, 加味歸脾湯, 附益地黃丸, 十全濟陰丸, 溫胞飮, 六味地黃湯, 蒼附導痰丸, 八物君子湯 加味方을 투여한 논문이 각각 1편으로 나타났다. 향후 보다 다양한 약물 및 처방과 침구치료, 外治法을 활용하여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이는 임상적인 불임치료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연구의 연도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00년부터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0년부터 2011년까지 15편의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발행학술지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에서 가장 많은 13편의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1저자 소속기관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동국대학교 소속이 가장 많은 4편으로 나타났다.
불임관련 임상연구 중 임상연구를 피험자 수별로 분석한 결과, 1~9명이 10편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연구설계별로 분석한 결과, 증례보고가 9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환자군연구는 6편, 전후연구는 4편으로 나타났다. 중재방법별로 분석한 결과, 한약을 단독 투여한 논문이 1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약 및 침구부항치료를 병행한 논문이 6편, 한방요법과 기타보조요법을 병행하여 치료한 논문은 3편이었다. 변증유무별로 분석한 결과, 변증을 시행한 논문이 12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변증을 시행하는 않은 논문은 6편이었고 사상체질변증을 시행한 논문이 1편이었다. IRB 승인여부별로 분석한 결과, IRB 승인을 받지 않은 논문이 18편으로 대부분이었으며, IRB 승인을 받은 논문은 1편이었다.
지금까지 한의학 학술지에 발표된 불임관련 임상연구를 살펴보면 RCT 연구는 한편도 없었으며 또한 IRB 승인을 받은 논문은 1편에 불과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의학적 변증을 시행하지 않은 논문도 6편이 있었다. 향후 보다 계획적이고 정밀한 연구방법을 통해 근거중심에 기반한 한의학적 불임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I. 서론
II. 연구대상선정 및 연구방법
III. 결과 
IV. 고찰
V. 결론


주제어
sterility, Korean medicine treatmen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86 14 재생산 기술 민법상 대리모계약에 관한 입법방향 / 박종렬 2013  1028
18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2013  294
18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2013  596
183 14 재생산 기술 일반논문 : 대리출산의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3  599
182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황나미 2013  392
18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과 부모 결정 : 법적·철학적 함의 / 박준석 2013  384
180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 지원제도 개선 방안 /이서영 2013  585
17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정신적 고통에 관한 연구 / 박춘선 2013  1165
178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하정옥 2013  441
177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시술에 관한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연구 / 신미향 2013  2413
176 14 재생산 기술 조기 태아성별 확인법 개발, 무엇이 문제인가? / 구인회 2013  659
175 14 재생산 기술 비교법적 고찰을 통한 생명윤리법상 유전자진단 규정의 개선방안 연구 / 신옥주 2013  495
174 14 재생산 기술 치료 발전을 위한 인간복제배아 연구의 허용성 여부에 대한 검토 및 관련 생명윤리법 규정의 타당성 / 오정한 2013  687
173 14 재생산 기술 ‘잔여’ 배아와 난자의 연구목적 이용을 둘러싼 쟁점 / 정연보 2013  628
»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2013  322
171 14 재생산 기술 냉동 보존 기간에 따른 저장 제대혈의 생존능력 평가 / 이혜련 2013  183
170 14 재생산 기술 배아,태아,유아에 대한 불법행위와 위자료청구권 / 최장섭 2013  274
169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에 발생한 Candida glabrata 감염으로 인한 패혈 유산 1예 / 이서현 2013  269
168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 이을상 2013  99
167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 남국현 2013  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