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한의학과 생리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112728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Studies directed at elucidating Sterility in Korean Medicine / 양인석


저자 양인석
형태사항 53 ; 26cm
일반주기 지도교수:김광중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한의학과 생리학 2013. 2
발행국 경상북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3
소장기관 대구한의대학교 학술정보관


초록
한의학적 불임 치료의 연구결과를 고찰하고 이를 표준화 및 객관화하여 근거중심의 한의학적 불임치료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불임에 관한 한의학 연구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실험연구의 연도별 발표현황은 2000년부터 논문편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5년을 제외하고 매년 꾸준한 발표현황을 나타내고 있었다. 기관별 발표현황은 경희대학교에서 가장 많은 11편의 석사학위논문과 13편의 박사학위논문이 발표되었다. 불임유형별 발표현황은 남성불임에 관한 연구가 25편이었고 여성불임에 관한 연구가 8편이었으며, 2003년 이전에는 주로 여성불임에 관한 학위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3년부터는 남성불임에 관한 학위논문이 더욱 활발하게 발표되고 있었다. 투여 약물 및 처방별로 살펴보면, 단일약물을 투여하여 실험한 연구는 25편이었고, 단일처방을 투여하여 실험한 연구는 8편이었다. 단일약물을 투여하여 실험한 연구 중 남성불임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는 人蔘을 투여한 논문이 4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여성불임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는 鹿茸, 小茴香, 吳茱萸, 紫河車를 투여한 연구가 각각 1편이었다. 그리고 처방을 투여하여 실험한 논문 중, 남성불임을 주제로 한 논문의 경우 右歸飮과 八味地黃丸을 투여한 논문이 각각 1편이었으며, 여성불임을 주제로 한 논문의 경우 溫土毓麟湯을 투여한 논문이 2편, 加味歸脾湯, 附益地黃丸, 十全濟陰丸, 溫胞飮, 六味地黃湯, 蒼附導痰丸, 八物君子湯 加味方을 투여한 논문이 각각 1편으로 나타났다. 향후 보다 다양한 약물 및 처방과 침구치료, 外治法을 활용하여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이는 임상적인 불임치료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연구의 연도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00년부터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0년부터 2011년까지 15편의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발행학술지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에서 가장 많은 13편의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1저자 소속기관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동국대학교 소속이 가장 많은 4편으로 나타났다.
불임관련 임상연구 중 임상연구를 피험자 수별로 분석한 결과, 1~9명이 10편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연구설계별로 분석한 결과, 증례보고가 9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환자군연구는 6편, 전후연구는 4편으로 나타났다. 중재방법별로 분석한 결과, 한약을 단독 투여한 논문이 1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약 및 침구부항치료를 병행한 논문이 6편, 한방요법과 기타보조요법을 병행하여 치료한 논문은 3편이었다. 변증유무별로 분석한 결과, 변증을 시행한 논문이 12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변증을 시행하는 않은 논문은 6편이었고 사상체질변증을 시행한 논문이 1편이었다. IRB 승인여부별로 분석한 결과, IRB 승인을 받지 않은 논문이 18편으로 대부분이었으며, IRB 승인을 받은 논문은 1편이었다.
지금까지 한의학 학술지에 발표된 불임관련 임상연구를 살펴보면 RCT 연구는 한편도 없었으며 또한 IRB 승인을 받은 논문은 1편에 불과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의학적 변증을 시행하지 않은 논문도 6편이 있었다. 향후 보다 계획적이고 정밀한 연구방법을 통해 근거중심에 기반한 한의학적 불임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I. 서론
II. 연구대상선정 및 연구방법
III. 결과 
IV. 고찰
V. 결론


주제어
sterility, Korean medicine treatmen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6 14 재생산 기술 난포의 크기와 난황의 첨가가 초자화동결소 미성숙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연승은 2001  366
205 14 재생산 기술 동물 권리론으로 본 동물 복제 / 김성한 2014  362
20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2008  360
203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2007  355
202 14 재생산 기술 체외 수정 시술을 시행하는 여성에서 항인지질 항체가 체외 수정 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2001  353
201 14 재생산 기술 포유동물 초기배아의 체외성숙과 체외발달 및 이종간의 체외수정에 대한 연구 / 김영훈 2010  350
200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2006  349
19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서은희 2017  345
198 14 재생산 기술 푸코로 읽는 영화 〈네버 렛 미 고〉의 휴머니즘/ 최영미, 조이운 2018  344
19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규제 및 지원·감독 체계에 관한 연구 / 김은애 2014  334
196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2010  333
195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사회에서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연구 / 윤계형 2009  324
194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193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2018  323
»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2013  322
191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2017  320
190 14 재생산 기술 불임여성의 몸을 통해 본 재생산 기술의 정치학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박용운 2002  318
189 14 재생산 기술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2016  315
188 14 재생산 기술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본한국의 불법생식세포 매매 실태 및 개선방안/문한나, 박소연, 김명희 2016  311
187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의 문화변동과 국가의 개입 / 하정옥 2015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