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서울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79067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A Study on legal regulations for baby"s right to life : around a matter of abandonment of baby and babybox



  • 제어번호 :    101779067

    저자명   :     엄주희(Eom, Juhee)                       

  • 학술지명  :  서울법학                

    권호사항  :  Vol.23 No.3 [2016]     

    발행처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91-124(34쪽)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6년

    재정보   :   KCI등재


    http://www.riss.kr/link?id=A101779067


  • 주제어

    영아유기 ,생명권 ,자기결정권 ,익명출산 ,비밀출산 ,혼인과 가족의 보호 ,abandonment of a baby ,right to life ,right of self-determination ,anonymous birth ,secret birth ,protection of marriage and family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 베이비박스는 중세 때 양육이 곤란한 사람들이 아이를 맡기도록 하기 위하여 종교시설과 고아원 담장에 설치되었던 전통에서 시작하여 2000년 전후로 세계 여러나라에 설치되었다. 국내 유일의 베이비박스가 2009년도부터 설치 운영되고 있는데 2013년도 입양특례법으로서 입양허가제가 도입된 이후에 영아유기가 급증하고 베이비박스에 들어오는 영아의 수도 급증하였다. 베이비박스 이용행위와 영아유기의 문제점을 규범적으로 살펴보고 해외의 입법례를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베이비박스에 영아를 두는 행위는 영아유기죄의 위법성이 있다고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면책 조항을 두어 입법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영아를 양육할 수 없는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사람이 영아를 유기하지 않고 국가와 사회에 맡길 수 있는 최후 수단으로서 베이비박스가 기능하기 때문에 아동의 생명권 보호의 문제가 된다. 세 번째 영아의 양육과 성장에 대해 국가가 부모와 더불어 공동의 책임을 부담한다. 가정 내 양육되고 보호받을 수 있도록 양육에 관한 직접 급여와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네 번째 혼인과 가족의 보호라는 헌법적 요청은 친생모의 자기결정권과 동시에 영아의 친생부모를 알권리와 친생부모로부터 양육될 권리 등을 통해 혼인과 가족생활을 스스로 결정하고 형성할 자유를 보장한다. 전세계적으로 베이비박스가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독일과 체코에서 익명출산과 비밀출산을 법제화하여 운영함으로써 영아의 복리 증진과 친생모의 자기결정권 보호를 동시에 충족시키고 있는 사례가 우리나라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 목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규범적 고찰
  • Ⅲ. 해외 베이비박스 법제 현황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6 14 재생산 기술 난포의 크기와 난황의 첨가가 초자화동결소 미성숙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연승은 2001  366
    205 14 재생산 기술 동물 권리론으로 본 동물 복제 / 김성한 2014  362
    20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2008  360
    203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2007  355
    202 14 재생산 기술 체외 수정 시술을 시행하는 여성에서 항인지질 항체가 체외 수정 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2001  353
    201 14 재생산 기술 포유동물 초기배아의 체외성숙과 체외발달 및 이종간의 체외수정에 대한 연구 / 김영훈 2010  350
    200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2006  349
    19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서은희 2017  345
    198 14 재생산 기술 푸코로 읽는 영화 〈네버 렛 미 고〉의 휴머니즘/ 최영미, 조이운 2018  344
    19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규제 및 지원·감독 체계에 관한 연구 / 김은애 2014  334
    196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2010  333
    195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사회에서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연구 / 윤계형 2009  324
    194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193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2018  323
    192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2013  322
    191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2017  320
    190 14 재생산 기술 불임여성의 몸을 통해 본 재생산 기술의 정치학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박용운 2002  318
    » 14 재생산 기술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2016  315
    188 14 재생산 기술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본한국의 불법생식세포 매매 실태 및 개선방안/문한나, 박소연, 김명희 2016  311
    187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의 문화변동과 국가의 개입 / 하정옥 2015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