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서울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79067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A Study on legal regulations for baby"s right to life : around a matter of abandonment of baby and babybox



  • 제어번호 :    101779067

    저자명   :     엄주희(Eom, Juhee)                       

  • 학술지명  :  서울법학                

    권호사항  :  Vol.23 No.3 [2016]     

    발행처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91-124(34쪽)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6년

    재정보   :   KCI등재


    http://www.riss.kr/link?id=A101779067


  • 주제어

    영아유기 ,생명권 ,자기결정권 ,익명출산 ,비밀출산 ,혼인과 가족의 보호 ,abandonment of a baby ,right to life ,right of self-determination ,anonymous birth ,secret birth ,protection of marriage and family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 베이비박스는 중세 때 양육이 곤란한 사람들이 아이를 맡기도록 하기 위하여 종교시설과 고아원 담장에 설치되었던 전통에서 시작하여 2000년 전후로 세계 여러나라에 설치되었다. 국내 유일의 베이비박스가 2009년도부터 설치 운영되고 있는데 2013년도 입양특례법으로서 입양허가제가 도입된 이후에 영아유기가 급증하고 베이비박스에 들어오는 영아의 수도 급증하였다. 베이비박스 이용행위와 영아유기의 문제점을 규범적으로 살펴보고 해외의 입법례를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베이비박스에 영아를 두는 행위는 영아유기죄의 위법성이 있다고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면책 조항을 두어 입법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영아를 양육할 수 없는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사람이 영아를 유기하지 않고 국가와 사회에 맡길 수 있는 최후 수단으로서 베이비박스가 기능하기 때문에 아동의 생명권 보호의 문제가 된다. 세 번째 영아의 양육과 성장에 대해 국가가 부모와 더불어 공동의 책임을 부담한다. 가정 내 양육되고 보호받을 수 있도록 양육에 관한 직접 급여와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네 번째 혼인과 가족의 보호라는 헌법적 요청은 친생모의 자기결정권과 동시에 영아의 친생부모를 알권리와 친생부모로부터 양육될 권리 등을 통해 혼인과 가족생활을 스스로 결정하고 형성할 자유를 보장한다. 전세계적으로 베이비박스가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독일과 체코에서 익명출산과 비밀출산을 법제화하여 운영함으로써 영아의 복리 증진과 친생모의 자기결정권 보호를 동시에 충족시키고 있는 사례가 우리나라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 목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규범적 고찰
  • Ⅲ. 해외 베이비박스 법제 현황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 논쟁 / 문성학 외

    발행년 2010 

    • 조회 수 269

    14 재생산 기술 수정란과 배아의 지위에 관한 윤리적 고찰 / 김광연

    발행년 2016 

    • 조회 수 56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산업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 비상업적 대리모의 법적 보호를 중심으로 / 권은지

    발행년 2015 

    • 조회 수 2201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및 배아 대상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김한나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1534

    14 재생산 기술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5

    14 재생산 기술 독일에서의 베이비박스와 비밀출산법제 / 신동현

    발행년 2015 

    • 조회 수 918

    14 재생산 기술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에 관한 소고/장복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249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 비밀출산제도(l`accouchement secret)의 현황/이지은

    발행년 2015 

    • 조회 수 375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에 대한 제한원칙으로서의 위해원칙의 한계/김정아

    발행년 2015 

    • 조회 수 134

    14 재생산 기술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본한국의 불법생식세포 매매 실태 및 개선방안/문한나, 박소연, 김명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1

    14 재생산 기술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종교적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유경동

    발행년 2015 

    • 조회 수 433

    14 재생산 기술 Banning Human Cloning-Then What?

    발행년 2001 

    • 조회 수 67

    14 재생산 기술 난자매매에 대한 형사제재의 정당성과 한계/황만성

    발행년 2007 

    • 조회 수 161

    14 재생산 기술 ‘세 부모 아이’ 대 ‘세 사람 아이’/하대청,차승현,김근,이연호,백수진,김명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584

    14 재생산 기술 배아복제 논의에 있어서 단정적 태도와 오류가능성 인정 태도 / 유호종

    발행년 2005 

    • 조회 수 219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배아에 대한 쟁점사항 및 입법논의 / 이인영

    발행년 2009 

    • 조회 수 273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3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발행년 2015 

    • 조회 수 253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4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발행년 2015 

    • 조회 수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