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比較私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591050 


독일에서의 베이비박스와 비밀출산법제
= Babyklappe und vertrauliche Geburt in Deutschland


- 제어번호 101591050

- 저자명 신동현(Shin, Dong-Hyeon) 

- 학술지명 比較私法

- 권호사항 Vol.22 No.4 [2015] 

- 발행처 :한국비교사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865-1800(-6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등재정보 KCI등재

- 주제어


- 판매처 교보문고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극복할 수 없는 사정으로 인하여 자녀의 양육을 원하지 않는 임신여성이 그러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독일에서 활용되어 온 대안은 익명으로 아이를 위탁하는 것(anonyme Kindesabgabe)이었다. 익명위탁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익명인도(anonyme Übergabe)와 익명출산(anonyme Geburt) 및 베이비박스(Babyklappe)의 이용이 있다. 그러나, 특히 베 이비박스에 아이를 넣는 것이나 익명출산 등의 증가는 독일의 법질서와 윤리적인 측면에서 그 적법성 및 정당성을 놓고 극심한 논란이 제기되었다. 이에 독일은 독일윤리위원회 (Deutscher Ethikrat)의 검토 및 권고(Empfehlungen)와 독일청소년연구소(DJI)의 조사결과 등을 바탕으로, 익명으로 이루어지는 출산 및 아이의 위탁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고 제도화하기 위하여 2013년에 비밀출산(vertrauliche Geburt)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제도 (비밀출산법제)를 도입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는, ‘비밀출산법’(SchwHiAusbauG)을 제정하게 되었고, 이 법률은 2014년 5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법률의 주요 목적은 임신여성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함과 동시에 비밀출산을 제도화하는 것이다. 이는 임신으로 인하여 곤란한 상황(Schwangerschaftskonflikten)에 놓여있는 임신여성의 익명성에 대한 필요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아이의 출생의 기원을 알 권리(das Recht auf Kenntnis der Abstammung) 역시 충분히 보장함으로써 임신여성과 아이의 권리를 모두 보장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와 같이 독일은, 임신으로 인하여 곤란한 상황에 빠진 임신여성들에게 베이비박스 등보다 더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상담(Beratung)제도와 비밀출산제도를 실시 및 운영함으로써 베이비박스 등의 이용을 대체하고, 나아가 베이비박스 등의 이용을 자연적으로 소멸 내지 감소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베이비박스와 관련된 독일에서의 상황과 그 대처방법은, 베 이비박스가 새로이 등장하여 최근 뜨거운 논란이 제기되기 시작한 우리나라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도 일정 부분 참고할만한 내용이 되리라 생각한다





- 목차


Ⅰ. 들어가며

  • Ⅱ. 베이비박스 등의 현황과 그에 관한 논란

  • Ⅲ. 비밀출산제도의 도입과 그 주요내용

  • Ⅳ. 비밀출산제도의 전망과 베이비박스 등에의 영향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06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 및 대안 / 박상중 2003  1045
    305 14 재생산 기술 민법상 대리모계약에 관한 입법방향 / 박종렬 2013  1028
    304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이화선 2004  1026
    303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존재론적 지위와 그 존엄성에 관한 연구 : 샌델과 하버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광연 2014  1013
    302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의 친자관계에 대한 법률안의 제안 / 성윤미, 김숙정 2012  968
    301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성찰 :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법적 규제를 중심으로 / 구홍일 2007  930
    » 14 재생산 기술 독일에서의 베이비박스와 비밀출산법제 / 신동현 2015  917
    299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2008  892
    29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의 현황과 문제점 / 문신용 2000  871
    297 14 재생산 기술 The effect of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in IVF-ET procedure / 윤혜진 2014  859
    296 14 재생산 기술 생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 양혜란 1995  856
    295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생명윤리학적 고찰 / 김은진 2005  834
    29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여성의 심리사회적 고통 체험 연구: Parse의 인간되어감 방법을 적용하여 / 김현경 2010  821
    293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 / 홍자영 2006  812
    292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대리모에서의 모성 결정에 관한 고찰 / 이인영 2011  810
    291 14 재생산 기술 대리임신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백승흠 2007  807
    290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시술에 적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보조부화술에 관한 연구 / 박성백 2014  777
    289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대리모제도 : 그 입법론적 연구 / 박동진 2010  772
    288 14 재생산 기술 헌법상 배아의 인간존엄성과 생명권에 관한 연구 / 김용범 2010  757
    287 14 재생산 기술 한스 요나스의 인간복제 비판 연구 / 유석만 2007  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