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比較私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591050 


독일에서의 베이비박스와 비밀출산법제
= Babyklappe und vertrauliche Geburt in Deutschland


- 제어번호 101591050

- 저자명 신동현(Shin, Dong-Hyeon) 

- 학술지명 比較私法

- 권호사항 Vol.22 No.4 [2015] 

- 발행처 :한국비교사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865-1800(-6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등재정보 KCI등재

- 주제어


- 판매처 교보문고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극복할 수 없는 사정으로 인하여 자녀의 양육을 원하지 않는 임신여성이 그러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독일에서 활용되어 온 대안은 익명으로 아이를 위탁하는 것(anonyme Kindesabgabe)이었다. 익명위탁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익명인도(anonyme Übergabe)와 익명출산(anonyme Geburt) 및 베이비박스(Babyklappe)의 이용이 있다. 그러나, 특히 베 이비박스에 아이를 넣는 것이나 익명출산 등의 증가는 독일의 법질서와 윤리적인 측면에서 그 적법성 및 정당성을 놓고 극심한 논란이 제기되었다. 이에 독일은 독일윤리위원회 (Deutscher Ethikrat)의 검토 및 권고(Empfehlungen)와 독일청소년연구소(DJI)의 조사결과 등을 바탕으로, 익명으로 이루어지는 출산 및 아이의 위탁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고 제도화하기 위하여 2013년에 비밀출산(vertrauliche Geburt)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제도 (비밀출산법제)를 도입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는, ‘비밀출산법’(SchwHiAusbauG)을 제정하게 되었고, 이 법률은 2014년 5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법률의 주요 목적은 임신여성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함과 동시에 비밀출산을 제도화하는 것이다. 이는 임신으로 인하여 곤란한 상황(Schwangerschaftskonflikten)에 놓여있는 임신여성의 익명성에 대한 필요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아이의 출생의 기원을 알 권리(das Recht auf Kenntnis der Abstammung) 역시 충분히 보장함으로써 임신여성과 아이의 권리를 모두 보장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와 같이 독일은, 임신으로 인하여 곤란한 상황에 빠진 임신여성들에게 베이비박스 등보다 더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상담(Beratung)제도와 비밀출산제도를 실시 및 운영함으로써 베이비박스 등의 이용을 대체하고, 나아가 베이비박스 등의 이용을 자연적으로 소멸 내지 감소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베이비박스와 관련된 독일에서의 상황과 그 대처방법은, 베 이비박스가 새로이 등장하여 최근 뜨거운 논란이 제기되기 시작한 우리나라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도 일정 부분 참고할만한 내용이 되리라 생각한다





- 목차


Ⅰ. 들어가며

  • Ⅱ. 베이비박스 등의 현황과 그에 관한 논란

  • Ⅲ. 비밀출산제도의 도입과 그 주요내용

  • Ⅳ. 비밀출산제도의 전망과 베이비박스 등에의 영향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06 14 재생산 기술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안'을 통해 본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논쟁 / 문기영 2005  160
    105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과 자연교배 마우스의 행동학적 비교 연구 / 장윤철 2016  159
    104 14 재생산 기술 생식내분비학 : 배란유도제의 올바른 사용과 부작용의 처치 / 김학순 2004  157
    103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관련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 진주희 2017  157
    102 14 재생산 기술 다양한 기원의 돼지 배아유래 만능성 줄기세포의 특성분석 / 김은혜 2015  156
    10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55
    100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배아이식 후 한방치료를 병행한난임환자 61례에 대한 결과 분석 보고 / 배상진 2015  152
    99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극복을 위한 난임 치료 시술에 따른 비용 분석 / 김윤정 2015  151
    9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규정을 위한 법률안의 제안 / 윤혜란 2006  149
    97 14 재생산 기술 한국형 공공정자은행의 설립과 운영 / 박남철 2016  149
    9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이야기』의 현재성: 희망 없는 시대의 정치학 / 강의혁 2018  149
    95 14 재생산 기술 이중결과론은 남은 배아연구를 정당화할 수 있는가 / 이향연 2019  148
    94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의 허용여부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 김수갑 2009  147
    93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이 경험하는 상실에 관한 질적 연구 / 전순초 외 2018  147
    92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의 대리모 자궁내 이식에 의한 임신 / 이두룡 1991  144
    91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윤리에서 재생산권과 재생산 책임 / 김정아 2014  142
    90 14 재생산 기술 중국의 냉동배아 상속안에 관한 법적 고찰 / 김현경 2018  141
    89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시대의 인간복제는 새로운 책임윤리를 요청하는가? - 한스 요나스의 『기술,의료 윤리』를 중심으로 / 양해림 2003  139
    88 14 재생산 기술 자연임신 및 보조생식술에 의한 병합임신 2예 / 윤혜정 2011  138
    8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의 친자관계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