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613486 


[DBpia: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종교적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An Ethics of Community for Law and Religion : The Life Right of the Human Embryos from the Perspectives of Religion
유경동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등재정보 : KCI등재
작성언어 : 한국어
파일형식 : TextPDF
KORMARC




한국어 초록

전통적으로 의학계에서는 인간의 생명이 시작되는 시점을 ‘자웅전핵융합(syngamy)’으로 간주했다. 자웅전핵융합이란 정자로부터 시작된 웅성전핵과 난사의 자성전행이 융합하는 과정을 말하는데, 생식세포가 완전히 결합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정자와 난자가 결합한 이후 대략 24시간 이내에 정자와 난자의 전핵이 붕괴되어 반수의 염색체들이 하나로 합쳐지기 시작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문제는 인간의 생명 자체가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언제 새로운 생명이 시작하는 지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기가 더 어렵게 된다. 만약 인간의 수정과 배아의 발달 과정이 분절적이며 독립된 과정의 연속이라면, 자웅전핵융합이라는 시점이 가능한 생명의 시작 시점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문제는 자웅전핵융합이 구체적으로 어느 시기에 이루어지는지를 확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기존의 주된 과학적 입장은 배아의 발달 과정 자체를 하나의 생명이 만들어지는 전체 과정 중에 한 부분 정도로 이해한다는 점이다. 결국 최초의 수정된 수정란은 아직 구체적인 인간 유기체로의 구성을 이루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생명의 시작점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보는 입장이 지배적인 것이다. 따라서 최초의 수정란은 자웅전핵융합을 통한 염색체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인간이 아니라, 새로운 인간 유기체가 되는 과정에 있는 독특한 인간세포 정도로 이해된다. 그러나 필자는 배아 자체는 정자와 난자 결합 시점에 이미 존재하며, 인간 유기체는 처음부터 완전히 존재하고, 일생동안 일어나는 모든 발달 과정을 통제하고 지시한다고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인간 배아는 수정단계부터 하나의 살아있는 인간 개별 존재로 인정해야 된다고 본다.
이와 같은 과학적 관점에 대하여 종교는 인간 생명의 시작을 훨씬 그 폭을 넓게 잡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인류사회에 있는 대부분의 종교는 현대의 과학적 관점과 같지는 않지만, 인간의 생명과 그 출발점에 관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이를 기점으로 인권과 나아가 공동체를 유지하는 정신적 가치를 제공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유대교, 기독교, 불교, 힌두교, 이슬람, 그리고 유교의 사회신조나 종교법에 나타나는 생명이해를 살펴보며, 특히 배아의 형성에 대한 각 종교의 해석을 살펴봄으로써 인간 생명현상에 개체성과 공동체성, 그리고 덕의 윤리에 대한 독특한 관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인간의 배아를 중심으로 한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가 더 깊어지기를 바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유대교적 관점에서의 배아의 생명권
Ⅲ.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배아의 생명권
Ⅳ. 이슬람의 관점에서의 배아의 생명권
Ⅴ. 불교의 관점에서의 배아의 생명권
Ⅵ. 힌두교적 관점에서의 배아의 생명권
Ⅶ. 유교적 관점에서의 배아의 생명권
Ⅷ.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26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김수흥 2008  441
225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 임학빈 2005  439
224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의 인간성에 관한 인간학적 고찰 / 한희숙 2009  434
» 14 재생산 기술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종교적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유경동 2015  433
222 14 재생산 기술 인간 착상 과정에 자궁내막과 배아의 역할 / 지병철 2009  431
221 14 재생산 기술 불임지원 활성화를 위한 불임지원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서유미 2009  430
220 14 재생산 기술 동결 배아 이식에서의 동결 배아 보존 방법에 따른 임상 결과 비교 연구 / 이아름 2016  424
219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2015  423
218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11
217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줄기세포 연구를 중심으로 / 박진성 2010  407
216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
215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214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길성환 2003  401
213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212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황나미 2013  392
211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후 쌍태 임신의 결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철홍, 이여길 2000  387
21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과 부모 결정 : 법적·철학적 함의 / 박준석 2013  384
209 14 재생산 기술 기술화된 계약 임신 경험을 통해 본 대리모의 행위성 구성에 관한 연구 / 이은주 2008  381
208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 비밀출산제도(l`accouchement secret)의 현황/이지은 2015  377
207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난임 부부 인식조사 / 김인화 외 2017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