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1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732224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Suggestion of Japanese Regenerative Medicine Safety Act to Korean Bioethics Regulation


http://www.riss.kr/link?id=A100548461


  • 제어번호 : 100548461
  • 저자명 : 김보배
  •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 권호사항 : Vol.9 No.1 [2015]
  • 발행처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85-203(19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년
  •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 주제어 : regenerative medicine ,안전성 확보 ,치료 및 연구계획서 심의 ,줄기세포 연구 ,cell therapy ,stem cell research ,treatment and research proposal review ,ensuring safety ,세포치료 ,재생의료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 세포치료에 대한 법제를 준비하면서 일본의 재생의료에 관한 법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재생의료는 세포치료로 사람의 신체 및 조직의 구조나 기능을 재생하는 의료행위를 말한다. 일본의 재생의료에 대한 입법의 목적은 산업화와 규제 완화이기보다는 안전성 확보와 규제 강화이다. 일본의「재생의료등의 안전성 확보등에 관한 법률」은 한국의「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비하여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엄격하다. 우선 연구계획서 및 치료계획서의 심의절차가 세포의 위험성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되며, 배아줄기세포 등 위험한 세포에 대해서 높은 수준의 절차를 요구한다. 위원회에 대한 인정제도를 운영하며, 구성요건 및 성립요건과 이해관계에 대한 배제가 강하다. 그리고 치료, 연구 등 목적과 관계없이 세포를 이용하면 모두 적용된다. 후생노동성은 모든 건수에 대한 보고를 받으며, 체세포를 가공하여 투여하는 것조차 실험적인 시술이나 연구에 가깝다고 보고 제도적으로 관리한다. 세포배양가공에 있어서도 시설에 대한 허가제를 운영한다. 우리나라도 법률적인 근거가 미비하여 정부차원에서 규제하지 못하고 있는 세포치료 영역에 대한 법제화가 시급하다.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세포의 위험성 정도에 따른 맞춤형 규제를 마련하여야 한다. 윤리성 확보는 기본이며, 이에 더하여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하지 못한 유효성에 대한 규제도 고려하여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일본 재생의료 법제에 대한 한국의 관심
  • Ⅱ. 일본「재생의료안전법」과 한국「생명윤리법」의 차이

    1. 규제대상

    2. 위원회 구성 및 운영방식

    3. 위원회 심의 이후 절차

    Ⅲ.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의 특징

    1. 규제영역

    2.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검증

    Ⅳ.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대한 제언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26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의 인간성에 관한 인간학적 고찰 / 한희숙 2009  434
    225 14 재생산 기술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종교적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유경동 2015  433
    224 14 재생산 기술 인간 착상 과정에 자궁내막과 배아의 역할 / 지병철 2009  431
    223 14 재생산 기술 불임지원 활성화를 위한 불임지원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서유미 2009  430
    222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 임학빈 2005  428
    221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2015  423
    220 14 재생산 기술 동결 배아 이식에서의 동결 배아 보존 방법에 따른 임상 결과 비교 연구 / 이아름 2016  422
    »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09
    218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줄기세포 연구를 중심으로 / 박진성 2010  407
    217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
    216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215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길성환 2003  400
    214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213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황나미 2013  392
    212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후 쌍태 임신의 결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철홍, 이여길 2000  387
    21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과 부모 결정 : 법적·철학적 함의 / 박준석 2013  384
    210 14 재생산 기술 기술화된 계약 임신 경험을 통해 본 대리모의 행위성 구성에 관한 연구 / 이은주 2008  381
    209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 비밀출산제도(l`accouchement secret)의 현황/이지은 2015  375
    20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제도의 법적 문제 / 박동진 2005  370
    207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난임 부부 인식조사 / 김인화 외 2017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