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 선교학과 치유사역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497216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저자 : 한경옥
  • 형태사항 : vi, 71p. : 삽도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69-71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 선교학과 치유사역 전공 2006. 2
  • KDC : 235.84 4
  • DDC : 261.5 21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5
  • 주제어 : 생명복제, 기독교, 윤리




초록 (Abstract)

21세기를 사는 우리는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의 존재를 무시하거나 거부하면서 살 수는 없을 것이다. 유전자조작을 한 음식을 먹지 않을 수 없으며, 형질전환 동물과 식물을 일상 대하면서 살고 있다. 생명과학과 공학의 덕택으로 우리는 풍요로운 물질문명과 의료혜택을 누리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그 기술의 발전이 우리의 생명 자체를 위협하게 된 것이다. 실험실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너무 무심하게 방관하고 온 결과 이렇게 흘러온 것이다. 현재 생명과학은 엄청난 자금과 임상실험을 위한 첨단시설, 다수의 고급 인력을 필요로 하는 첨단산업이 되었고, 첨예한 정치적 논쟁점이 되고 있다. 이를 둘러싼 논쟁은 여러 분야가 함께 얽혀 있어서 일상적인 감각으로는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 그러나 판단을 유보하고 있는 사이에 엄청난 일들이 벌어지게 되었다.
우리사회의 생명윤리는 급속도로 급격하게 타락하고 있다. 생명에 관련된 범죄들이 도처에서 연이어 일어나고 있다. 엽기적인 연쇄 살인·가족 살해·청부 살인·자살 등 생명경시 풍조는 너무 확산되고 있다. 이것은 우리의 생명윤리의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생명경시 풍조가 다만 배아복제의 결과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겠지만, 적어도 생명경시 풍조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환언하자면, 인간배아복제 연구의 허용은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는 것이 될 것이다. 인간배아복제가 현실화되면 윤리·사회적 문제는 지금까지 있었던 바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커질 것이며, 그 사회적 비용은 우리가 능히 치르지 못할 만큼 큰 것이 될 것이다. 과학자 역시 인간사회의 일원으로서 행위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과학이라고 해서 사회적 맥락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과학기술의 진보결과를 완전히 예측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자신의 행위의 결과를 예측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배아복제 문제에 대하여 과학자들이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는 투철한 책임의식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과학자들이 학문과 연구의 자유를 전가의 보도처럼 계속 휘두른다면 과학자들에게 사회적 책임을 물을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인간배아복제는 개인의 이익과 공공의 이익 사이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를 보호하고 개인을 해악에서 보호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미래의 선 혹은 유용성을 위하여 개인의 권리가 가공의 공공의 이익의 이름으로 손상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21세기는 예측 불가능한 시대이지만 분명한 것은 하나님 중심주의와 인간 중심주의의 전쟁이 계속될 것이며, 유신론과 무신론·창조론과 진화론·절대주의와 상대주의·기독교와 세속주의·성경과 과학주의 사이의 대립이 격심해질 것을 예견할 수 있다. 이것은 세계관의 전쟁이며 신앙의 전쟁이다. 인간복제와 유전자 조작은 과학의 문제가 아니라 신앙의 문제이며, 윤리적 문제라기보다 영적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 땅의 생명윤리는 기독교인의 책임이다. 하나님께서는 기독교인들로 이 땅의 파수꾼을 삼으신다. 파수꾼이 칼이 임함을 보고도 나팔을 불지 아니하여 그 임하는 칼에 제함을 당하면 그 피가 파수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하셨다.(겔 33: 6~7) 우리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의 파수꾼으로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생명윤리를 세우고 세계관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가르칠 의무를 다해야 할 것이다. 하나님께 순종함이 절실한 때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감사의글 = ⅲ

    목차 = ⅴ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 배경 = 1

    제2절 생명복제에 관한 이해 = 4

    제3절 연구 문제의 설정 = 6

    제4절 생명복제의 정의 = 7

    Ⅰ. 인간개체 복제 (human incividual cloning) = 7

    Ⅱ. 인간배아 복제 (human embryonic cloning) = 9

    Ⅲ. 장기 복제(organ cloning) = 13

    제5절 생명의 기원 = 15

    Ⅰ. 구약 성경에서의 생명 = 15

    Ⅱ. 신약 성경에서의 생명 = 17

    Ⅲ. 자연과학에서의 생명 = 18

    Ⅳ. 철학적 생명의 의미 = 21

    제2장 생명복제 연구의 이점 및 문제점 = 24

    제1절 생명복제 연구의 이점 = 24

    Ⅰ. 유전학적으로 형질전환 시킨 동 · 식물 = 24

    Ⅱ. 의학적 이점 = 25

    Ⅲ. 식품학적 이점 = 31

    제2절 생명복제 연구의 문제점 = 33

    Ⅰ. 생태학적 문제점 = 33

    Ⅱ. 의학적 문제점 = 34

    Ⅲ. 산업화에 수반되는 생명공학 연구의 문제점 = 36

    제3장 생명복제에 대한 대책 = 38

    제1절 법률적인 관점에서의 대응방안 = 39

    Ⅰ. 세계 각국의 인간복제에 대한 입법례 = 39

    Ⅱ. 우리나라의 인간복제에 대한 입법례 = 45

    제2절 의료윤리적인 관점에서의 방안 = 51

    제3절 불임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대책 = 53

    제4장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의 인간복제 = 54

    제1절 기독교 신앙에 근본적으로 도전하는 것이다. = 55

    제2절 생명은 하나님의 것이므로 하나님의 섭리에 어긋나는 생명파괴의 행위가 된다. = 56

    제3절 창조주의 주권을 침해하고 창조질서를 파괴하는 행위이다. = 58

    제4절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하는 행위이다. = 59

    제5장 하나님의 형상으로 비추어 본 인간복제 = 61

    제6장 결론 = 65

    참고문헌 = 6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6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에 대한 페미니즘 담론 연구/최영주 2008  252
    85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법안의 검토와 문제점 / 송영민 2008  68
    84 14 재생산 기술 한국 불임 여성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과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임상 결과와의 관련성 / 문미혜 외 2008  220
    83 14 재생산 기술 대리임신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백승흠 2007  807
    82 14 재생산 기술 체세포복제배아 줄기세포의 최근 연구 동향과 관련 윤리지침 / 권복규, 안경진 2007  478
    81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성찰 :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법적 규제를 중심으로 / 구홍일 2007  930
    80 14 재생산 기술 난자매매에 대한 형사제재의 정당성과 한계/황만성 2007  161
    79 14 재생산 기술 한스 요나스의 인간복제 비판 연구 / 유석만 2007  759
    78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2007  355
    77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2007  96
    76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을 통한 대리모 출산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준철 2007  467
    75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이식에 관한 법률상의 문제점 / 송영민 2007  68
    74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후 출산한 쌍태아의 임상적 고잘 / 한명석 외 2007  69
    73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2006  441
    72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
    71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헌법적 평가 / 권순현 2006  229
    »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2006  349
    69 14 재생산 기술 고등학생의 생명 복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조사 / 유숙희 2006  235
    68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 / 홍자영 2006  813
    6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출산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김희수 2006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