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 선교학과 치유사역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497216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저자 : 한경옥
  • 형태사항 : vi, 71p. : 삽도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69-71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 선교학과 치유사역 전공 2006. 2
  • KDC : 235.84 4
  • DDC : 261.5 21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5
  • 주제어 : 생명복제, 기독교, 윤리




초록 (Abstract)

21세기를 사는 우리는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의 존재를 무시하거나 거부하면서 살 수는 없을 것이다. 유전자조작을 한 음식을 먹지 않을 수 없으며, 형질전환 동물과 식물을 일상 대하면서 살고 있다. 생명과학과 공학의 덕택으로 우리는 풍요로운 물질문명과 의료혜택을 누리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그 기술의 발전이 우리의 생명 자체를 위협하게 된 것이다. 실험실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너무 무심하게 방관하고 온 결과 이렇게 흘러온 것이다. 현재 생명과학은 엄청난 자금과 임상실험을 위한 첨단시설, 다수의 고급 인력을 필요로 하는 첨단산업이 되었고, 첨예한 정치적 논쟁점이 되고 있다. 이를 둘러싼 논쟁은 여러 분야가 함께 얽혀 있어서 일상적인 감각으로는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 그러나 판단을 유보하고 있는 사이에 엄청난 일들이 벌어지게 되었다.
우리사회의 생명윤리는 급속도로 급격하게 타락하고 있다. 생명에 관련된 범죄들이 도처에서 연이어 일어나고 있다. 엽기적인 연쇄 살인·가족 살해·청부 살인·자살 등 생명경시 풍조는 너무 확산되고 있다. 이것은 우리의 생명윤리의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생명경시 풍조가 다만 배아복제의 결과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겠지만, 적어도 생명경시 풍조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환언하자면, 인간배아복제 연구의 허용은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는 것이 될 것이다. 인간배아복제가 현실화되면 윤리·사회적 문제는 지금까지 있었던 바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커질 것이며, 그 사회적 비용은 우리가 능히 치르지 못할 만큼 큰 것이 될 것이다. 과학자 역시 인간사회의 일원으로서 행위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과학이라고 해서 사회적 맥락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과학기술의 진보결과를 완전히 예측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자신의 행위의 결과를 예측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배아복제 문제에 대하여 과학자들이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는 투철한 책임의식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과학자들이 학문과 연구의 자유를 전가의 보도처럼 계속 휘두른다면 과학자들에게 사회적 책임을 물을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인간배아복제는 개인의 이익과 공공의 이익 사이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를 보호하고 개인을 해악에서 보호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미래의 선 혹은 유용성을 위하여 개인의 권리가 가공의 공공의 이익의 이름으로 손상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21세기는 예측 불가능한 시대이지만 분명한 것은 하나님 중심주의와 인간 중심주의의 전쟁이 계속될 것이며, 유신론과 무신론·창조론과 진화론·절대주의와 상대주의·기독교와 세속주의·성경과 과학주의 사이의 대립이 격심해질 것을 예견할 수 있다. 이것은 세계관의 전쟁이며 신앙의 전쟁이다. 인간복제와 유전자 조작은 과학의 문제가 아니라 신앙의 문제이며, 윤리적 문제라기보다 영적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 땅의 생명윤리는 기독교인의 책임이다. 하나님께서는 기독교인들로 이 땅의 파수꾼을 삼으신다. 파수꾼이 칼이 임함을 보고도 나팔을 불지 아니하여 그 임하는 칼에 제함을 당하면 그 피가 파수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하셨다.(겔 33: 6~7) 우리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의 파수꾼으로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생명윤리를 세우고 세계관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가르칠 의무를 다해야 할 것이다. 하나님께 순종함이 절실한 때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감사의글 = ⅲ

    목차 = ⅴ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 배경 = 1

    제2절 생명복제에 관한 이해 = 4

    제3절 연구 문제의 설정 = 6

    제4절 생명복제의 정의 = 7

    Ⅰ. 인간개체 복제 (human incividual cloning) = 7

    Ⅱ. 인간배아 복제 (human embryonic cloning) = 9

    Ⅲ. 장기 복제(organ cloning) = 13

    제5절 생명의 기원 = 15

    Ⅰ. 구약 성경에서의 생명 = 15

    Ⅱ. 신약 성경에서의 생명 = 17

    Ⅲ. 자연과학에서의 생명 = 18

    Ⅳ. 철학적 생명의 의미 = 21

    제2장 생명복제 연구의 이점 및 문제점 = 24

    제1절 생명복제 연구의 이점 = 24

    Ⅰ. 유전학적으로 형질전환 시킨 동 · 식물 = 24

    Ⅱ. 의학적 이점 = 25

    Ⅲ. 식품학적 이점 = 31

    제2절 생명복제 연구의 문제점 = 33

    Ⅰ. 생태학적 문제점 = 33

    Ⅱ. 의학적 문제점 = 34

    Ⅲ. 산업화에 수반되는 생명공학 연구의 문제점 = 36

    제3장 생명복제에 대한 대책 = 38

    제1절 법률적인 관점에서의 대응방안 = 39

    Ⅰ. 세계 각국의 인간복제에 대한 입법례 = 39

    Ⅱ. 우리나라의 인간복제에 대한 입법례 = 45

    제2절 의료윤리적인 관점에서의 방안 = 51

    제3절 불임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대책 = 53

    제4장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의 인간복제 = 54

    제1절 기독교 신앙에 근본적으로 도전하는 것이다. = 55

    제2절 생명은 하나님의 것이므로 하나님의 섭리에 어긋나는 생명파괴의 행위가 된다. = 56

    제3절 창조주의 주권을 침해하고 창조질서를 파괴하는 행위이다. = 58

    제4절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하는 행위이다. = 59

    제5장 하나님의 형상으로 비추어 본 인간복제 = 61

    제6장 결론 = 65

    참고문헌 = 6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 재생산 기술 난포의 크기와 난황의 첨가가 초자화동결소 미성숙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연승은

    발행년 2001 

    • 조회 수 366

    14 재생산 기술 동물 권리론으로 본 동물 복제 / 김성한

    발행년 2014 

    • 조회 수 36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발행년 2008 

    • 조회 수 360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발행년 2007 

    • 조회 수 355

    14 재생산 기술 체외 수정 시술을 시행하는 여성에서 항인지질 항체가 체외 수정 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발행년 2001 

    • 조회 수 353

    14 재생산 기술 포유동물 초기배아의 체외성숙과 체외발달 및 이종간의 체외수정에 대한 연구 / 김영훈

    발행년 2010 

    • 조회 수 350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발행년 2006 

    • 조회 수 34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서은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345

    14 재생산 기술 푸코로 읽는 영화 〈네버 렛 미 고〉의 휴머니즘/ 최영미, 조이운

    발행년 2018 

    • 조회 수 34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규제 및 지원·감독 체계에 관한 연구 / 김은애

    발행년 2014 

    • 조회 수 334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발행년 2010 

    • 조회 수 333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사회에서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연구 / 윤계형

    발행년 2009 

    • 조회 수 324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323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발행년 2013 

    • 조회 수 322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발행년 2017 

    • 조회 수 320

    14 재생산 기술 불임여성의 몸을 통해 본 재생산 기술의 정치학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박용운

    발행년 2002 

    • 조회 수 318

    14 재생산 기술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5

    14 재생산 기술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본한국의 불법생식세포 매매 실태 및 개선방안/문한나, 박소연, 김명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1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의 문화변동과 국가의 개입 / 하정옥

    발행년 2015 

    • 조회 수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