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 목회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908622 

생명복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


  • 저자 : 김주혁
  • 형태사항 : 50p. : 삽도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47-50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목회학과 2005. 2
  • KDC : 231.3 4
  • 발행국 : 경기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4
  • 주제어 : 목회학, 생명복제, 신학



초록(Abstract)

앞으로 다가오는 시대에는 지금까지 보지도 못하고 듣지도 못하였던 새로운 일들이 계속 일어날 것이다. 특별히 생명의료윤리 분야에서는 더 많은 사건들이 일어날 것이다. 언젠가는 에이즈도 정복이 되고, 암도 머잖아 퇴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은 과학자들의 주장을 따라 낙관할 수만은 없다. 새로운 질병이 인류를 더 큰 고통으로 몰아넣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며, 과학자들의 예측을 벗어난 새로운 사건들과 계기들이 다가올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더욱 염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앞으로의 시대에는 인간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만들어지거나 조작된 것들이 인류사회를 위협하게 되는 가장 큰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기독교 윤리학의 관점에서 본다면, 죄인들의 낙관적인 기대와 희망은 언제나 인간의 본성을 파괴하고 하나님의 거룩한 뜻을 거역하는 일이 되기도 하였던 점을 기억할 수밖에 없다. 특히 의료 과학 기술자들이 실험실에서 하나님을 잊고 "하나님처럼 되리라" 했던 뱀의 유혹에 빠질 경우 이러한 재앙은 손쉽게 일어날 수도 있다.
새 시대에는 놀라운 과학기술에 매료되는 세기만이 아니라,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지켜나갈 수 있는 윤리적 능력 또한 보편적으로 가르쳐지고 지켜지는 세기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윤리는 이전의 윤리들이 지나치게 인간 중심적인 성향을 가졌던 결과를 비판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인간이 최고라 여기는 시각에서는 인간의 오만과 인간만의 복지를 추구하다가 자멸에 이를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며, 결코 자연을 벗어나서는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자연의 일부로서 자연과의 친화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한계 안에서의 발전과 변형을 모색하는 것이 옳다. 이런 관점에서 생병중심적 세계관에 근거한 생명 주권주의(Biocracy)의 지평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열어나가야 할 윤리적 과제이다. 이러한 인식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우리 인류는 온 세계를 지으시고 인간에게 맡겨주신 하나님의 뜻에 반할 뿐 아니라 생명파괴의 역사를 가속화시키는 오류를 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자연의 생명들과 화해하는 생명공학, 생명을 살리고 치료하는 생명 공학은 우리가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이다. 그러나 이러한 생명 주권적인 윤리 사상을 결여한 지나친 인간 중심주의적 가치에 경도된 과학은 높은 이상과 비젼보다는 경제적 이득을 추구하는 경쟁 속에서 인간성을 말살해 낼 소지도 충분히 지니고 있다. 이 위험한 세기에 우리 그리스도의 제자들은 인간을 지키고 생명을 지키는 파수군의 사명을 받아들여야 한다. 오직 하나님의 선물로서 생명이 이해되는 곳에서만 인간은 인간다울 수 있다.
인위적인 생명 복제는 인간의 근본적 특성을 파괴할 뿐 아니라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도 파괴한다. 따라서 하나님의 거룩한 뜻에 위배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황을 마주하고 있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빛과 소금의 역할, 곧 어둠의 세력을 밀어내고 부패된 역사를 치유하는 영적이며 동시에 윤리적 성찰을 해야 한다. 특별히 인간복제에 관하여는 앞에서 계반복해서 언급했듯 또다시 인간이 하나님 앞에서(coramdeo)의 존재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해야만 한다. 하나님은 생명을 지으신 창조주이시고 생명의 원천이시고 주권자이시며(시 36:9)이시다. 이러한 사실 앞에서 인간에게 허락하신 유전공학의 힘을 인간의 능력을 표출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으로 사용해서는 결코 안되며 무엇보다도 생명의 근원과 주권에 관한 인식을 바르게 가져야만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에 대한 생명복제는 많은 연구와 실험을 통해서 그 안정성을 인정받는다 할지라도 유보되어야만 하는 문제이다. 왜냐하면 생명복제는 생명 그 자체에 대한 존엄성과 가치를 재료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그 생명 그 자체는 하나님만이 관여하실 수 있는 절대적 영역이라는 사실을 우리 모두는 기억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6 14 재생산 기술 산전 진단을 통해 선천성 심장병을 알게 된 환아 어머니의 임신유지 경험 / 임유미 2014  219
145 14 재생산 기술 배아복제 논의에 있어서 단정적 태도와 오류가능성 인정 태도 / 유호종 2005  219
144 14 재생산 기술 고연령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의 출생 체중: 분포와 특징 / 조기현 2014  219
143 14 재생산 기술 직장내 여성 차별에 관한 최신 미연방대법원 판례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성중탁 2016  219
»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 / 김주혁 2005  217
141 14 재생산 기술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의 시행과 평가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216
140 14 재생산 기술 줄기세포(stem cell)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태정 2010  214
139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지원사업 개선연구: 난임여성의 안전 및 삶의 질 보호방안 마련을 중심으로 / 이현아 2016  211
138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체세포 핵이식 유래 돼지 배아줄기세포의 초미세구조 비교 / 유현주 2015  209
137 14 재생산 기술 우리는 비배우자 인공수정과 대리모출산에 대해 어떠한 결단을 내리 수 있는가 / 문윤정 1994  206
136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 남국현 2013  203
135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2010  200
13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서 침의 중재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Pubmed를 중심으로 / 배경미 2009  199
133 14 재생산 기술 난자 및 배아성숙이 시험관아기시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 / 이여일 1997  199
132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199
131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의 최근 동향 : 성선자극 호르몬을 이용한 과배란 방법과 생식세포 복강내 이식의 국내 최초 시도에 관한 연구 / 이상훈 1991  198
130 14 재생산 기술 착상 전 인간 배아의 유전자 편집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장하람 2019  196
129 14 재생산 기술 정자 DNA 분절이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최화영 2017  195
128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가족지지,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조은영 2019  192
127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강은영 2015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