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5 No.1 
관련링크 :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Ex...myCd=20166 

산전진단에 나타나는 공리주의와 우생사상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Personalist Bioethical Consideration on Eugenics and Utilitarianism Observed in the Practice of Prenatal Diagnosis


RISS 서지확인 : http://www.riss.kr/link?id=A100273639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원문 :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ExtDetail.laf?barcode=4010023927257&vendorGb=01&academyCd=20166



초록 (Abstract)

의료와 의술은 인간 생명의 선에 봉사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오늘날 비약적인 과학기술의 발전과 지식의 확대로 말미암아 그 역할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의료는 인간생명에 대하여 적절한 과학기술적 방법을 식별하여 선택·적용시키는 단계이므로, 이는 과학적 측면 뿐 아니라 철학·인간학적 측면을 토대로 인간 행위의 적절성을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산전진단은 주산기 영아사망률을 낮추기 위하여 태아가 가지는 모체환경이라는 제약 속에서 태아의 건강상태를 가능한 정확히 가늠하여 적절한 도움을 주기 위하여 발달된 태아의학의 한 부분이다. 따라서 산전진단으로 태아에게 이상이 있다고 진단될 경우, 그 후속행위로 적절한 조치 혹은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오늘날 산전진단으로 태아가 질병이나 장애를 가졌다고 진단되면 그에 따르는 적절한 조치로 치료계획의 수립 외에 낙태가 행해진다. 이 경우 의료로 행해진 산전진단의 검사결과는 후속행위인 낙태에 대한 근거로 작용한다. 산전진단 결과에 따른 후속행위가 달라지는 이유는 산전진단의 결과라는 과학적 측면이 아닌 그 결과를 해석하는 철학적·인간학적 측면에 있다. 따라서 산전진단에 따른 낙태결정의 경우 그 철학적·인간학적 측면에 관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산전진단 결과에 따른 낙태 정당화 논리로는 공리주의와 우생사상의 영향이 있다. 공리주의는 이성적 본성을 쾌고감수력으로 보아 인간과 인격체를 구분하고, 인간에 속하는 태아나 유아의 생명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특히 질병이나 이상이 있다고 진단된 태아의 경우, 그들의 탄생으로 인한 관계된 모든 사람의 쾌락과 고통의 총량을 비교하였을 때 낙태를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본다. 우생사상에 있어 인간은 진화론에 따른 고등생물로 자연선택에 영향을 받는다. 인간의 특질은 유전적 형질로 환원되어 임의적 유전적 질에 대한 기준에 근거하여 한 인간의 미래와 존재에 대한 가치가 평가된다. 따라서 유전적 질이 우수한 존재의 경우 선택되지만, 평균 질의 저하를 가져오는 존재는 거부와 제거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공리주의와 우생사상에 따르면 산전진단 결과에 따른 낙태 결정은 가능한 선택이 된다. 인격주의 전통에 근거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에 있어 인간은 인격이다. 인격은 영혼과 육체의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통합 속에 스스로 존재 원리를 가지는 단일하며 자립적인 완전한 전체이며, 따라서 존재는 실재론적이고 목적론적이며 궁극적이고 대체불가능 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므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논지에서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 태아라는 진단은 도움이 필요한 태아가 처한 특수한 상황이며 그 존재의 본질적 가치와 존엄성에 대한 변화를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의술로써 산전진단의 사용이 정당화될 수 있는 근거는 인격주의적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할 때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1. 산전진단에 따른 낙태결정 합리화 논변

    2. 산전진단에 따른 낙태결정 합리화 논변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비판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6 14 재생산 기술 일반논문 : 대리출산의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3  599
    26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2013  596
    264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2012  593
    263 14 재생산 기술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김라현 외 7인 2011  589
    262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 지원제도 개선 방안 /이서영 2013  585
    261 14 재생산 기술 ‘세 부모 아이’ 대 ‘세 사람 아이’/하대청,차승현,김근,이연호,백수진,김명희 2015  584
    26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2012  582
    25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 정도희 2010  567
    258 14 재생산 기술 수정란과 배아의 지위에 관한 윤리적 고찰 / 김광연 2016  563
    25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고찰 / 민경매 2003  561
    25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전혜정 2011  556
    255 14 재생산 기술 남성의 시선에 갇힌 여성들 / 이민희 2016  553
    254 14 재생산 기술 연구 목적의 난자 기증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H. Jonas)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이종민 2012  551
    » 14 재생산 기술 산전진단에 나타나는 공리주의와 우생사상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최정임 2015  546
    252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시대의 여성의 재생산 권리에 대한 법여성학적 고찰 / 김은애 2003  536
    25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논란에 대한 법리적 이해 / 김향미 2012  534
    250 14 재생산 기술 생명의료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여성의 재생산권리에 관한 연구 : 생식세포 기증 및 보조생식술에 관한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08  531
    249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식의료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소극적 정책보조자에서 산업개척자로 / 박종헌 2008  527
    248 14 재생산 기술 학술대회 발표논문 :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 이영규 2010  526
    247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고찰과 기독교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순 2008  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