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98760 

산전 진단을 통해 선천성 심장병을 알게 된 환아 어머니의 임신유지 경험


  • 저자 : 임유미
  • 형태사항 :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 수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4.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선천성심장병, 산전진단, 임신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산전 진단을 통해 선천성 심장병을 알게 된 임부가 아이의 심장병을 받아들이고, 임신을 유지하여 출산하기까지의 과정 및 행동에 관한 탐색을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
  • 본 연구는 산전 진단을 통해 선천성 심장병을 알게 된 임부가 아이의 심장병을 받아들이고, 임신을 유지하여 출산하기까지의 과정 및 행동에 관한 탐색을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질문은 “산전 진단을 통해 선천성 심장병을 알게 된 환아 어머님의 임신기간 동안의 경험은 어떠한가?” 이다.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서울 A 병원 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참여자는 산전 진단을 통해 선천성 심장병을 알게 된 후 임신을 유지하여 환아를 출산한지 6개월 이내의 어머니로, 자신의 경험을 충분히 회상하여 표현해 줄 수 있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12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2월부터 11월까지였으며, 면담 장소는 참여자의 집, 환아의 병실 또는 병원 내 상담실 등이었다. 면담횟수는 1회에서 4회이며, 소요시간은 첫 면담에서는 1시간에서 2시간, 추가면담에서는 30분에서 1시간 정도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지속적인 비교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고 초기 면담의 주요 질문은 “처음 산전 진단을 통해 아이 심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의 이야기를 좀 해주세요.” 와 “어떤 생각과 느낌을 가지셨고, 어떠한 행동 조치를 취하셨는지, 주변의 반응들에 대해 이야기 해 주세요.” 라고 질문하며 시도하였다.이상과 같이 진행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태어날 아이의 선천성 심장병 진단은 임부에게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임부는 초기에 충격과 심리적 고통의 시간을 겪게 되지만, 태중에서 움직이면서 신호를 보내는 아이를 하나의 생명으로 인식하고, 아이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의료진에 대한 믿음과 신뢰, 치료에 대한 확신, 남편과 가족을 포함한 주위 사람들의 지지 및 격려와 위로,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 종교 생활이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부들은 임신유지를 결정하여 출산에 임박할 때까지 아이에 대한 걱정 및 염려, 불안 등의 어려움도 있었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아이를 곧 만날 행복과 기대감도 함께 있었다. 또한 수술을 받을 수 있는 최적의 상태로 아이를 출산하기 위해 태교에 집중하고 아이의 체중 증가를 위해 음식을 가려먹고 복식호흡과 운동 등을 하며 아이를 만날 준비를 하고 있었다.따라서 이 분야의 의료진은 이러한 임부의 경험을 이해하고 진단 후 초기 충격의 단계에서 임신을 유지하여 출산에 이르기까지 남편과 가족 및 주위 사람들이 임부를 적극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임부가 긍정적인 생각을 하며, 종교가 있는 경우 종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하겠다. 또한 임부와 정기적인 상담 계획을 세워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따뜻한 말투와 분위기로 아이를 낳을 때까지 지지적 접촉을 하며 적극적인 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6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1
    65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 하정옥 2014  110
    64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2018  110
    6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09
    62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 논의에 대한 구조론적 분석 / 안승병 2004  102
    61 14 재생산 기술 HIV 감염인에 있어서의 보조생식술 / 김희선 2009  102
    60 14 재생산 기술 첨단의료보조생식에서의 법적 문제 / 송석현 2018  102
    59 14 재생산 기술 배란 유도제 투여 후 난소 과자극 증후군으로 인해 발생한 뇌경색 1례 -증례 보고 / 김명옥 2002  101
    58 14 재생산 기술 법률상 모(母) 개념의 해체와 헤테로토피아 - 대리모의 자궁을 중심으로 - 2017  101
    57 14 재생산 기술 모성보호정책 확대에 관한 연구 2013  100
    56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 한수경 2015  100
    55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 이을상 2013  99
    5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및 삶의 질 / 김승경 2016  99
    5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 정책 발전의 의의와 향후 과제"에서의 전문용어 사용에 대한 의견 / 손영수 2010  98
    52 14 재생산 기술 인공적 생식에 관한 법제 연구 / 박상수 2003  98
    51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마우스 체외수정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 / 이단비 2016  97
    50 14 재생산 기술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서경희 2017  97
    49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2007  96
    48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2016  96
    4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하정옥 2016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