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 생물학과 발생학전공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380270 

The effect of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in IVF-ET procedure


  • 기타서명 :

    체외수정 시술에서 임상결과에 미치는 인위적인 난자 활성화의 영향

  • 저자 : 윤혜진
  • 형태사항 : xxvi, 88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해권
    참고문헌: p. 76-84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 생물학과 발생학전공 2014. 2
  • DDC : 574 20
  • 발행국 : 서울
  • 언어 : 영어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초록 ( Abstract )

  • 보조생식술에서 세포질 내 정자주입술 (ICSI) 은 남성 불임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정방법이다. ICSI 를 시행하였음에도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는 정자의 운동성이 없거나, 비정...
  • 보조생식술에서 세포질 내 정자주입술 (ICSI) 은 남성 불임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정방법이다. ICSI 를 시행하였음에도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는 정자의 운동성이 없거나, 비정상적인 형태의 정자가 많거나 또는 수정 시도가 가능한 난자의 수가 적거나 난자의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정자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도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는데, 이는 정자로부터 유래되는 난자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난자의 활성화를 인위적으로 유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calcium ionophore 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Calcium ionophore 를 이용한 후 정상 출산 한 사례는 꾸준히 보고되고 있지만 대부분이 적은 수의 표본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보고이며 calcium ionophore 로 부터 발생할 수 있는 독성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calcium ionophore 를 임상적으로 적용하여 인위적으로 난자 활성화를 유도하였을 때, 그에 따르는 안전성 및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는, 이전 체외수정 시술에서 ICSI 를 시도하였으나 수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수정율이 현저하게 낮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현 시술에서 수정을 돕기 위해 ICSI 와 calcium ionophore 를 병행한 경우의 후향적 임상 자료를 수집하여 인위적인 난자 활성화 방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185명의 환자를 지난 체외수정에서 수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던 ICSI 군과 수정율이 현저하게 낮았던 ICSI 군으로 나누어 ICSI 와 인위적인 난자활성화를 병행한 후 각각을 이전 시술과 비교하였다. 또한 정자의 기원에 따라 환자군을 셋으로 나누어 (ejaculated-normal, ejaculated-oligo-astheno-terato, extracted-testicular spermatozoa) 인위적인 난자활성화를 진행한 후 각각을 이전 시술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인위적인 난자활성화 방법을 병행한 현재의 시술은 지난 시술에서 수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던 군과 현저하게 수정율이 낮았던 군 모두에서 수정율을 포함한 임상적 결과가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정자의 기원별로 난자의 인위적인 활성화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이전 시술에 비하여 수정율, 임신율, 착상율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calcium ionophore 를 이용한 난자의 인위적인 활성화 의 효율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 185 명에 대한 출산 여부를 조사한 결과, 38명의 신생아가 태어났으며 선천적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으로 calcium ionophore 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는, 체외수정을 여러 번 반복하였으나 임신에 실패한 환자를 대상으로 calcium ionophore 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반복적인 임신 실패는 최소 두 번 이상 체외수정으로 임신을 시도하였으나 착상에 실패한 경우를 가리키는 것으로써 환자의 나이나 채취된 난자의 수, 수정율, 생성된 배아의 질, 적절하지 못한 이식 방법 등 여러 가지의 요인에서 원인을 찾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최소 2회 이상 체외수정을 시도하였으나 임신에 실패한 40세 미만의 환자 106명을 대상으로 ICSI 만을 시행한 군과 ICSI 와 함께 calcium ionophore 를 병행한 군으로 나누어 그 결과를 비교하였고, 이후 같은 기준의 환자군 76명을 대상으로, 특수장비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살아있는 정자의 핵의 형태를 관찰하여 정상인 정자를 선택하는 방법인 정자 형태 선별 미세조작술 (IMSI) 과 IMSI 와 calcium ionophore 를 병행한 군과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반복적인 임신 실패를 한 환자에게 ICSI 와 함께 calcium ionophore 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난자 활성화를 유도하였을 경우 ICSI 군과 비교 시 수정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임신율과 착상율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IMSI 와 calcium ionophore 를 병행한 경우 IMSI 와 비교한 결과 수정율은 역시 차이가 없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임신율과 착상율에서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calcium ionophore 를 이용한 인위적인 난자 활성화 방법은 지난 시술에서 수정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효과적인 결과를 보이며 정자의 기원에 상관없이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 낸다. 반복적으로 시술실패인 경우에 calcium ionophore 를 이용하여 난자활성화를 유도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 Index )

    Abstract vii

    List of Figures ix

    List of Tables xi

    List of Abbreviation xiv

    Introduction xv

    References xx


    Chapter 1. Analysis of clinical outcomes with respect to spermatozoan origin after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with a calcium ionophore

    1-1. Abstract 1

    1-2. Introduction 2

    1-3. Materials and Methods 5

    1-4. Results 9

    1-5. Discussion 35

    1-6. References 41


    Chapter 2.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following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or intracytoplasmic morphologically selected sperm injection

    2-1. Abstract 49

    2-2. Introduction 50

    2-3. Materials and Methods 53

    2-4. Results 58

    2-5. Discussion 71

    2-6. References 76


    Abstract in Korean 85 


    CONTENTS OF CHAPTER I

    Abstract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s 5

      1. Experimental design 5

      2. Sperm samples 5

      3. Ovarian stimulation and oocyte recovery 6

      4. ICSI and embryos 6

      5.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8

      6. Statistics 8

    Results 9

      1. AOA in patients with complete failed fertilization in the previous cycle 9

      2. AOA in patients with low fertilization in the previous cycle 10

      3. The effect of AOA according to sperm characteristics ∙ 11

      3-1. AOA in cycles with ejaculated-normal sperm 11

      3-2. AOA in cycles with ejaculated-OAT sperm 12

      3-3. AOA in cycles with extracted-testicular sperm 13

      4.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single- and twin-children births 14

    Discussion 35

    References 41


    CONTENTS OF CHAPTER II

    Abstract ∙ ∙ 49

    Introduction 50

    Materials and Methods 53

      1. Experimental design 53

      2. Ovarian stimulation and oocyte recovery 54

      3. Sperm samples and preparation 55

      4. ICSI cycles 55

      5. IMSI cycles 56

      6.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AOA) 57

      7. Statistics 57

    Results ∙ 58

      1. AOA in cycles with ICSI 58

      2. AOA in cycles with IMSI 59

    Discussion 71

    References 7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6 14 재생산 기술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복제인간과 능동성 연구 / 이진미 2017  179
    205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2000  180
    20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받은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정유정 2017  182
    203 14 재생산 기술 냉동 보존 기간에 따른 저장 제대혈의 생존능력 평가 / 이혜련 2013  183
    202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존엄 : 생식체계(Reproduction System)에 관한 미국의 입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 박선용 2006  188
    201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강은영 2015  190
    200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親子法 개관 - 2014년 혼인과 가족법과 2010년 입양법을 중심으로 / 이재열 2016  190
    19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가족지지,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조은영 2019  192
    198 14 재생산 기술 정자 DNA 분절이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최화영 2017  195
    197 14 재생산 기술 착상 전 인간 배아의 유전자 편집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장하람 2019  196
    196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의 최근 동향 : 성선자극 호르몬을 이용한 과배란 방법과 생식세포 복강내 이식의 국내 최초 시도에 관한 연구 / 이상훈 1991  198
    195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서 침의 중재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Pubmed를 중심으로 / 배경미 2009  199
    194 14 재생산 기술 난자 및 배아성숙이 시험관아기시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 / 이여일 1997  199
    193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199
    192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2010  200
    191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 남국현 2013  203
    190 14 재생산 기술 우리는 비배우자 인공수정과 대리모출산에 대해 어떠한 결단을 내리 수 있는가 / 문윤정 1994  206
    189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체세포 핵이식 유래 돼지 배아줄기세포의 초미세구조 비교 / 유현주 2015  209
    188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지원사업 개선연구: 난임여성의 안전 및 삶의 질 보호방안 마련을 중심으로 / 이현아 2016  211
    187 14 재생산 기술 줄기세포(stem cell)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태정 2010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