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 생물학과 발생학전공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380270 

The effect of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in IVF-ET procedure


  • 기타서명 :

    체외수정 시술에서 임상결과에 미치는 인위적인 난자 활성화의 영향

  • 저자 : 윤혜진
  • 형태사항 : xxvi, 88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해권
    참고문헌: p. 76-84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 생물학과 발생학전공 2014. 2
  • DDC : 574 20
  • 발행국 : 서울
  • 언어 : 영어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초록 ( Abstract )

  • 보조생식술에서 세포질 내 정자주입술 (ICSI) 은 남성 불임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정방법이다. ICSI 를 시행하였음에도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는 정자의 운동성이 없거나, 비정...
  • 보조생식술에서 세포질 내 정자주입술 (ICSI) 은 남성 불임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정방법이다. ICSI 를 시행하였음에도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는 정자의 운동성이 없거나, 비정상적인 형태의 정자가 많거나 또는 수정 시도가 가능한 난자의 수가 적거나 난자의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정자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도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는데, 이는 정자로부터 유래되는 난자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난자의 활성화를 인위적으로 유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calcium ionophore 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Calcium ionophore 를 이용한 후 정상 출산 한 사례는 꾸준히 보고되고 있지만 대부분이 적은 수의 표본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보고이며 calcium ionophore 로 부터 발생할 수 있는 독성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calcium ionophore 를 임상적으로 적용하여 인위적으로 난자 활성화를 유도하였을 때, 그에 따르는 안전성 및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는, 이전 체외수정 시술에서 ICSI 를 시도하였으나 수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수정율이 현저하게 낮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현 시술에서 수정을 돕기 위해 ICSI 와 calcium ionophore 를 병행한 경우의 후향적 임상 자료를 수집하여 인위적인 난자 활성화 방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185명의 환자를 지난 체외수정에서 수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던 ICSI 군과 수정율이 현저하게 낮았던 ICSI 군으로 나누어 ICSI 와 인위적인 난자활성화를 병행한 후 각각을 이전 시술과 비교하였다. 또한 정자의 기원에 따라 환자군을 셋으로 나누어 (ejaculated-normal, ejaculated-oligo-astheno-terato, extracted-testicular spermatozoa) 인위적인 난자활성화를 진행한 후 각각을 이전 시술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인위적인 난자활성화 방법을 병행한 현재의 시술은 지난 시술에서 수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던 군과 현저하게 수정율이 낮았던 군 모두에서 수정율을 포함한 임상적 결과가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정자의 기원별로 난자의 인위적인 활성화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이전 시술에 비하여 수정율, 임신율, 착상율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calcium ionophore 를 이용한 난자의 인위적인 활성화 의 효율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 185 명에 대한 출산 여부를 조사한 결과, 38명의 신생아가 태어났으며 선천적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으로 calcium ionophore 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는, 체외수정을 여러 번 반복하였으나 임신에 실패한 환자를 대상으로 calcium ionophore 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반복적인 임신 실패는 최소 두 번 이상 체외수정으로 임신을 시도하였으나 착상에 실패한 경우를 가리키는 것으로써 환자의 나이나 채취된 난자의 수, 수정율, 생성된 배아의 질, 적절하지 못한 이식 방법 등 여러 가지의 요인에서 원인을 찾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최소 2회 이상 체외수정을 시도하였으나 임신에 실패한 40세 미만의 환자 106명을 대상으로 ICSI 만을 시행한 군과 ICSI 와 함께 calcium ionophore 를 병행한 군으로 나누어 그 결과를 비교하였고, 이후 같은 기준의 환자군 76명을 대상으로, 특수장비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살아있는 정자의 핵의 형태를 관찰하여 정상인 정자를 선택하는 방법인 정자 형태 선별 미세조작술 (IMSI) 과 IMSI 와 calcium ionophore 를 병행한 군과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반복적인 임신 실패를 한 환자에게 ICSI 와 함께 calcium ionophore 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난자 활성화를 유도하였을 경우 ICSI 군과 비교 시 수정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임신율과 착상율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IMSI 와 calcium ionophore 를 병행한 경우 IMSI 와 비교한 결과 수정율은 역시 차이가 없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임신율과 착상율에서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calcium ionophore 를 이용한 인위적인 난자 활성화 방법은 지난 시술에서 수정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효과적인 결과를 보이며 정자의 기원에 상관없이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 낸다. 반복적으로 시술실패인 경우에 calcium ionophore 를 이용하여 난자활성화를 유도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 Index )

    Abstract vii

    List of Figures ix

    List of Tables xi

    List of Abbreviation xiv

    Introduction xv

    References xx


    Chapter 1. Analysis of clinical outcomes with respect to spermatozoan origin after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with a calcium ionophore

    1-1. Abstract 1

    1-2. Introduction 2

    1-3. Materials and Methods 5

    1-4. Results 9

    1-5. Discussion 35

    1-6. References 41


    Chapter 2.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following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or intracytoplasmic morphologically selected sperm injection

    2-1. Abstract 49

    2-2. Introduction 50

    2-3. Materials and Methods 53

    2-4. Results 58

    2-5. Discussion 71

    2-6. References 76


    Abstract in Korean 85 


    CONTENTS OF CHAPTER I

    Abstract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s 5

      1. Experimental design 5

      2. Sperm samples 5

      3. Ovarian stimulation and oocyte recovery 6

      4. ICSI and embryos 6

      5.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8

      6. Statistics 8

    Results 9

      1. AOA in patients with complete failed fertilization in the previous cycle 9

      2. AOA in patients with low fertilization in the previous cycle 10

      3. The effect of AOA according to sperm characteristics ∙ 11

      3-1. AOA in cycles with ejaculated-normal sperm 11

      3-2. AOA in cycles with ejaculated-OAT sperm 12

      3-3. AOA in cycles with extracted-testicular sperm 13

      4.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single- and twin-children births 14

    Discussion 35

    References 41


    CONTENTS OF CHAPTER II

    Abstract ∙ ∙ 49

    Introduction 50

    Materials and Methods 53

      1. Experimental design 53

      2. Ovarian stimulation and oocyte recovery 54

      3. Sperm samples and preparation 55

      4. ICSI cycles 55

      5. IMSI cycles 56

      6.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AOA) 57

      7. Statistics 57

    Results ∙ 58

      1. AOA in cycles with ICSI 58

      2. AOA in cycles with IMSI 59

    Discussion 71

    References 7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 재생산 기술 불임여성의 몸을 통해 본 재생산 기술의 정치학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박용운

    발행년 2002 

    • 조회 수 318

    14 재생산 기술 출산의 의료화 과정과 여성의 재생산권(reproductive rights)에 관한 연구 / 조영미

    발행년 2004 

    • 조회 수 675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발행년 2008 

    • 조회 수 892

    14 재생산 기술 기술화된 계약 임신 경험을 통해 본 대리모의 행위성 구성에 관한 연구 / 이은주

    발행년 2008 

    • 조회 수 381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시대의 여성의 재생산 권리에 대한 법여성학적 고찰 / 김은애

    발행년 2003 

    • 조회 수 536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발행년 2006 

    • 조회 수 441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식의료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소극적 정책보조자에서 산업개척자로 / 박종헌

    발행년 2008 

    • 조회 수 527

    14 재생산 기술 생명의료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여성의 재생산권리에 관한 연구 : 생식세포 기증 및 보조생식술에 관한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 김은애

    발행년 2008 

    • 조회 수 531

    14 재생산 기술 불임지원 활성화를 위한 불임지원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서유미

    발행년 2009 

    • 조회 수 43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불임 환자의 생활 습관 및 임신율 / 박승근

    발행년 2009 

    • 조회 수 634

    14 재생산 기술 원치 않은 아이에 따른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원치 않은 임신, 원치 않은 출산, 원치 않은 삶 / 이은영

    발행년 2009 

    • 조회 수 1143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김향미

    발행년 2009 

    • 조회 수 519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경험을 통해서 본 생식기술 / 김경례

    발행년 2010 

    • 조회 수 601

    14 재생산 기술 불임 여성들의 통합의료서비스 이용 영향요인 / 김이영

    발행년 2012 

    • 조회 수 67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정신적 고통에 관한 연구 / 박춘선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65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 지원제도 개선 방안 /이서영

    발행년 2013 

    • 조회 수 585

    14 재생산 기술 The effect of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in IVF-ET procedure / 윤혜진

    발행년 2014 

    • 조회 수 85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받은 여성의 선택적 감수술에 대한 의사결정 경험 / 장혜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682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시술에 적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보조부화술에 관한 연구 / 박성백

    발행년 2014 

    • 조회 수 777

    14 재생산 기술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김라현 외 7인

    발행년 2011 

    • 조회 수 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