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0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688038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Original Articles : Current Status of Infertility Counseling in Korea



초록 ( Abstract )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불임부부 지원사업을 받아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을 대상으로 불임상담 실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6년과 2008년 각각 1년 동안 불임부부...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불임부부 지원사업을 받아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을 대상으로 불임상담 실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6년과 2008년 각각 1년 동안 불임부부 지원사업의 시술비를 지원받은 불임환자 2006년 19,131예 중 7,931예와 2008년 13,240예(총 21,171예)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불임시술 이전에 상담 받은 횟수는 2내지 3회 상담을 시행 받은 경우가 각각 409명(33.4%, 2006년), 534명(42.4%, 2008년)으로 가장 많았으며, 불임부부에게 불임상담을 해준 상담자로 불임전문의에게 상담을 받았다고 한 경우가 2006년은 1,009명(85.5%), 2008년은 879명(67.7%)으로 가장 많았다. 불임상담의 형태로는 진료실에서 불임환자나 부부 단독으로 구두상담 받은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불임상담시 심리검사를 하지 않았다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불임시술 중 가장 스트레스를 받은 경우는 ``임신결과 발표 시``로 나타났으며, 불임치료 시에는 가장 도움을 많이 준 사람으로 배우자가 가장 많았다. 결론 불임시술 전 과정이 불임환자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임신 결과 발표 시에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하였으며, 시술이전에 2-3회의 상담을 받았고, 상담 시 심리검사 등은 시행하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불임상담은 외국과는 달리 정신과 전문의나 정신건강전문가에게 받지 않고 대부분 불임전문의에게 상담받았다고 하였는데, 국내에서도 불임부부의 상담에 정신심리 전문가가 포함된 팀으로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불임상담과 임신율과의 상관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6 14 재생산 기술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와 관련한 민사적 쟁점 -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신의칙에 근거한 알권리의 인정여부를 중심으로 - / 윤석찬 2018  250
    165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 난관과 반대편 간질 부위에 동시에 생긴 복합성 자궁외 임신 1예 / 오예은 2009  251
    164 14 재생산 기술 절박유산과 정상임부 및 시험관아기시술 환자에서 초기임신인자의 임상적 유용성 / 이진용 1997  251
    163 14 재생산 기술 산부인과 전문병원 내원환자의 난임 특성과 보조생식술 유형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 김윤정 2016  252
    162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에 대한 페미니즘 담론 연구/최영주 2008  252
    161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160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시대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양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 변미희 2011  266
    159 14 재생산 기술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 진도왕 2018  266
    158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2005  267
    157 14 재생산 기술 조혈모세포 기증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박충민, 안소희 2017  267
    156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 논쟁 / 문성학 외 2010  269
    155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에 발생한 Candida glabrata 감염으로 인한 패혈 유산 1예 / 이서현 2013  269
    154 14 재생산 기술 인공생식의 민법상 쟁점에 관한 법리 연구 / 김상헌 2015  270
    153 14 재생산 기술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 『네버 렛 미 고』 연구 / 손영도 2017  271
    152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배아에 대한 쟁점사항 및 입법논의 / 이인영 2009  273
    151 14 재생산 기술 배아,태아,유아에 대한 불법행위와 위자료청구권 / 최장섭 2013  274
    150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7
    149 14 재생산 기술 완만동결된 배아와 유리화 동결된 배아를 이식했을 때의 임신 예후의 비교 /곽은희 2014  278
    14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를 둘러싼 쟁점과 해결방안 - 입법론을 중심으로 - / 현소혜 2018  280
    147 14 재생산 기술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최진일 2017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