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학 Vol.28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073045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Criticism of the "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ity Couples" as Part of the Low Fertility Rate Policy



초록 ( Abstract )

  • 이 글은 대한민국 정부가 저출산 대응의 하나로 2006년부터 시작한 <난임(불임) 부부지원사업>을 여성과 아이들의 건강의 측면에서 그리고 실제 효과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가 ...
  • 이 글은 대한민국 정부가 저출산 대응의 하나로 2006년부터 시작한 <난임(불임) 부부지원사업>을 여성과 아이들의 건강의 측면에서 그리고 실제 효과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가 해명하고자 한 연구 질문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사업>은 여성의 건강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에서 출발하였는가? 이 <사업>은 협소한 의미에서의 생식 건강에 대해서도 아무런 고려가 전제되지 않았고 그러다보니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그리고 개인적·사회적 건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없다. 오히려 여성의 생식 건강 개념이 축소·변형되는 결과를 가져와, 여성의 몸은 합계출산율의 분모와 분자를 생산 혹은 재생산하는 숫자로 취급되었고 또한 여성의 건강은 '저출산 대응'을 위해 도구화되었다. 둘째, 이 <사업>은 저출산의 효과적인 대책이 될 수 있는가? 그리고 이 <사업>은 다른 저출산 정책과 내적 모순을 일으키지는 않는가? 이 사업이 시작되기 전에 불임과 저출산에 대해 그 원인 관계나 결과로서의 효과 측면에서 타당성이 입증된 바 없고 주무 부서 또한 이에 대한 면밀한 고려를 선행한 바 없다. 또한 저출산의 다른 정책과 내적 모순을 일으키고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떤 조사나 연구도 수행된 바 없기에 정책 수행의 통합성을 기대할 수 없어서 과연 '저출산 대처'라는 궁극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인지 알 수 없다. 셋째, 이 <사업>은 그 명칭이 가리키는 바 과연 불임부부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가? 물론 아무런 공적 지원이 없는 상황과 비교한다면 재정 지원은 분명 도움이 되었지만, 지원과 함께 약제비 상승 등으로 인해 비용이 전체적으로 상승하였다. 또한 불임부부의 건강이나 행복추구보다는 숫자의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여전히 당사자들을 대상화시키는 한계를 갖는다.




    목차 ( Index )

    Ⅰ. 들어가며: 인구-숫자-공포, 그리고 여성의 몸

    Ⅱ.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 개괄

    Ⅲ. "저출산"으로부터 "여성건강"을 유추하다?: 도구화된 여성건강

    Ⅳ. 상호모순적인 두 가지 "저출산 대책"

    Ⅴ. <사업>으로 "낳고 싶은 사람은 누구나 낳을 수" 있는가?

    Ⅵ. 결론: 연구의 요약과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 재생산 기술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하정옥

    발행년 2012 

    • 조회 수 709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발행년 2012 

    • 조회 수 59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 Informed Consent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영국의 동의 체계 및 동의 서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은애

    발행년 2012 

    • 조회 수 636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과 부모 결정 : 법적·철학적 함의 / 박준석

    발행년 2013 

    • 조회 수 38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황나미

    발행년 2013 

    • 조회 수 392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대리모제도 : 그 입법론적 연구 / 박동진

    발행년 2010 

    • 조회 수 77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여성의 심리사회적 고통 체험 연구: Parse의 인간되어감 방법을 적용하여 / 김현경

    발행년 2010 

    • 조회 수 82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 정도희

    발행년 2010 

    • 조회 수 56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전혜정

    발행년 2011 

    • 조회 수 556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발행년 2011 

    • 조회 수 397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대리모에서의 모성 결정에 관한 고찰 / 이인영

    발행년 2011 

    • 조회 수 81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논란에 대한 법리적 이해 / 김향미

    발행년 2012 

    • 조회 수 53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발행년 2012 

    • 조회 수 582

    14 재생산 기술 중국에서의 대리모 법적 제문제에 관한 소고 / 이화

    발행년 2011 

    • 조회 수 230

    14 재생산 기술 일반논문 : 대리출산의 헌법적 논의 / 이병규

    발행년 2013 

    • 조회 수 59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발행년 2013 

    • 조회 수 59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발행년 2013 

    • 조회 수 29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발행년 2008 

    • 조회 수 360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발행년 2008 

    • 조회 수 484

    14 재생산 기술 학술대회 발표논문 :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 이영규

    발행년 2010 

    • 조회 수 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