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여성학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60204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The Practice of Women and Social Structure on the Reproductive Sphere in North Korea: The Reproduction-related Legislations and Women’s Experience

  • 저자[authors] 김석향,박민주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여성학논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3No.1[2016]
  • 발행처[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9-13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주제어[descriptor] 여성 경험,여성의 재생산,피임·임신중절,North Korean Women,Pregnancy and Childbirth,Reproduction of Women,Women’s Experience,Contraception and Abortion,임신·출산,북한여성

초록[abstracts] 
[This thesis focuses on pregnancy and childbirth of North Korean women to discuss the behavior of the North Korean residents, the social structure of the North Korean Society, and the dynamics between social structure and personal behavior. The authors reconstructs testimonies from North Korean defectors and analyzes the legislations related in the pregnancy and the childbirth in North Korea.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as regards the pregnancy and the childbirth of women, The laws of DPRK limits the subject of rights to ‘the Career Woman in Normal Pregnancy.’ Housewife, business women, and abnormal pregnant woman are excluded from exercising her right. It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e legislations to prohibit the childbirth of handicapped baby and to secure labor power of women. Second,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show a common characteristic of patriarchy affecting women in North Korean society, but Each of them has a unique spectrum. Pregnancy-and-childbirth experiences of participants showed a different spectrum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ontext. Socio-economic status of individual is the main factor that determines the different experience. However, since economic crisis of the mid-90’s, Women in DPRK tried to control over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The tendency of refusal to having children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Third, despite the influence of social structure, participants had attempted to negotiate, conform and resistance without losing their agency. The social structure and women sometimes strained relationship, sometimes build partnerships. In particular, the tension was mounting when woman tried to have an abortion or birth control.

이 연구는 북한의 임신·출산 관련 법제를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의 증언 자료를 토대로 여성경험을 치밀하게 묘사하였다. 재생산 영역에서 북한당국이 고안한 사회구조와 실질적 사회구조의 양상, 구조의 영향권 내에서의 여성의 실천을 드러내어 구조와 개인의 관계를 읽어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당국은 법제를 통해 여성의 권리를 보장한다고 주장했지만 ‘정상 태아’를 임신한 ‘직장여성’을 기본모델로 상정하여 주부, 장사하는 여성, ‘비정상 태아’ 임신 여성은 법제에서 소외를 당하고 피임‧임신중절의 권리는 아예 논외로 밀려나는 결과를 초래했다. 둘째, 연구 과정에 참여한 면담 대상자의 임신·출산 관련 경험은 개인별로 고유의 스펙트럼을 보였고 신분과 경제력은 경험의 차이와 차등을 직조해내는 주요 요인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당국을 대신하여 여성이 가구 생계를 책임지면서 출산의 기회비용이 증가했다. 또한 보장제도의 작동이 멈추면서 임신·출산의 사회구조는 비공식 의료시장으로 무게중심을 옮겨갔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별로 가동 가능한 자원을 동원하여 재생산을 조절하려는 경향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셋째, 면담 대상자 여성은 북한 사회구조 내에 위치해 있었지만 개인의 행위성(agency)을 잃지 않고 그 구조를 대상으로 순응과 협상, 저항을 시도해 왔던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피임‧인공중절 부문에서 북한당국과 개별 여성 사이에 긴장관계가 두드러졌다. 면담 대상자는 북한식 성별불평등을 일부 내면화하거나 어느 정도 순응하기도 하고 때로 적극적인 방식으로 현실에 대처하기도 했다.]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1. 문제제기와 연구목표   2. 선행연구 검토   3. 논문의 구성과 연구방법 Ⅱ. 북한의 임신·출산 관련 법제 현황 분석   1. 관련 법제  2. 법제 내용 분석 Ⅲ. 임신·출산을 둘러싼 법제와 현실의 이중구조   1. 일상과 거리가 먼 의료 제도, “절로” 사는 여성   2. 법제적 “혜택”의 현실과 임신여성에게 다중 임무를 부여하는 사회구조   3. 출산을 둘러싼 사회구조의 변동과 개인의 선택 Ⅳ. 재생산 조절을 둘러싼 구조-개인 간의 힘겨루기   1. 여성의 행위성 발현과 북한당국의 전략 실패   2. 시장 공급자 중심의 유일한 피임 방법 “환”   3. 여성의 신체 위로 수렴‧교차하는 문제들: 사회적 차별, 가부장의 무능력, 시장의 논리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6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 하정옥 2014  110
65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0
64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2018  110
6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09
62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 논의에 대한 구조론적 분석 / 안승병 2004  102
61 14 재생산 기술 HIV 감염인에 있어서의 보조생식술 / 김희선 2009  102
60 14 재생산 기술 첨단의료보조생식에서의 법적 문제 / 송석현 2018  102
59 14 재생산 기술 배란 유도제 투여 후 난소 과자극 증후군으로 인해 발생한 뇌경색 1례 -증례 보고 / 김명옥 2002  101
58 14 재생산 기술 법률상 모(母) 개념의 해체와 헤테로토피아 - 대리모의 자궁을 중심으로 - 2017  101
57 14 재생산 기술 모성보호정책 확대에 관한 연구 2013  100
56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 이을상 2013  99
55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및 삶의 질 / 김승경 2016  99
5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 한수경 2015  99
5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 정책 발전의 의의와 향후 과제"에서의 전문용어 사용에 대한 의견 / 손영수 2010  98
52 14 재생산 기술 인공적 생식에 관한 법제 연구 / 박상수 2003  98
51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마우스 체외수정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 / 이단비 2016  97
50 14 재생산 기술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서경희 2017  97
49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2007  96
»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2016  96
4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하정옥 2016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