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江原法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62290 
대리모를 둘러싼 프랑스의 법적 동향 

= Tendances légales des gestation pour autrui (GPA) en France (Legal trends on Surrogacy in France)

  • 저자[authors] 김현진(HYUNJIN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江原法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4No.-[2018]
  • 발행처[publisher]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1-11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대리모출산,대리모계약,자궁대리모,출생증명서의 등록,입양,아동의 최선의 이익,GPA,mere porteuse,parents d`intention,transcription,adoption,l’interet superieur de l’enfant,surrogate,gestational surrogate,mater semper certa,transcription of birth certificate,adoption,best interest of child

초록[abstracts] 
[1991년 최초로 대리모계약을 둘러싼 파기원 판례가 등장한 이래 현재까지 대리모는 프랑스사회에서 뜨거운 이슈로서 다루어지고 있다. 프랑스민법에 대리모계약은 효력이 없다는 규정을 두는 한편, 형법상 그 중개인과 의사를 처벌하자 프랑스 국내의 대리모출산은 사라졌다. 그러나 프랑스인들은 해외로 대리모출산여행을 떠나기 시작했고, 2000년 무렵 해외에서 태어난 아이의 프랑스 민사신분등록부에의 출생등록이 문제되었다. 이는 국제사법적 요소를 포함하는데, 출생증명서에 법적인 모로서 출산모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와 의뢰모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 쟁점이 달라진다. 후자는 출생증명서의 내용이 허위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프랑스의 대리모 논쟁은 Mennesson 쌍둥이 소녀들에게 파란만장한 인생을 가져왔다. 2000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미국인 대리모에 의해 태어난 Valetina와 Florella는 아버지가 프랑스인이었음에도 15세가 되어야 프랑스 국적을 얻게 되었고, 16세에 이르러서야 아버지와의 친자관계가 형성되었으며, 아이를 양육하고 있는 의뢰모인 Silvie는 여전히 법적으로 모가 아니다.    불임부부를 넘어, 동성혼부부를 포함한 “모두를 위한 대리모”제도를 향해 오늘도 프랑스는 전진해가고 있다. 프랑스의 예에서 보듯, 대리모계약이 바람직한가의 논의와 이미 대리모출산을 통해 태어난 아이들의 국적 취득권과 친자관계를 형성할 권리는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 국제사법이슈가 문제되어, 전 세계적인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프랑스의 대리모를 둘러싸고 벌어진 논의들은 향후 우리나라의 대리모 문제를 해결함에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대리모 제도 일반 및 프랑스의 관련 법규  Ⅲ. 대리모와 관련한 프랑스의 사법적 대응  Ⅳ. 나가며  참고문헌  Résumé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26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親子法 개관 - 2014년 혼인과 가족법과 2010년 입양법을 중심으로 / 이재열 2016  190
125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존엄 : 생식체계(Reproduction System)에 관한 미국의 입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 박선용 2006  188
124 14 재생산 기술 냉동 보존 기간에 따른 저장 제대혈의 생존능력 평가 / 이혜련 2013  183
12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받은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정유정 2017  182
122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섭 2000  180
121 14 재생산 기술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복제인간과 능동성 연구 / 이진미 2017  179
»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를 둘러싼 프랑스의 법적 동향 / 김현진 2018  178
119 14 재생산 기술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 배지현 외 2018  175
118 14 재생산 기술 윤리적ㆍ불교적 입장에서 살펴 본 잉여냉동배아의 이용 / 곽만연 2005  173
117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된 인간에서 복제된 인간으로 / 천현순 2016  173
11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기해 출생한 자의 친자관계 결정기준 / 윤우일 2012  172
115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 시술시 미세조작에 의한 임신율의 증진에 관한 연구 / 노환철 1993  171
114 14 재생산 기술 체세포 핵이식 기법을 이용한 소 형질전환 복제배아의 생산에 관한 연구 / Bhuiyan, Mohammad Musharraf Uddin 2004  167
113 14 재생산 기술 돼지와 생쥐 난자의 체외성숙과 배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임자력 2016  163
112 14 재생산 기술 난임 경험 속에 나타난 관계 단절에 대한 고찰 / 윤은경 2016  163
111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관련 재료 및 소모품의 국산화 필요성에 대한 고찰/차병헌, 전진현 2011  162
110 14 재생산 기술 착상전유전자선별검사와 배아생성자의 권리 / 배현아 외 2018  162
109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행하는 난임 여성의 미술치료 체험연구 / 이혜연 2019  162
108 14 재생산 기술 난자매매에 대한 형사제재의 정당성과 한계/황만성 2007  161
10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논난과 법적 문제점 / 이창상 2005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