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문화와 융합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55741 
남성의 시선에 갇힌 여성들 

= Women confined in male gaze - Margaret Atwood`s The Handmaid`s Tale -

  • 저자[authors] 이민희(Lee, Min He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문화와 융합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8No.4[2016]
  • 발행처[publisher] 한국문화융합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83-30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주제어[descriptor] 응시,길리어드 정권,마가렛 앳우드,“시녀 이야기”,여성의 몸,Margaret Atwood,The Handmaid’s Tale,female body,male gaze

초록[abstracts]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마가렛 앳우드의 “시녀이야기”에 나타난 길리어드 사회와 그 사회에서 억압받고 통제받으며 살아가는 대리모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론에서는 전제정권인 길리어드의 사회와 출산의 도구로 전락하게 된 대리모의 모습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길리어드 사회에서 대리모들의 모든 언어활동이 통제되고 그들이 보이지 않는 시선에 의해 끊임없이 응시당하는 모습도 분석해 보았다. 대리모들은 본래의 이름도 빼앗기고 정체성을 잃은 채 자신들이 소속된 사령관의 이름에 소유격을 붙인 채로 살아간다. 대리모들의 몸은 인격체가 아니라 재생산의 수단이다. 그러나 모든 권력과 통제 속에서 오프레드는 그 빈틈을 발견하게 되고 응시의 대상에서 응시의 주체로 변하게 된다. 그녀는 응시와 통제가 이루어지던 자신을 몸을 이용해 자신의 의지대로 사랑을 나누게 되고 새 생명을 임신함으로써 주체적인 자아로 태어나게 된다. 처음에 길리어드 정권에서 오프레드의 몸은 재생산의 도구로 물화되었지만 그녀가 권력의 틈새를 발견하면서 재생산의 능력은 주체성을 찾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앳우드는 주인공 오프레드가 억압과 통제에서 벗어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로 자신들의 주체성을 찾는 모습을 통해 희생되고 있는 여성들에게 주체성 찾기를 촉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female body and male gaze body by analyzing the Handmaid’s Tale by the Canadian writer, Margaret Atwood(1939~). Offred falls to a surrogate mother under the dictatorship in the Republic of Gilead after its formation. As the body of a surrogate mother is just a tool to make a baby and all of verbal activities are controlled, Offred and other handmaids are gazed by continuous invisible watching. However, Offred finds some cracks in the autocratic and totally-controlled society and transforms from the watched to the watcher. Through her previously gazed and controlled body, she makes love with her own will and becomes pregnant. In this novel, female reproduction plays a key role for Offred to find her self-identity. Through the novel, Atwood urges women to understand their own problems of oppression and to resist it. This paper looks into how a female finds the strength to change herself through her body.]

목차[Table of content] 1. 서론  2. 길리어드 사회의 대리모들  3. 보이지 않는 감시  3.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306 14 재생산 기술 고령 불임여성의 체외수정술시 최소자극법의 효용성 / 김소라 외 2009  65
305 14 재생산 기술 모자 건강보호를 위한 난임부부 지원사업 개선방안 2015  66
30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향한 모성론과 재생산 구조의 여성주의적 고찰 / 이경애 2016  66
303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IVF-ET) 실패 환자에게 IVF-ET 재 시술 시 한약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 분석 / 배주은 2017  66
302 14 재생산 기술 Banning Human Cloning-Then What? 2001  67
301 14 재생산 기술 아버지 2명, 어머니 3명의 시험관 아기 / 박성래 1998  67
300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의 한방의료기관 이용 실태 및 한방난임치료 지원사업 수요에 관한 설문조사연구 2013  67
299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법안의 검토와 문제점 / 송영민 2008  68
298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이식에 관한 법률상의 문제점 / 송영민 2007  68
29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산과적 결과에 대한 고찰 2004  68
296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효율적인 동결방법 연구 동향 / 윤보애, 설혜원, 최영민 2012  69
295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후 출산한 쌍태아의 임상적 고잘 / 한명석 외 2007  69
294 14 재생산 기술 인체유래물질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양윤선 2009  70
293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삶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상희 2016  70
292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서 나타나는 인간존엄의 보편성과 특수성 / 최민영 2016  70
291 14 재생산 기술 이완술이 시험관아기 시술을 받는 불임여성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박점미 2000  74
290 14 재생산 기술 코호트 완결출산율 분석 결과와 시사점 / 신윤정 2019  74
289 14 재생산 기술 불임관련 기술 사용시 여성이 자신의 임신, 출산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에 관한 연구 / 조영미 1994  77
288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 조혈모세포의 체외확장에 냉동보존이 미치는 영향 2002  80
28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서의 동의 철회와 재생산 자율성의 재구성 / 유수정 2016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