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039746 
법률상 모(母) 개념의 해체와 헤테로토피아 - 대리모의 자궁을 중심으로 -

  • 저자[authors] 전해정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여성철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8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여성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51-17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대리모의 자궁, 모성, 대리모의 법률상 지위, 생체-권력, Michel Foucault, Hétérotopie, Surrogate mother‘s womb, Motherhood, Bio-power

초록[abstracts] 
[보조생식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모라는 주체와 자궁이라는 몸은 이제 더 이상 하나의 개념이 아니다. 이것은 특히 대리모 출산에서 법률상 모를결정하는 경우에 잘 드러난다. 그런데 법학계나 여성계나 대리모를 분석함에있어서 자녀양육과 연결된 기존의 모성 담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푸코의 이론은 현대 과학기술 진보에 따른 모(母) 개념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준다. 푸코는 공간을 주체형성의 인식론적 조건으로 분석한다. 또한 푸코의주체화 양식의 역사는 생체-권력bio-power으로 지칭되는 헤테로토피아적인식민 공간에 새겨진 역사(권력의 공간화 역사)와 관련된다. 이를 대리모에적용하면, 대리모의 자궁은 헤테로토피아로서 대리모를 형성하는 인식론적조건이다. 푸코가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한 것처럼 대리모도 기존의 범주를 해체함으로써 자신의 자궁을 통해 정체성을 찾을 수 있다. 대리모의 자궁은 푸코 자신의 몸처럼 하나의 실재하는 공간이다. 또한 종의생명을 규율하는 생체-권력에 의해 대리모의 자궁이 어떻게 파편화되고 점유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대리모 자궁에서의 섹스는 억압받거나 욕망이라기보다 생명의 관리를 위해 작동하는, 생명을 위해 활용되는 기제이다.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자궁을 지닌 대리모는 생체-권력의 작동에 따라 자(子)의 완전한모(母)이면서도 완전한 모(母)가 아니다. 대리모의 자궁은 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와 결부된 생체-권력에 의해 규격화된다. 대리모는그러한 규격의 작동 결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이 이미 소멸된 이질적인공간에서 법적인 주체를 동질적으로 결정하려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As a scientific technique such as a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he idea that mother as a subject and women’s body as a womb are the same concept has been changed. Decision-making on a de jure mother is at issue in the case of a childbirth by a surrogacy agreements in particular. In analyzing a surrogate mother, both legal and feminist lines are still outdated on account of motherhood discours based on child-rearing. I found Michel Foucault’s space analysis a clue to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a new approach to a surrogate motherhood. According to Foucault, space is a condition of epistemology and a history of subject is related to spatialization of bio-power, which colonizes hétérotopie. For Foucault, a hétérotopie is the heterogeneous space that has more layers of relationships to other places. The womb of a surrogate mother is hétérotopie because it is a physical representation of a mother’s womb or a parallel space that contains undesirable bodies to make a real mother’s womb possible. As Foucault established his identity from the idea of hétérotopies, the identity of a surrogate mother can be founded on the basis of the womb. A surrogate mother with the womb as a hétérotopie is a mother of child and at the same time not a mother. The womb of a surrogate mother is standardized by the bio-power, not by the law. A homogeneous decision-making on a de jure subject in the heterogeneous space, a surrogate mother’s womb where law is already extinct is a contradiction.]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1. 들어가며: 모(母) 개념의 해체   2. 모성 담론에서 자궁이라는 공간 분석으로   3. 헤테로토피아로서의 대리모 자궁   4. 대리모 자궁에 대한 생체-권력bio-power   5. 모(母)이면서 모(母)가 아닌 대리모   6.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6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 하정옥 2014  110
65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0
64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2018  110
6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09
62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 논의에 대한 구조론적 분석 / 안승병 2004  102
61 14 재생산 기술 HIV 감염인에 있어서의 보조생식술 / 김희선 2009  102
60 14 재생산 기술 첨단의료보조생식에서의 법적 문제 / 송석현 2018  102
59 14 재생산 기술 배란 유도제 투여 후 난소 과자극 증후군으로 인해 발생한 뇌경색 1례 -증례 보고 / 김명옥 2002  101
» 14 재생산 기술 법률상 모(母) 개념의 해체와 헤테로토피아 - 대리모의 자궁을 중심으로 - 2017  101
57 14 재생산 기술 모성보호정책 확대에 관한 연구 2013  100
56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 이을상 2013  99
55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및 삶의 질 / 김승경 2016  99
5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 한수경 2015  99
5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 정책 발전의 의의와 향후 과제"에서의 전문용어 사용에 대한 의견 / 손영수 2010  98
52 14 재생산 기술 인공적 생식에 관한 법제 연구 / 박상수 2003  98
51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마우스 체외수정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 / 이단비 2016  97
50 14 재생산 기술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서경희 2017  97
49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2007  96
48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2016  96
4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하정옥 2016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