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연구(Studies on Life and Cultu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413251 


여성의 난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기다림과 만남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Infertile Experiences of Women: “Waiting for Meeting”

 

http://www.riss.kr/link?id=A103413251 


저자명 : 정영민(Jeong Yeong Min) ,강선경(Kang Sun Kyung) 

학술지명 : 생명연구(Studies on Life and Culture)

권호사항 : Vol.44 No.- [2017]

발행처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Research Institute for Life and Culture SOGANG UNIVERSITY)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271-319(49)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7

 

주제어

난임 ,난임여성 ,사회적 지지 체계 ,현상학적 연구 ,Giorgi 분석 ,Infertility ,Infertile Women ,Giorgi Analysis ,Social Support Systems,Phenomenological Study

 

 

초록

본 연구는 난임이라는 현상을 난임여성 당사자들이 어떻게 경험하는지, 그리고 난임 체험 중에 사회적 지지 체계와 어떻게 상호작용을 경험하는지에 대해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난임여성을 위한 사회복지적 지원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 이내에 난임 체험이 있는 기혼여성 6명의 체험담을 수집하여 기술적(descriptive) 현상학적 연구방법인 Giorgi의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당연한 기다림’, ‘걱정되는 기다림’, ‘현실과 마주함‘, ’나의 세상이 달라짐’, ‘다시 나와 마주함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관통하는 현상은 기다림과 만남’, ‘자기 자리에서 사회적 정체성 만들기이었다. , 난임 체험 중에 여성들은 출산에 우호적인 이데올로기(pronatalism)와 가부장주의 및 현대 보조생식술이 야기하는 난임의 의료화(medicalization)에 영향을 받으며, 사회적 맥락 안에서 사회적 행위자로서 자신의 환경에 대응하면서 사회적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조정해나가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난임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지지는 난임과 난임 여성에 대한 시각을 전환하는 데에서 출발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그러한 사회적 노력은 난임을 포함한 사회문제들을 모든 사회구성원의 복리증진의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문

. 서론

. 문헌검토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06 14 재생산 기술 성정체성장애(GID)로 인한 성별변경과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AID) 자녀에 대한 친자추정 법리/김민규 2018  136
30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이야기』의 현재성: 희망 없는 시대의 정치학 / 강의혁 2018  149
304 14 재생산 기술 중국의 냉동배아 상속안에 관한 법적 고찰 / 김현경 2018  141
303 14 재생산 기술 완전대리모/자궁대리모가 개입된 배우자간 보조생식술에서 법적 부모 결정 문제/ 김은애, 유수정 2018  734
302 14 재생산 기술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 진도왕 2018  266
30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300 14 재생산 기술 조혈모세포 기증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박충민, 안소희 2017  267
299 14 재생산 기술 정자 DNA 분절이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최화영 2017  195
298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서은희 2017  345
297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관련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 진주희 2017  157
296 14 재생산 기술 임신ㆍ출산에 관한 여성의 자기결정권 / 김채윤 2017  721
295 14 재생산 기술 기혼 여성의 난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정영민 2017  64
29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받은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정유정 2017  182
293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2017  319
» 14 재생산 기술 여성의 난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기다림과 만남” / 정영민 외 2017  93
291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 황란희 2017  135
290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배우자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양소라 외 2017  83
289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 보관 및 수증 체계 관련 국민 인식 조사 / 강성민 2017  122
288 14 재생산 기술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최진일 2017  283
287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지원 보건의료정책의 현황과 추진 방향 / 이소영 2017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