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727458 



동성결혼과 입양, 대리모 허용에 관한 헌법적 연구

= The Constitutional Study on the Allowance of Same-Sex Marriage, Adoption and Recognition of Surrogate Mother


 http://www.riss.kr/link?id=A100727458

 

  • 저자명  :  박해영 ( Hae Young Park ) 
  • 학술지명 :  法學硏究
  • 권호사항 :  Vol.23 No.3 [2015]
  • 발행처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147-171(25)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동성결혼 ,입양 ,대리모 ,동성 부모 ,아동 복리 ,성적 취향 ,행복추구권 ,Same-Sex Marriage ,Adoption ,Surrogate Mother ,Same-Sex Parents,Well-Being of Children ,Sexual Orientation ,Right to Pursue Happiness

 

  • 초록

인간이 가지는 행복의 기준은 다르다. 그 사람이 가지는 가치관, 취향, 환경에 따라 원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최근 민주주의가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사회가 다양해지고 새로운 권리가 주장되고 있다. 이들 권리를 어떤 방식으로 보호할 것인지의 문제가 사회적 과제가 되고 있다. 동성결혼을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하나의 예라고 할 수 있다. 동성애자는 아주 오래 전부터 존재하였으나 보편적인지 않은 성적취향으로 공개적으로 드러내지 않아 사회적으로 잘 알려지기 않았다. 최근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온라인을 중심으로 모임이 형성되고 권리를 주장하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현재 외국의 여러 국가에서 동성결혼을 인정하고 있다. 네덜란드, 벨기에, 스웨덴, 덴마크, 프랑스, 스페인, 영국 등이 그러하다. 미국의 일부 주에서 긍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동성결혼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긍정적 의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동성결혼은 인정 후에 발생하게 될 사회적 영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실 동성결혼 인정은 입양과 대리모 허용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많은 동성결혼 커플이 아이의 양육을 희망하고 있다. 이들도 이성결혼 가정과 같이 자녀를 양육하면서 행복하게 살기를 원한다. 그러나 이들에게 입양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동성 부모가 아동에게 마치는 영향을 확실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만일 부정적 효과가 더 크다면 아동을 위해서 동성결혼 허용은 어렵게 된다. 최근에는 이들에게 생물학적 혈연관계가 있는 자녀를 양육할 수 있게 대리모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대리모 사용 허용은 아동의 복리뿐만 아니라 많은 윤리적 · 법적 문제를 일으킨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동성결혼을 합법화한 외국에서 동성결혼 인정에 관한 논의의 전개 과정과 특정을 살펴본다. 그리고 동성결혼 커플의 행복(권리) 보호를 위해서 주장되고 있는 입양 허용은 아동의 복리 관점에서 검토한다. 그리고 대리모 허용은 윤리적 o 법적 관점에서 예상되는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결론에서는 동성애자의 권리를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서 사회적 o 경제적 권리에서 이들의 법적 지위를 인정할 것을 제안하고, 입양 및 대리모 허용은 아동의 권리와 복리를 위해서 신중히 정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26 14 재생산 기술 다양한 기원의 돼지 배아유래 만능성 줄기세포의 특성분석 / 김은혜 2015  156
225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체세포 핵이식 유래 돼지 배아줄기세포의 초미세구조 비교 / 유현주 2015  209
22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의한 임신의 주산기 예후 / 이준호 2015  134
223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극복을 위한 난임 치료 시술에 따른 비용 분석 / 김윤정 2015  151
22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의 법적 문제점과 입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나은지 2015  310
221 14 재생산 기술 FCST 맞춤형 음양균형장치를 위주로 한 보조생식술 실패 후 난임 치료 후 출산 증례 / 채기헌 2015  222
220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강은영 2015  190
219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의 문화변동과 국가의 개입 / 하정옥 2015  311
218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배아이식 후 한방치료를 병행한난임환자 61례에 대한 결과 분석 보고 / 배상진 2015  152
217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 연구 / 하정옥 2015  137
216 14 재생산 기술 인도의 상업적 대리모 연구 / 허라금 2015  246
215 14 재생산 기술 초급속 동결보존한 체외수정란 유래의 형질전환 마우스 생산효율성 검토 / 김현, 최창용, 성환후 2015  116
214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정인경 2015  126
213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의 보조생식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장혜란 2015  136
212 14 재생산 기술 모자 건강보호를 위한 난임부부 지원사업 개선방안 2015  66
211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 한수경 2015  99
210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술에서 배양조건 개선을 위한 마우스모델 실험 / 유창석 2015  114
» 14 재생산 기술 동성결혼과 입양, 대리모 허용에 관한 헌법적 연구 / 박해영 2015  1437
208 14 재생산 기술 여성 난임환자 20례의 임상결과보고 / 조성희 2015  450
207 14 재생산 기술 IVF로 세쌍둥이를 임신한 여성의 임신오조 치험1례 / 김정아 외 2015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