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幼兒敎育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06030 

임신 ·출산 ·육아 지원정책에 대한 임산부의 요구분석
= Assessment on the needs of pregnant women regarding pregnancy, childbirth, and parenting-related support policies

 


  • 저자명

    정미라 ( Chung Mi Ra ) , 김해미 ( Kim Hae Mi ) , 강수경 ( Kang Su Kyoung )

  • 학술지명

    幼兒敎育硏究

  • 권호사항

    Vol.37 No.2 [2017]

  • 발행처

    한국유아교육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sece.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7-148(2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주제어

    임신·출산·육아 지원정책 , 저출산 사회 , Borich 요구도 분석 , pregnancy and childbirth , parenting-related support policies , low fertile society, Borich needs assessment

  •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 고령사회 기본계획에 따른 임신 · 출산 ·육아 지원정책에 대한 임산부들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의 임산부 3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Borich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로 임신 ·출산 · 육아 복지정책에 대한 요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시행 중인 정부의 임신 및 출산 관련 모든 정책에서 임산부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활용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요구도 분석결과,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나 최우선 순위에 뽑혔고, 다음으로 신생아 집중 치료 병상 확충, 선천성 대사이상/신생아 청각선별 검사 및 환아관리,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으로 `신생아 의료지원` 영역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뒤이어 산모 · 신생아 도우미 서비스, 아이돌봄서비스, 출산장려금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임신 ·출산 · 육아 관련 정책 중 개선할 부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초록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pregnant women for support policies related to pregnancy, childbirth and parenting that are currently in operat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78 pregnant women in S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0 13 인구 무자녀율 변화 추세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 / 김한곤 2014  132
69 13 인구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 윤경자 2010  41
68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2011  69
» 13 인구 임신 ·출산 ·육아 지원정책에 대한 임산부의 요구분석 2017  225
66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정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및 제언 / 강미화 2017  106
65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0
64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2017  96
63 13 인구 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사례와 연계를 중심으로 / 김순자 2017  567
62 13 인구 저출산 관련 예산분석을 통한 정책적·비정책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아리마분석을 사용하여 / 정다운 2017  74
61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60 13 인구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영향과 향후 대책/이재원 2017  109
59 13 인구 저출산 시대 극복을 위한 보건의료 대책 / 김재연 2017  243
58 13 인구 저출산과 교육시설 / 윤천근 2016  56
57 13 인구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에 관한 소고 / 안경희 2017  227
56 13 인구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2015  100
55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54 13 인구 신문사설의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이지영 2017  168
53 13 인구 저출산 고령사회에 따른 지방세제의 합리적 개편방안 / 김남욱 2017  151
52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 김순은 2017  180
51 13 인구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