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72880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저자

    현진희                                       

  • 형태사항

    vii, 67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균
    참고문헌: p. 61-6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신문출판 전공 2017. 2

  • DDC

    070 23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인구의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독서율이 낮은 5, 60대 인구비중이 증가하고 있고, 그 중심에 거대 인구 집단인 베이비붐 세대가 있다. 인구구조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출판 시장의 변화를 예측...
  • 인구의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독서율이 낮은 5, 60대 인구비중이 증가하고 있고, 그 중심에 거대 인구 집단인 베이비붐 세대가 있다. 인구구조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출판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다양한 사회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 세대가 가지는 집단의 특성을 바탕으로 독자로서의 정체성과 독서의 방향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를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베이비붐 세대의 개념과 특성, 출판과의 관련성, 출판 수용자의 능동적 수용성과 기대가치 이론 및 선행연구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고령화되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가 출판 독자로서 책을 얼마나 읽고 있는지, 어떤 정보원을 통해 책을 선택하는지, 어떤 분야의 책을 읽는지, 책을 어디서 구입하는지의 기본적인 독서 행태를 알아보고, 그 다음 독서가 베이비붐 세대의 기대에 얼마나 부응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독서 전의 기대와 독서 후의 만족을 ‘추구하는 충족’과 ‘획득한 충족’의 상관관계와 차이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독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기대만큼 충족을 채워주지 못하고 있었고, 독서량도 낮아 독서의 확산을 기대하기는 힘든 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베이비붐 세대는 독서에 대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고, 자기계발성 정서함양에 가치를 두고 생산적인 독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세대의 독서 확대를 위한 출판계의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독서를 활성화할 수 있는 내적 토대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베이비붐 세대는 노화를 인생의 쇠퇴로 인식하지 않고 계속적인 발달과 학습의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더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문화적 욕구를 추구할 것이므로 독서의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인 연구와 관심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10 13 인구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 윤경자 2010  41
109 13 인구 사회변화와 대안가족 / 김영민 2018  41
108 13 인구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패러다임변화 필요한가?/백선희 2018  54
107 13 인구 저출산과 교육시설 / 윤천근 2016  56
106 13 인구 저출산 대책 - '일ㆍ가정 양립'은 우리 모두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 이상식 2017  60
»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0
104 13 인구 저출산 시대, 지역사회 위기극복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 서동희 2017  62
103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2018  68
102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2011  69
101 13 인구 일·가족양립을 통한 저출산 대응방안 마련 연구 / 장진희 외 2017  70
100 13 인구 저출산 관련 예산분석을 통한 정책적·비정책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아리마분석을 사용하여 / 정다운 2017  74
99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76
98 13 인구 1930-40년대 인구문제 관련 스웨덴 국가연구위원회들에서의 인구정책 및 가족정책 논의 / 신정완 2018  82
97 13 인구 지방자치단체별 출산율 영향요인 연구: 사회·문화적, 경제적, 정책적 요인을 중심으로 / 오삼권 외 2018  87
96 13 인구 초고령화 사회로의 접근에 따른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검토 - 우리나라와 독일법을 중심으로 - / 고재종 2018  95
95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2017  96
94 13 인구 여성 인재 DB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홍희정 2017  99
93 13 인구 저출산 · 육아지원대책에 대한 한 · 일 비교연구 / 이성한 2018  99
92 13 인구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2015  100
91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