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가족복지학 
관련링크 :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ey=3507294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First Childbirth Intentions Among Married Working Women in South Korea - Focusing on Working Conditions And Workplace Pro-natal Programs -)


  • 제어번호 103038228
  • 저자명 이승주 ( Lee Seung Ju ), 문승현 ( Moon Seung Hyun )
  • 학술지명 한국가족복지학(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 발행처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afsw.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9-155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등재정보 등재
  • 주제어 저출산, 무자녀, 직장여성, 일·가정 양립, 출산의사, 여성가족패널, Work-Life Balance, Childbirth Rate, Married Female Worker, Childbearing Age, First Childbirth
  •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  본 연구는 최근 가족에 대한 여성의 가치관 변화 및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의도적으로 자녀를 낳지 않는 부부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직장기혼여성 중 특히 무자녀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향후 이들의 출산계획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출산율의 회복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의 1-5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직장에 종사하고 있는 가임 가능기(27-49세) 기혼 무자녀 여성(1,020명)을 대상으로 근로조건 및 출산장려제도가 첫 자녀 출산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교차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교차분석결과 근로 및 제도적 요인 변수 중 정규직 여부, 산전후휴가 제공여부, 육아휴직 제공여부, 출산장려금 제공여부와 이러한 제도에 대한 직장 여성들의 인식 정도가 첫 자녀 출산의사와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정부주도형 출산장려정책들이 아직까지는 여성의 출산의사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실효성을 담보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무자녀 기혼 직장여성들의 출산장려제도에 대한 높은 인지가 반드시 출산의사의 제고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가정 양립제도의 보편적 확산, 첫 자녀 출산에 대한 지원 확대 및 근로시간의 단축, 출산 후 여성의 직장안정성 보장 등을 본 연구의 함의로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10 13 인구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 윤경자 2010  41
109 13 인구 사회변화와 대안가족 / 김영민 2018  41
108 13 인구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패러다임변화 필요한가?/백선희 2018  54
107 13 인구 저출산과 교육시설 / 윤천근 2016  56
106 13 인구 저출산 대책 - '일ㆍ가정 양립'은 우리 모두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 이상식 2017  60
105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0
104 13 인구 저출산 시대, 지역사회 위기극복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 서동희 2017  62
103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2018  68
102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2011  69
101 13 인구 일·가족양립을 통한 저출산 대응방안 마련 연구 / 장진희 외 2017  70
100 13 인구 저출산 관련 예산분석을 통한 정책적·비정책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아리마분석을 사용하여 / 정다운 2017  74
99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76
98 13 인구 1930-40년대 인구문제 관련 스웨덴 국가연구위원회들에서의 인구정책 및 가족정책 논의 / 신정완 2018  82
97 13 인구 지방자치단체별 출산율 영향요인 연구: 사회·문화적, 경제적, 정책적 요인을 중심으로 / 오삼권 외 2018  87
96 13 인구 초고령화 사회로의 접근에 따른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검토 - 우리나라와 독일법을 중심으로 - / 고재종 2018  95
95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2017  96
94 13 인구 여성 인재 DB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홍희정 2017  99
93 13 인구 저출산 · 육아지원대책에 대한 한 · 일 비교연구 / 이성한 2018  99
92 13 인구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2015  100
»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