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열린유아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05113 
신문사설의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the solutions to the low birth rate in newspaper editorials

                                 

  • 저자명

    이지영 ( Lee Ji Young )                                              

  •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                           

  • 권호사항

    Vol.22 No.2 [2017]                                                            

  • 발행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발행처 URL

    http://www.open33.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35-158(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신문사설에서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의 표상, 생산 및 소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공고화를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담론의 내용은 저출산 인식과 원�...
  • 본 연구는 신문사설에서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의 표상, 생산 및 소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공고화를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담론의 내용은 저출산 인식과 원인, 그 영향 및 결과, 해결방안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저출산 현상의 부정적 수식어와 비유 사용은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있었다. 담론 생산 및 소비 분석결과, 사설로서의 담론질서를 갖고 있었고, 유아교육 공교육화와 무상보육지원 관련 담론에서 신문사의 전통적인 담론 성향이 나타났다. 담론의 사회·문화적 맥락분석 결과, 담론은 시장경제중심의 자본주의, 관련 정책 수립과 실행, 선거공약과 실행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는 저출산 해결 목적이 삶의 질 향상, 인간행복의 가치보다 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동력 확보라는 경제학적 가치가 우위에 있음을 나타낸다. 선행 국가들의 저출산 극복정책 경향이 `유아교육의 질적 강화`임을 볼 때, 근본적으로 경제적 가치보다는 교육·복지적 가치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대중의 인식과 정책에 영향을 끼치는 담론은 이를 반영해야 한다. 담론은 주기적 관련 정책 발표나 선거전후의 일시적 주목보다 저출산 해결방안의 지속적인 관심과 비판이 담긴 담론이 되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50 13 인구 인구 증감 분석 및 예측을 위한 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 개발 연구 / 김정식 외 2016  185
49 13 인구 한국 다출산·저출산 가정의 특성과 원인분석 / 강명화 2010  185
48 13 인구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 2000년 이후 초혼가구를 중심으로 / 배호중 2018  182
47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 김순은 2017  180
» 13 인구 신문사설의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이지영 2017  169
45 13 인구 한국 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 최윤철 2016  157
44 13 인구 저출산시대에 인구감소 방지를 위한 고위험임신 관리방안 / 이난희, 송혜숙 2017  155
43 13 인구 저출산 고령사회에 따른 지방세제의 합리적 개편방안 / 김남욱 2017  151
42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향후 과제 / 변수정 외 2018  141
41 13 인구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와 출산에 영향 미치는 요인 / 조아라 2018  135
40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39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시대 의료 정책 및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지 외 2016  134
38 13 인구 영유아보육정책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은숙 2016  133
37 13 인구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서상록 2009  133
36 13 인구 무자녀율 변화 추세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 / 김한곤 2014  132
35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
34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7
33 13 인구 최근의 임신 및 출산 실태와 정책적 함의 / 이삼식 2016  124
32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31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2018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