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94282 
여성 인재 DB에 대한 비판적 고찰
= Critical Consideration on the Women Leaders DB System - Focusing on Incheon case -

                          

  • 저자명

    홍희정(Hee-Jeong Hong),홍성현(Sung-Hyun Hong)                                               

  • 학술지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

    Vol.17 No.4 [2017]                                                          

  • 발행처

    한국콘텐츠학회(The Korea Contents Society)                                   

  • 발행처 URL

    http://www.koreacontents.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78-487(1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최근 선진국들은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가정 양립을 통한 여성 인력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한국도 여성 인력 활용을 위하여 2011년부터 여성 전문인을 중심으...
  • 최근 선진국들은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가정 양립을 통한 여성 인력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한국도 여성 인력 활용을 위하여 2011년부터 여성 전문인을 중심으로 여성 인재 데이터베이스(이하 여성 인재 DB)를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인천시가 2009년부터 자체 구축한 인천 여성 인재 DB가 대표적이다.
    인천 여성 인재 DB에는 2015년 현재 약 2,735명이 등록되어 있으며, 연령, 학력, 경력연수. 전공, 직종. 자격증 등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성에 대한 불명확한 규정, 데이터 입력과 같은 데이터 신뢰 문제 등과 같은 관리적 측면에서의 문제점과 DB의 인력이 특정 분야에 편중되어 있고, 전문성을 입증하는 자격증의 경우 아직 검증 되지 않은 민간 자격증까지 포괄해서 포함하는 등 활용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첫째, 여성 인재에 대한 명확한 개념화와 기준 정립, 둘째, DB 재정비를 통한 데이터 정합성 향상, 셋째,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구직자와 구인자 모두가 활용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국가 인재 DB와 여성 인재 DB 현황
  • Ⅳ. 인천 여성 인재 DB5 분석
  • Ⅴ. 인천 여성 인재 DB 문제점과 해결방안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0 13 인구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정책도구에 대한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이기령 2018  113
29 13 인구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영향과 향후 대책/이재원 2017  109
28 13 인구 정책보고서의 인지지도 분석: 제3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의 사례/김동환 2017  109
27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정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및 제언 / 강미화 2017  106
26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2018  106
25 13 인구 저출산 정책 / 김남희 2017  105
24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4
23 13 인구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박채복 2018  104
22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2018  104
21 13 인구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3
20 13 인구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2015  100
19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 13 인구 여성 인재 DB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홍희정 2017  99
17 13 인구 저출산 · 육아지원대책에 대한 한 · 일 비교연구 / 이성한 2018  99
16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2017  96
15 13 인구 초고령화 사회로의 접근에 따른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검토 - 우리나라와 독일법을 중심으로 - / 고재종 2018  95
14 13 인구 지방자치단체별 출산율 영향요인 연구: 사회·문화적, 경제적, 정책적 요인을 중심으로 / 오삼권 외 2018  87
13 13 인구 1930-40년대 인구문제 관련 스웨덴 국가연구위원회들에서의 인구정책 및 가족정책 논의 / 신정완 2018  82
12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76
11 13 인구 저출산 관련 예산분석을 통한 정책적·비정책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아리마분석을 사용하여 / 정다운 2017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