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750322 
저출산에 따른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정부의 관리 전략

                             

  • 기타서명

    New Social Risks & Government Managements focused on Low Birth

  • 저자

    정순화                                       

  • 형태사항

    v, 115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문태운
    각주 수록
    참고문헌: p.108-1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비교정치전공 2012.02

  • DDC

    320.3 21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2                                                                                                                             

  • 초록 (Abstract)
    • <국문요약>현대 산업사회에서 「위험」은 일상생활의 도처에 구조화되어 있고 개개인은 그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위험」은 후기 자본주의 사회가 기술적으...
  • <국문요약>
    현대 산업사회에서 「위험」은 일상생활의 도처에 구조화되어 있고 개개인은 그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위험」은 후기 자본주의 사회가 기술적으로 고도화되고 복잡해짐에 따른 필연적 산물로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 한국사회의 모습은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경제적 풍요로움으로 삶의 질이 향상되었지만 그러한 사회적 역동성만큼이나 불확실성이 증가되어 개인과 가족, 더 나아가 사회는 위기를 보다 많이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새로운 사회적 위험으로 저출산 문제를 상정하여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일차적 의도이다.
    저출산의 원인으로 사회적 요인, 정책적 요인, 문화적 요인으로 분류하고, 사회적 요인으로는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여성의 교육수준의 향상과 성역할의 변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경제적 불안감 증대로, 정책적 요인으로는 성공적 가족계획사업, 모자보건 사업의 강화(영유아 사망률 저하)로, 그리고 문화적 요인으로는 결혼 및 출산 가치관의 변화, 가족 불안정성의 증가와 다양한 가족형태의 출현, 자녀 가치관의 변화, 자녀 양육부담과 사교육비 부담의 증가, 경쟁사회에서 여성의 부담 증가로 서술하고 있다.
    저출산으로 인한 전반적인 사회적 위험 요인으로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문제, 전통적 사회 시스템의 혼란, 안보위협, 세대간 갈등, 국가경쟁력 저하로 나누고, 이 사회적 위험의 관리방안으로서 저출산 대응정책으로 한국의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정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성역할의 변화로 인한 저출산 현상을 어떻게 극복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할지를 연구하고, 저출산이 몰고 올 사회적 위험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무엇보다도 가족관련 위험, 즉, 저출산으로 인한 사회적 위험이 어떠한 함의를 갖는지 시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새로운 사회적 위험이란 무엇이며 그 개념의 사회적 맥락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저출산에 의한 사회적 위험이 다른 사회적 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망하고 있다. 특히 저출산의 원인 중 성역할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저출산이 몰고 올 사회적 위험에 대한 대응으로서 성역할의 변화에 따른 양성평등 문화의 정착이 기여하는 바를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이론적 틀 5
  • 1. 위험사회 5
  • 2. 저출산 10
  • 제2장 연구의 범위와 방법 14
  • 제1절 위험사회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14
  • 제2절 사회적 위험의 유형 16
  • 제3절 한국사회에서의 ‘사회적 위험’ 연구 19
  • 제4절 저출산 논의의 역사적 전개 23
  • 제3장 저출산의 현황 및 원인 26
  • 제1절 저출산의 현황 26
  • 제2절 저출산의 원인 27
  • 1. 사회적 요인 28
  • 2. 정책적 요인 36
  • 3. 문화적 요인 38
  • 제4장 저출산으로 인한 새로운 사회적 위험 47
  • 제1절 저출산과 사회적 위험과의 상관관계 47
  • 제2절 저출산과 새로운 사회적 위험 요인 49
  • 1.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 51
  • 2.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문제 54
  • 3. 전통적 사회 시스템의 혼란 58
  • 4. 안보 위협 61
  • 5. 세대간 갈등 62
  • 6. 국가경쟁력 저하 64
  • 제5장 사회적 위험 관리방안으로서의 저출산 대응정책 69
  • 제1절 한국의 저출산 대응정책 69
  • 1.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2010) 70
  • 2.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2015) 75
  • 제2절 한국의 저출산 대책에 대한 개선방안 98
  • 1. ‘성 차이’를 인정하는 제도적 장치 98
  • 2. 노동시장의 일·가정 양립문화의 정착 100
  • 3. 사회보험제도의 정책대상의 변화 103
  • 제6장 결 론 105
  • 참고문헌 108
  • ABSTRACT 1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0 13 인구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3
89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4
88 13 인구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박채복 2018  104
87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2018  104
86 13 인구 저출산 정책 / 김남희 2017  105
85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정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및 제언 / 강미화 2017  106
84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2018  106
83 13 인구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영향과 향후 대책/이재원 2017  109
82 13 인구 정책보고서의 인지지도 분석: 제3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의 사례/김동환 2017  109
81 13 인구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정책도구에 대한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이기령 2018  113
80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2018  116
79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78 13 인구 최근의 임신 및 출산 실태와 정책적 함의 / 이삼식 2016  124
77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7
76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
75 13 인구 무자녀율 변화 추세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 / 김한곤 2014  132
74 13 인구 영유아보육정책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은숙 2016  133
73 13 인구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서상록 2009  133
72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71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시대 의료 정책 및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지 외 2016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