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668031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탐색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one-child family mothers or many-child family mothers about the low fertility

                                           

  • 저자

    김정숙                                       

  • 형태사항

    iii, 157 p. ; 26 cm

  • 일반주기

    참고문헌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2006.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6                                                                                                         

  •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현상을 바라보는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사회인식을 저출산 원인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그들의 개인적인 출산 및 양육의 경험을 되돌아보는 자기인식을 ...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현상을 바라보는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사회인식을 저출산 원인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그들의 개인적인 출산 및 양육의 경험을 되돌아보는 자기인식을 통해,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가 갖은 인식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으며 그것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즉, 동시대에 동일한 사회 상황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 여성들이 왜 아이 낳기를 거부하는지, 또는 적게 혹은 많이 낳고 있는지에 대해 여섯 어머니들의 생각과 실제 경험담을 들어봄으로써 저출산 현상의 문제 해결을 위한 좀 더 실질적인 자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출산 현상을 바라보는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들의 사회인식은 어떠한가?
    저출산 현상의 원인을 중심으로 본 한자녀 및 다자녀 어머니들의 사회인식은 자녀수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하였다. 교육열의 심화에 따른 교육 기간의 연장과 사교육의 증가, 이에 따른 이민바람,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감 및 욕심에 따른 심리적 불안감, 불임의 증가, 빈정거리는 주변의 시선과 개별적 가족 연대로 인한 출산 및 양육의 고통, 정규 보육 시간의 문제 및 시설의 낮은 질에 따른 불만족, 현재 시행되는 출산 및 양육과 관련된 사회적 지원의 부족 및 비효율성,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초혼 연령의 상승, 결혼 기피, 여성의 자아욕구 및 사회참여 증대였다.

    둘째, 저출산 현상을 바라보는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들의 자기인식은 어떠한가?
    저출산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한자녀 및 다자녀 어머니들의 자기인식은 많은 차이를 보였다. 한자녀 가정의 어머니들 경우에는 출산 후 아이로부터 기쁨과 즐거움을 얻지만, 한명의 아이를 더 낳음으로 해서 자신의 삶을 포기하는 것은 원치 않았다. 하지만 질 좋은 양육환경이 만들어진다면 외로운 아이를 위해 아이를 더 낳고 싶다고 하였다. 또한 아이에게 충족적 사랑과 과도한 투자를 하고 아이를 교육경쟁에 동참시켜 사립초등학교나 영어연수, 단기 유학을 보내고자 하였다. 아이가 혼자 자라서 대인관계나 사회성 부분에서 부족하며, 한 아이의 어머니가 되면서 아이를 맡길 곳을 찾아야 하고 육아 스트레스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아이에게 풀지만 아이와 상호작용을 많이 해줄 수 있고 민감하게 반응해 줄 수 있는 장점도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다자녀 가정의 어머니들은 출생 전 부터 너무 아이를 좋아하고 사랑했으며 낳을 수 있는 한 많이 낳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 세 자녀를 키우기도 너무 힘들기 때문에 세 아이 까지만 낳겠다고 하였다. 자녀에게는 헌신적 사랑을 하고 있었으며, 아이의 교육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 자립심, 성실성, 봉사정신 등 인성적인 측면도 가르쳐야 하며 여럿이 지내다 보니 사회성이 저절로 좋아지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세 아이의 엄마가 되면 어머니로서 수행해야 하는 역할이 너무 많아져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고 하였다. 아이가 어렸을 때는 아이 맡길 곳을 찾아 헤매야 하고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엄마가 참여해야 하는 일이 많아짐으로서 참여를 할 수 없을 경우 주변에서 쓴소리를 들어야만 한다는 것이었다.

    셋째, 저출산 현상을 바라보는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들의 사회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어떠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자녀수에 상관없이 어머니들은 주변을 보고 느끼면서 저출산 현상의 원인에 대해 공감하고 있었다. 교육열의 심화에 따른 교육기간의 연장과 사교육의 확대, 부모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감 및 욕심, 개별적인 가족 연대와 냉소적 사회, 보육 시간 및 시설의 낮은 질에 대한 불만족, 출산 및 양육비의 부담과 사회적 지원체계의 비효율성, 가치관의 변화로 인한 초혼연령의 상승과 결혼 기피현상, 여성으로서의 삶의 추구 욕구로 저출산 현상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그러나 과열된 교육열을 내리기 위한 캠페인, 육아 정보의 제공, 질 좋은 시설의 증대와 우리의 아이라는 따뜻한 공동체 의식, 보육시설의 시간 연장 또는 융통성 있는 운영 시간, 출산과 양육비와 관련된 실효성 있는 지원 제도, 자녀 양육에 대한 아버지의 참여 등 어머니들이 느끼는 근본적인 사회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방안을 만들어 내는 것이 출산율 증대로 갈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넷째, 저출산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들의 자기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어떠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들의 자기 인식은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그 차이는 극단적으로 각각의 어머니들이 갖고 있는 특성이 아니라 공존 할 수도 있는 정도의 차이였다. 자녀 출산과 관련해서 한자녀 가정 어머니들의 경우 아이 만큼이나 자신의 삶을 중요시 하는 반면, 다자녀 가정 어머니들의 경우 사랑스러운 아이를 위해 힘겨운 어머니로서의 삶을 수용하고 있었다. 자녀 양육과 관련해서는 한자녀 가정 어머니들의 경우 아이가 바라는 것을 다 충족시켜 주고 교육적 성취를 중심에 두고 아이를 완벽하고 뛰어나게 키우기 위해 모든 것을 아이에게 쏟아 붓는 반면 다자녀 가정 어머니들의 경우 아이에게 헌신적인 사랑을 하고 학업적인 면도 중요하지만 인성교육을 시켜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또한 세 자녀를 동시에 키우면서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가중됨에 따라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출산과 양육에 대한 자유로운 토론의 기회 제공, 둘 이상의 자녀를 키울 수 있는 질 좋은 양육 환경, 자녀 사랑의 올바른 방법, 아이의 연령과 발달에 적합한 교육, 사교육을 줄이기 위한 공교육화의 검토, 다자녀를 키우며 일을 하는 여성들에 대한 이해와 배려 등이 절실히 필요하며 이것이 이루어 졌을 때 저출산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으로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 사회에 내재된 교육열을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자녀 양육 방법과 관련한 육아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자녀 양육에 아버지 참여와 우리의 아이라는 공동체 의식이 필요하다.
    넷째, 한 명 또는 두 명의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위한 지원제도가 필요하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4
  • C.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8
  • A. 저출산의 개념 및 현황 8
  • B. 저출산의 요인 14
  • C. 저출산의 정책 사례 17
  • 1. 우리나라의 사례 17
  • 2. 외국의 사례 23
  • Ⅲ. 연구 방법 35
  • A. 연구 대상 35
  • B. 자료 수집 40
  • C. 자료 분석 42
  •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43
  • A.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 43
  • 1. 사회 들여다보기 : 저출산의 원인을 중심으로 43
  • 1) 저출산 원인에 대한 한자녀 가정 어머니의 사회인식 43
  • 2) 저출산 원인에 대한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사회인식 62
  • 2. 내 자신 알아보기 : 출산과 양육 81
  • 1) 한자녀 가정 어머니의 출산 및 양육에 대한 자기인식 81
  • 2)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출산 및 양육에 대한 자기인식 94
  • B.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비교 106
  • 1. 저출산 현상에 대한 사회인식의 공감과 의미 106
  • 1) 교육열 심화에 따른 교육기간 연장과 사교육의 확대 106
  • 2) 부모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감 및 욕심 109
  • 3) 개별적인 가족연대와 냉소적 사회 111
  • 4) 보육시간 및 시설의 낮은 질에 대한 불만족 114
  • 5) 출산 및 양육비 부담과 사회적 지원체계의 비효율성 116
  • 6) 가치관의 변화 : 초혼 연령의 상승. 나의 삶. 내 것. 120
  • 2. 저출산 현상에 대한 자기인식의 차이와 의미 122
  • 1) 자녀 출산; 내 삶의 중요성 : 사랑스러운 아이 122
  • 2) 자녀 양육; 완벽한 아이 만들기 : 가중된 어머니 역할 수행하기 127
  • Ⅵ. 논의 및 결론 136
  • A. 요약 136
  • B. 논의 및 결론 139
  • C. 제언 142
  • 참 고 문 헌 144
  • 국 문 초 록 149
  • ABSTRACT 15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0 13 인구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 최문숙 2007  2292
9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영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소현정 2007  2610
8 13 인구 저출산 정책의 비판적 검토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임혜숙 2007  258
7 13 인구 저출산ㆍ고령사회에 따른 교육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 김주미 2007  366
6 13 인구 저출산 원인분석 및 대처방안 : 출생아수 감소원인 분석 및 대처방안 연구 / 황해범 2006  709
5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4
» 13 인구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탐색 / 김정숙 2006  254
3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보육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이정미 2005  939
2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 경제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선숙 2005  499
1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2004  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