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180211 
저출산. 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 Future education for low birth rate and aged society

                                      

  • 저자

    김지혜                                       

  • 형태사항

    viii, 133 p. : 삽도 ; 26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 p.109-1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사회과교육전공 2008. 2

  • KDC

    370.13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8                                                                                                                                                              

  • 초록 (Abstract)
    • 사회과교육은 바람직한 사회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갖춘 민주 시민을 양성해야 할 책임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도래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으...
  • 사회과교육은 바람직한 사회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갖춘 민주 시민을 양성해야 할 책임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도래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여 바람직한 미래 사회를 건설하는 것은 사회과교육의 책임이다.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인구 교육으로는 한계가 있다. 기존의 인구교육은 인구감소를 목적으로 무비판적인 인구 정책의 전달로 이루어졌다. 이는 놀라운 인구감소를 이루어냈지만, 결국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도래라는 또 다른 부작용을 낳았다. 이러한 실패를 다시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인구교육의 새로운 전환이 요구된다. 새로운 인구교육은 미래 지향적이어야 한다. 즉, 현재 사회의 인구수의 변화가 미래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 스스로 사고하여 바람직한 미래 사회를 위해서 우리가 해야 할 일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정립해야 한다. 이는 바람직한 미래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미래 교육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를 위한 새로운 인구교육의 방향으로 미래 교육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고에서는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를 위한 미래교육을 제안하였다.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사회과 교육과정과 사회과교과서의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교육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를 위해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주축이 되어 다루어야 할 인구변동, 저출산, 고령화, 지원제도와 관련된 내용이 거의 없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을 인구변동, 저출산, 고령화, 지원제도로 구성하였다. 또한,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프로그램의 방법은 미래 교육의 주요 방법으로 꼽히고 있는 시나리오 방법을 기반으로 하였다. 시나리오 방법은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답변이다. 이 방법은 앞으로의 미래를 사회적 동인을 근거로 합리적으로 예측하고 바람직한 미래를 만들고 그 미래를 위해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시나리오 방법은 주로 준비, 추적, 분석, 전망, 결정, 행동의 6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6단계를 기반으로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을 구성하였다. 하지만, 초등학생에게 그대로 시나리오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므로,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하도록 일부 수정하였다. 준비단계에서는 과거와 현재의 인구수와 인구정책에 대해 살펴보도록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추적단계에서는 현재의 인구변화의 원인을 파악하였고, 분석 단계에서는 원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미래 사회의 모습을 예측해, 시나리오로 작성하였다. 본래의 시나리오 방법에서는 동인의 변화에 따른 여러 개의 실현 가능성이 높은 미래를 구안해야 하나,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의 목적이 저출산·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미래만을 구안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망·결정단계에서는 2050년 미래 사회의 바람직한 모습을 만들고 그것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행동단계에서는 캠페인 송을 만들어, 실천의지를 다졌다.
    수업 결과, 미래 사회의 인구를 합리적 근거에 의해 예측하는 경향이 증가하여, 기존의 무비판적인 인구 교육의 효과적인 대안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원인에 대한 인식이 개인적 측면에서 사회와 국가적 측면으로 확대되었고,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심각성을 인식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저출산·고령화 사회를 극복하는 해결책 수립 시,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견해를 제시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에 영향을 끼치는 가치관 중 결혼관, 양성평등관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자녀관과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한 관심은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에 적합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은 저출산·고령화 사회를 대비하는 능력 함양에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마포구 소재의 초등학교 3학년 한 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일반화에 무리가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교육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더 나아가 저출산·고령화 사회 문제를 우리의 깊은 내면 속의 정신 사상과 철학과 연계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저출산·고령화 사회 문제는 원인 진단과 극복의 차원과 해야겠다는 의지를 함양하는 차원에서 더 나아가, 그것이 개개인의 깊은 내면 속의 우리 정신과 철학과 융화될 때 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출산·고령화 사회 문제가 시급함에도 사회과교육이 이에 대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사회과교육이 저출산 ·고령화 사회를 극복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본 논문이 작은 보탬이 되
  •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내용 및 방법 = 6
  • 가. 연구 내용 = 6
  • 나. 연구 방법 = 7
  • 3. 연구 가설 및 제한점 = 8
  • 가. 연구 가설 = 8
  • 나. 연구의 제한점 = 9
  • 4. 선행 연구 = 10
  • Ⅱ. 이론적 배경 = 17
  • 1.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를 위한 미래 교육 = 17
  • 2. 미래 교육 접근 방식으로서의 시나리오 방법 = 20
  • 가. 시나리오 방법 = 21
  • 나. 추세 외삽법 = 26
  • 다. 브레인스토밍 = 26
  • Ⅲ.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28
  • 1.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의 가능성 = 28
  • 가. 사회과교육과정에서의 가능성 = 28
  • 나. 사회과 교과서에서의 가능성 = 29
  • 2.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프로그램 설계 = 38
  • 가. 프로그램을 적용한 단원 = 38
  • 나. 프로그램의 목표 = 39
  • 다. 프로그램의 적용 = 39
  • 라. 프로그램의 각 단계와 지도 = 42
  • Ⅳ.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논의 = 47
  • 1. 준비 단계 = 47
  • 가. 준비 단계의 적용 = 47
  • 나. 가설 1의 검증 = 53
  • 2. 추적 단계, 분석 단계 = 58
  • 가. 추적 단계, 분석 단계의 적용 = 58
  • 나. 가설 2의 검증 = 81
  • 다. 가설 3의 검증 = 84
  • 3. 전망·결정 단계 = 88
  • 가. 전망·결정 단계의 적용 = 88
  • 나. 가설 4의 검증 = 93
  • 4. 행동 단계 = 96
  • 가. 행동 단계의 적용 = 96
  • 나. 가설 5의 검증 = 99
  • 5. 교수-학습 평가 = 102
  • 6. 논의 및 해석 = 103
  • Ⅴ. 결론 = 106
  • 참고 문헌 = 119
  • Abstract = 113
  • 부록 1 = 117
  • 부록 2 = 1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10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27
109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영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소현정 2007  2610
108 13 인구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 최문숙 2007  2292
107 13 인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동성 2016  2203
106 13 인구 저출산 문제점과 정책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유형별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 정윤경 2007  1464
105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 조용철 2012  1249
104 13 인구 출산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 방향 연구 / 박숙현 2015  1203
»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 김지혜 2008  1152
102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2004  1109
101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출산정책의 방향성 연구 / 방문주 2010  1034
100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출산율과 출산의지를 중심으로 / 홍성란 2016  1006
99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4
98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보육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이정미 2005  939
97 13 인구 비혼(非婚)을 통해 본 현대 일본의 가족 관계와 젠더 질서 / 지은숙 2016  911
96 13 인구 저출산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현욱 2013  791
95 13 인구 저출산 원인분석 및 대처방안 : 출생아수 감소원인 분석 및 대처방안 연구 / 황해범 2006  709
94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대책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삼식 2016  642
93 13 인구 저출산 원인 조사와 출산장려정책 연구 / 노정현 2012  639
92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2016  588
91 13 인구 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사례와 연계를 중심으로 / 김순자 2017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