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169270 

한국 다출산·저출산 가정의 특성과 원인분석

=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 of high-low birth of home in Korea

                                           

  • 저자

    강명화                                       

  • 형태사항

    viii, 125 p. ; 26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노병만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0. 8

  • 발행국

    경상남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 초록 (Abstract)
    • <국문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출산가정과 저출산가정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관련된 원인을 분석하여 저출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
  • <국문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출산가정과 저출산가정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관련된 원인을 분석하여 저출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갖고자 하였다.
    첫째, 다출산과 저출산을 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둘째, 다출산과 저출산 가정의 인식 또는 의식 및 가치관은 무엇이며 그들은 왜 다출산을 하고 저출산을 하는가?
    셋째, 그들은 어떤 필요ㆍ충분조건에 의하여 다출산과 저출산을 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해내기 위해 창원시, 김해시, 마산시 및 경남의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한 가정을 대상으로 설문지 350부를 배포하는 경험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출산 현상의 필요조건에는 교육기간의 연장과 결혼연령상승, 취업의 어려움 등이 있으며 저출산 현상의 충분조건에는 일과 직장 양립의 어려움, 양성평등으로 인한 양육의 어려움, 양육비용 부담으로 구분되어진다.
    따라서 자녀수를 늘리는데 가장 큰 변수는 첫째자녀 출산당시의 총소득이 자녀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분석결과 향후 출산할 가능성이 높은 층은 소득수준이 낮은 계층이었고 반면 소득수준이 높은 계층은 출산의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이 높을수록 저출산이 많았으며 소득이 낮을수록 다출산이 많은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출산과 저출산 가정의 결혼의식 또는 자녀에 대한 의식 요인 중 자녀에 대한 가치관에는 과거 전통사회에서는 자녀의 의미가 부모를 위해 있는 존재, 부모를 모시는 존재, 자신의 대를 잇는 존재, 자녀는 살림밑천이라는 가치를 갖는 존재였다. 그러나 산업화되면서 일정한 연령에 이르면 반드시 결혼하여야 한다는 보편적 결혼관이 약화된 반면 충분한 미혼기간을 보내고 결혼하는 만혼현상이나 아예 결혼을 포기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출산에서 남아를 낳아 대를 이어야 한다는 의식이 높지 않다. 오히려 개인의 자아실현과 자유로운 삶의 향유를 더 중요시하며 결혼보다는 직장생활에 우선순위를 둔다. 그러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다출산ㆍ저출산 가정의 행태적인 요인 중에 피임, 낙태, 불임의 중요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조사대상자 중 자연유산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살펴보면 다출산 가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출산현상에 대한 원인에 관한 연구는 보다 더 많은 연구와 보다 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서 진정한 원인이 무엇인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사회의 당면한 인구문제 중 가장 시급한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마련되고 있는 시점에서 실효성 있는 정책이 되기 위해서 다출산ㆍ저출산 가정의 출산요인을 분명히 규명함과 동시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출산대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전통적 가족가치의 고수, 전통적 성역할 규범의 잔존과 함께 자녀에 대한 출산의지와 의식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출산계획과 관련하여 부부의 취업상태, 부부연령이 출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동시에 자녀수에 미치는 요인으로 혼인상태, 혼인 시 아내나이, 가계소득, 혼인기간은 출산력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과 목적 1
  • 2. 연구 방법 5
  • Ⅱ. 이론적 배경 8
  • 1. 출산요인에 관한 이론적 검토 8
  • 2. 선행연구 검토 21
  • Ⅲ. 연구 분석의 틀 34
  • 1. 분석의 구조 34
  • 2. 주요 분석사항 43
  • Ⅳ. 분석결과 50
  • 1. 인구사회학적 특성 50
  • 2. 필요ㆍ충분조건 요인 53
  • 3. 출산의식과 가치관의 요인 68
  • 4. 다출산ㆍ저출산의 행태적 원인 89
  • Ⅴ. 결 론 95
  • 참고문헌 103
  • <부록> 설문지 110
  • ABSTRECT 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50 13 인구 인구 증감 분석 및 예측을 위한 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 개발 연구 / 김정식 외 2016  185
» 13 인구 한국 다출산·저출산 가정의 특성과 원인분석 / 강명화 2010  185
48 13 인구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 2000년 이후 초혼가구를 중심으로 / 배호중 2018  182
47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 김순은 2017  180
46 13 인구 신문사설의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이지영 2017  169
45 13 인구 한국 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 최윤철 2016  157
44 13 인구 저출산시대에 인구감소 방지를 위한 고위험임신 관리방안 / 이난희, 송혜숙 2017  155
43 13 인구 저출산 고령사회에 따른 지방세제의 합리적 개편방안 / 김남욱 2017  151
42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향후 과제 / 변수정 외 2018  141
41 13 인구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와 출산에 영향 미치는 요인 / 조아라 2018  135
40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39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시대 의료 정책 및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지 외 2016  134
38 13 인구 영유아보육정책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은숙 2016  133
37 13 인구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서상록 2009  133
36 13 인구 무자녀율 변화 추세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 / 김한곤 2014  132
35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
34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7
33 13 인구 최근의 임신 및 출산 실태와 정책적 함의 / 이삼식 2016  124
32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31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2018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