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953631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영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저자

    소현정                                       

  • 형태사항

    iv, ii, 9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응렬
    단면인쇄임
    참고문헌: p. 83-9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2007.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7                                                                                                                                                            

  • 초록 (Abstract)
    •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급격한 출산율 저하 현상과 이로 인한 인구 고령화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책 및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한국 사회에서의 저출산 ...
  •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급격한 출산율 저하 현상과 이로 인한 인구 고령화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책 및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한국 사회에서의 저출산 현상은 가부장적 사회 문화, 여성의 고학력화에 따른 사회 참여 증가, 열악한 육아 환경과 교육비 등의 기회비용 부담, 실업 및 고용 불안정 등의 경제적인 문제가 주된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심각한 저출산은 경기의 둔화, 고령 인구 증가에 따른 부양․수발 문제를 둘러싼 세대 간의 갈등을 초래한다. 고령 인구는 증가하는데 비해 이들을 부양․수발할 인구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저출산 현상의 해결을 위해서는 육아비 보조, 사교육비 절감, 공교육의 내실화 등의 사회적인 지원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육아의 기회비용에 대한 지원이 확실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동 수당의 내실화,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보육 시설의 확충과 안전성 확보, 사교육비 경감 방안 등이 요구된다. 부모가 아이를 직접 양육하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보육의 사회화’라는 시대적인 추세 속에서 사회 전체가 육아와 양육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취업모에 대한 노동 환경 개선과 복지 서비스 지원은 모성 자원을 보호하면서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지속적인 저출산은 인구 고령화와 직결된다. 인구 고령화는 일반적으로 의료 보급과 서비스 급부의 일반화로 인한 평균 수명 신장, 출산율 하락, 생활 환경의 변화, 예방 의학의 발달과 정신 보건 정보의 보급에 의한 장수화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는 노인부양비 증가와 생산 인구 감소로 인해 세대 간의 갈등을 증폭시키고, 전반적인 사회적 부담의 증가로 사회 전체에 커다란 변화를 미치게 된다. 이러한 영향은 연금이나 의료 보험과 같은 사회보장비용 증가와도 연관되어 사회 구성원에 대한 사회보장이라는 안전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생산 인구 감소와 노인부양비 증가로 국가 재정은 악화되고, 그로 인한 세대 간의 갈등은 갈수록 첨예화될 전망이다. 세대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노인 인구의 소득 보장 확보를 돕는 고용 기회 확대와 같은 생산적 복지 정책 수립이 선행되어야 하겠다.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 대책은 현재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될 중요한 과제이기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합계출산율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직장과 가정 생활을 양립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직장에서는 출산과 육아 제도를 확립하여 휴가 사용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남성에게는 육아 활동과 가사 활동을 할 수 있는 의식 변화와 환경 정비가 요구된다. 더 나아가 사회 전체가 육아에 참여할 수 있는 ‘보육의 사회화’가 출산율의 저하를 막는 방도가 된다. 인구 고령화의 대책은 노인이 흔히 직면하는 경제적, 신체적 및 정서적 의존성에 대해 지원함으로써 자립 생활을 할 수 있는 복지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다. 노인이 지닌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노인이 노동 생산 활동에 참여하기 쉬운 환경이 속히 마련되어야 하겠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 1 장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 목적 및 범위
  • 제 2 장 기초 개념과 이론적 배경
  • 1. 기초 개념
  • (1) 합계출산율
  • (2) 고령화 및 고령사회, 고령시대의 개념 및 특성
  • (3) 노인부양지수
  • 2. 이론적 배경
  • (1) 소득과 출산력 간의 상관 이론
  • (2) 경기 둔화 이론
  • (3) 기회비용 이론
  • (4) 성역할 이론
  • 제 3 장 저출산의 실태와 사회적 영향
  • 1. 저출산의 실태와 경향
  • (1) 저출산에 대한 경향 분석
  • (2) 저출산의 원인
  • 2. 저출산과 사회문제
  • (1) 인구고령화
  • (2) 가족 기능 약화
  • (3) 생산 인구 감소
  • (4) 사회보장비용 증가
  • 제 4 장 인구 고령화의 실태와 사회적 영향
  • 1. 인구 고령화의 실태와 경향
  • (1) 인구 고령화에 대한 경향 분석
  • (2) 인구 고령화의 원인
  • 2. 인구 고령화와 사회문제
  • (1) 인구 고령화와 세대 갈등
  • (2) 노인부양비 증가와 경제 성장의 둔화
  • (3) 초고령 노인 인구 급증
  • 제 5 장 저출산 및 인구 고령화에 대한 정책적 대응
  • 1. 인구가족 정책
  • 2. 고용인력 정책
  • 3. 복지 정책
  • 제 6 장 결론
  • 참고문헌
  • 표 목 차
  • <표 2-1> 잠재적 부양비의 변화 추이
  • <표 3-1> 국별 합계 출산율(2006년 유엔인구기금 기준)
  • <표 3-2> 미혼 남녀(20~24세)의 현재 결혼하지 않은 이유
  • <표 3-3> 고교 및 대학대학교 진학률
  • <표 3-4> 기혼 여성의 사교육을 받는 자녀수별 월평균 사교육비
  • <표 3-5> 연령 계층별 인구 및 구성비 추이
  • <표 3-6> 생산가능인구 비율의 연도별 변화
  • <표 3-7> 생산가능인구의 연령층별 변화 추이
  • <표 4-1>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 추이
  • <표 4-2> 인구 고령화 속도 추이
  • <표 4-3> 인구 변동 추이
  • <표 4-4> 평균 수명 추이
  • <표 4-5> 합계출산율
  • <표 4-6> 가임 여성 인구의 연령별 변화 추이
  • <표 4-7> 초고령 노인 인구 및 전체 노인 인구 대비 비율
  • 그 림 목 차
  • <그림 2-1> 합계출산율 공식
  • <그림 2-2> 노인부양지수 공식
  • <그림 2-3> 노인부양지수의 변화 추이
  • <그림 3-1> 기혼 여성의 자녀 필요성에 대한 태도 변화
  • <그림 3-2> 한국의 합계출산율 변화 추이
  • <그림 3-3> 남녀 평균 초혼 연령 추이(단위: %)
  • <그림 3-4> 경제적 문제로 인한 이혼 추이(단위: %)
  • <그림 3-5> 생산가능인구의 연령층별 변화 추이(단위: 천 명)
  • <그림 4-1>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 추이
  • <그림 4-2> 한국의 인구 구조 변화 전망(단위: 만 명)
  • <그림 4-3> 인구 구조 변동 추이 및 전망
  • <그림 4-4> 한국인의 평균 수명 추이(단위: 세)
  • <그림 4-5> 합계출산율 국제 비교
  • <그림 4-6> 한국의 가임 여성 인구 변화 추이(단위: 천 명)
  • <그림 4-7> 고령화의 추이 및 전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10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27
»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영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소현정 2007  2610
108 13 인구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 최문숙 2007  2292
107 13 인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동성 2016  2203
106 13 인구 저출산 문제점과 정책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유형별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 정윤경 2007  1464
105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 조용철 2012  1249
104 13 인구 출산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 방향 연구 / 박숙현 2015  1203
103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 김지혜 2008  1152
102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2004  1109
101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출산정책의 방향성 연구 / 방문주 2010  1034
100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출산율과 출산의지를 중심으로 / 홍성란 2016  1006
99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4
98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보육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이정미 2005  939
97 13 인구 비혼(非婚)을 통해 본 현대 일본의 가족 관계와 젠더 질서 / 지은숙 2016  911
96 13 인구 저출산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현욱 2013  791
95 13 인구 저출산 원인분석 및 대처방안 : 출생아수 감소원인 분석 및 대처방안 연구 / 황해범 2006  709
94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대책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삼식 2016  642
93 13 인구 저출산 원인 조사와 출산장려정책 연구 / 노정현 2012  639
92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2016  588
91 13 인구 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사례와 연계를 중심으로 / 김순자 2017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