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日本學報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75689 


 일본의 출산정책의 변화와 젠더적 함의 

= Changes in Japan's Fertility Policy and Its Gender Implications


  • 저자[authors] 이지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日本學報

  • 권호사항[Volume/Issue] Vol.0No.118[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일본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79-40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Before and after World War II, Japan implemented its fertility policy to control the population in terms of the population policy. The 1990s shock of 1.57 children per family opened up a new political space that could move Japan's fertility policy out of the population policy and within the scope of family policy. For 25 years, the mainstream of Japan's low fertility measures has been shifted from child care support to work-family balance, and it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childcare support, a childcare leave system, and child allowance. A certification system for childcare support companies that requires the mandatory implementation of various measures has been promoted. However, in these 25 years, the low fertility measures failed to remove the division of gender roles, and caused the stratification of women and regional differences in the benefits of a low fertility measure. Above all, female productivity was emphasized under Abenomics, which introduced a measure to encourage explicit and direct birth by raising the numerical birth rate target. On the other hand, women are reduced to biological sex as a “birth sex,” and Japan's low fertility measures are being subsumed by the population policy again.


국문 초록[abstracts]

1991년부터 25년간 추진돼온 일본의 저출산대책은 전후 유지되어왔던 가족정책의 변화를 그 출발점으로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과 이후 일본의 출산정책은 인구정책의 차원에서 인구의 총수를 조절하기 위해 실시되어왔다. 1990년의 ‘1.57쇼크’는 일본의 출산정책을 인구정책에서 벗어나 가족정책의 범주에서 추진할 수 있는 새로운 정치 공간을 열었다. 전후 유지돼온 일본의 가족정책은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이다. 일본의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은 종신고용, 연공서열, 연공임금을 수단으로 하는 남성의 고용과 배우자공제, 배우자특별공제, 유족연금, 후생연금 등의 지원을 받는 피부양자로서 육아, 가사, 돌봄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전업주부를 전제로 한다. 일본의 저출산의 원인으로 이 남성생계부양자형 가족정책이 지적되면서 일본정부는 성별역할분업과 의식의 해소, 성평등한 가족정책을 지향함으로써 저출산문제에 대처하고자 했다.  저출산대책의 주류는 육아지원과 ‘일과 가정의 양립’으로 전환되어, 육아지원의 양적 확대, 육아휴가제도와 아동수당의 확충, 육아지원기업인증제도, 지자체와 기업의 행동계획 수립과 시행의 의무화 등 다양한 시책들이 추진되어왔다.  그러나 25년간 추진돼온 일본의 저출산대책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 채 성별역할분업과 그 의식은 여전히 견고하고 저출산대책의 수혜에 있어서 여성의 계층화와 지역별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무엇보다 출산율 수치목표를 내걸고 명시적이고 직접적으로 출산을 장려하는 시책이 도입된 아베노믹스 하에서 여성의 ‘생산성’이 강조되는 한편 여성은 ‘낳는 성’으로서의 생물학적 성으로 환원되고, 일본의 저출산대책은 가족정책에서 다시 인구정책으로 포섭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70 13 인구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김민곤 외 2016  314
69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고용정책 개선방안 연구 / 이정란 2012  313
68 13 인구 정부 저출산 대책 Bridge Plan 2020 / 정윤순 2016  291
67 13 인구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 이연주 2008  277
66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시대 과학기술인력 수급전망 / 엄미정 2016  270
65 13 인구 유럽의 인구동향 및 저출산 대응 가족정책과 한국 인구정책의 과제 / 전광희 2018  266
64 13 인구 저출산 정책의 비판적 검토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임혜숙 2007  258
63 13 인구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탐색 / 김정숙 2006  254
62 13 인구 인구감소에 따른 사회 지속발전 가능성 강화전략 / 박종서 2016  246
61 13 인구 저출산 시대 극복을 위한 보건의료 대책 / 김재연 2017  243
60 13 인구 저출산 해결을 위한 의사의 역할 / 하정훈 2017  233
59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대응 정책의 방향: 인구정책적 관점 / 이철희 2018  229
58 13 인구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에 관한 소고 / 안경희 2017  227
57 13 인구 임신 ·출산 ·육아 지원정책에 대한 임산부의 요구분석 2017  225
56 13 인구 제3차 저출산 · 고령사회 기본계획 - 노인돌봄 / 최혜지 2016  224
55 13 인구 인구정책 및 저출산ㆍ고령화 대책 전망 / 김종훈 2018  211
54 13 인구 초기 미국 영화로 보는 우생학과 산아제한운동 / 김효정 2018  199
53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 우해봉 2018  196
» 13 인구 일본의 출산정책의 변화와 젠더적 함의 / 이지영 2019  195
51 13 인구 고령사회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과 함의 / 강은나 2016  186